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5장 한국불교사

Ⅲ. 조선의 불교 1. 조선 초 배불론((排佛論) 등장의 배경

moksha 2016. 9. 26. 17:01


Ⅲ. 조선의 불교

배불숭유(排佛崇儒)정책의 영향 아래 산중일색의 산승불교


 1. 조선 배불론((排佛論) 등장의 배경

 

   (1) 고려말 불교의 일반적 성격

       ①왕실후원의 불교:국가재정의 소모

       ②불교신앙의 저속화:기복․의례를 중시하는 경향

   ③사원경제의 세속화

        ④승단의 문란

   (2) 성리학(性理學)의 등장

       ①신흥사대부 계층의 형성

       ②중심적 인물:정도전, 정몽주 등

 

    (3) 조선초기의 배불론

         가장 대표적인 것 ⇒ 정도전의 불씨잡변

 

☞불씨잡변(佛氏雜辨)

   정도전(鄭道傳)이 유학(儒學)의 입장에서 불교의 윤리적 문제와 사회적 폐단을 지적하며 불교의 혁파를

   강력히 요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