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 182

Ⅳ. 한국 근대불교사 1. 일제하의 불교

Ⅳ. 한국 근대불교사 1. 일제하의 불교 (1) 원종(圓宗)․임제종(臨濟宗)의 성립과 조계종(曹溪宗)의 탄생 연도 주 요 사 건 1895 ㆍ승려의 도성 출입 금지 해제 1899 ㆍ창신동에 원흥사 설립(이회광(李晦光)이 설립) 1906 ㆍ원흥사에 불교연구회 창설(이보담, 홍월초) ㆍ명진(明進)학교 (동국대..

Ⅲ. 조선의 불교 5. 조선시대 승려의 활약

5. 조선시대 승려의 활약 (1) 무학 자초(無學 自超:1327~1405):태조의 왕사 (2) 함허당 기화(涵虛堂 己和:1376~1433) ⇒ 찾아보기 참조 (P585) ♣현정론(顯正論), 유석질의론 (3) 성민(聖敏) ♣태종의 폐불에 항거하기 위해 신문고를 쳐서 왕에게 직접 척불정책의 완화를 건의 (4) 허응당 보우(..

Ⅲ. 조선의 불교 3. 역대 왕의 억불 및 폐불

3. 역대 왕의 억불 및 폐불 (1) 성종(9대:1469∼1494) ① 국역사업의 간경도감을 폐지:성종2년(1471년) ② 도첩제를 폐지하여 승려가 되는 것을 원천봉쇄:성종23년(1492년) ③ 승려를 환속시키고 사찰을 폐사 ☞도첩(제)[度牒(制)] 승려가 되는 것을 국가에서 허가하고 승려로서의 신분을 인정..

Ⅲ. 조선의 불교 1. 조선 초 배불론((排佛論) 등장의 배경

Ⅲ. 조선의 불교 배불숭유(排佛崇儒)정책의 영향 아래 산중일색의 산승불교 1. 조선 초 배불론((排佛論) 등장의 배경 (1) 고려말 불교의 일반적 성격 ①왕실후원의 불교:국가재정의 소모 ②불교신앙의 저속화:기복․의례를 중시하는 경향 ③사원경제의 세속화 ④승단의 문란 (2) 성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