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조선시대 승려의 활약
(1) 무학 자초(無學 自超:1327~1405):태조의 왕사
(2) 함허당 기화(涵虛堂 己和:1376~1433) ⇒ 찾아보기 참조 (P585)
♣현정론(顯正論), 유석질의론
(3) 성민(聖敏)
♣태종의 폐불에 항거하기 위해 신문고를 쳐서 왕에게 직접 척불정책의 완화를 건의
(4) 허응당 보우(虛應堂 普雨:1515~1565)(중종 10~명종 20)
① 조선중기에 불교의 전성시대를 이루게 한 승려이다.
② 문정왕후의 신임을 얻어 불교의 교세를 부흥하는데 주도적 역할 :1548년(명종 3년)
③ 선교 양종을 부활하고, 300여개의 사찰을 나라의 공인 정찰(淨刹)로 하였으며, 승려 4천여 명을 선
발하여 승과를 설치케 하였다.
④ 문정왕후가 죽자(1565년) 유림의 성화에 밀려 승직이 박탈되고 제주도에 유배, 제주목사 변협(邊
協)에 의해 살해되었다.
⑤ 보우가 죽은 뒤 불교는 종전의 억불정책으로 되돌아갔다.
⑥ 사상 : 유불일치, 선교융합 주장
⑦ 저서 : 허응당집(虛應堂集), 선게잡저(禪偈雜著), 불사문답(佛事問答) 등
(5) 서산대사 휴정(西山大師 休靜:1520~1604)
① 명종때(명종 7:1552년) 승과(僧科)에 급제
② 교종판사(敎宗判事)․선종판사(禪宗判事) 겸임
③ 임진왜란의 활약:1592년(선조 25)
팔도도총섭(八道都摠攝)이 되어 승병(僧兵) 1,500명을 모집, 명나라 군대와 합세, 한양 수복에 공을
세움.
④ 서산의 사상
: 교선겸수(敎禪兼修), 좌선견성(坐禪見性), 견성염불(見性念佛), 유불도 합일(三敎統合論)
⑤ 저서:선가귀감(禪家龜鑑)․삼가귀감(三家龜鑑) 등
⑥ 묘향산(=西山) 원적암(圓寂庵)에서 여생을 보냈다.
(6) 사명대사 유정(泗溟大師 惟政:1544~1610)
① 서산의 법을 이음
② 승군도총섭(僧軍都摠攝)이 되어 명(明)나라 군사와 협력, 평양을 수복하고 도원수 권율(權慄)과 의
령(宜寧)에서 왜군을 격파, 전공을 세움.
③ 일본에 건너가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를 만나 강화를 맺고 조선인 포로 3,500명을 인솔하여
귀국
④ 4대제자
송운파 | 사명당 유정(泗溟堂 惟政) | 편양파 | 편양 언기(鞭羊 彦機) |
소요파 | 소요 태능(逍遙 太能) | 정관파 | 정관 일선(靜觀 一禪) |
⑤ 해인사(海印寺)에 머물다가 그 곳에서 입적.
(7) 처영(處英)
① 청허 휴정(淸虛 休靜; 西山대사)의 제자
② 권율과 함께 행주산성에서 7백 승병을 이끌고 적병 3만과 대전하여 2만4천 명의 사상자를 내 이해
2월 12일 임진왜란 이후 최대의 승첩을 거뒀다.
③ 조정에서 절충(折衝)장군이란 직함을 내렸다.
④ 대흥사의 표충사(表忠祠)와 묘향산의 수충사(酬忠祠)에 휴정, 사명유정(四溟 惟政)과 함께 그의 진
영이 안치되어 있다.
(8) 영규(靈圭)
① 청허 휴정(淸虛 休靜;西山대사)의 제자
② 승병장(僧兵將)으로 승려 800여 명을 이끌고 의병장 조헌(趙憲)이 이끄는 700여 명의 의병과 합세
하여 청주성을 수복하여 전쟁 발발 후 첫 승전을 거두었다.
③ 금산 연곤평(延昆坪)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조헌을 비롯한 칠백의사(七百義士)와 함께 순절
④ 영규대사비(靈圭大師碑) : 계룡산 갑사(甲寺)의 진입로 입구인 월암리 길가에 있다.
(9) 초의 의순(草衣 意恂:1786~1633)
① 조선후기 불교계에 새로운 선풍을 일으키고 다도(茶道)를 중흥시킨 스님.
② 다산 정약용, 추사 김정희 등과 교류하면서 당시 실학사상도 폭넓게 섭취함.
③ 대둔사 일지암은 바로 다도(茶道)의 요람.
(10) 대휘(大輝)
① 범패승의 맥을 기록한 책인 범음종보(梵音宗譜) 저술
② 범패의 기원과 전승, 우리나라 범패승의 계보를 내용으로 담음.
③ 이 책에 의하면 범패(梵唄)는 인도 영축산에서 묘음보살(妙音菩薩)이 석가모니에게 바친 노래에서
유래한다.
④ 중국에서는 위(魏)의 조자건(曺子建)이 물고기가 노는 모양을 보고 범패를 익혀서 이를 어산(魚山)
이라고 한다.
☞ 범패(梵唄) ⇒ 찾아보기 참조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 > 제5장 한국불교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Ⅳ. 한국 근대불교사 1. 일제하의 불교 (0) | 2016.09.27 |
---|---|
Ⅲ. 조선의 불교 4. 숭불의 왕 (0) | 2016.09.27 |
Ⅲ. 조선의 불교 3. 역대 왕의 억불 및 폐불 (0) | 2016.09.27 |
Ⅲ. 조선의 불교 2. 조선초기의 불교 (0) | 2016.09.26 |
Ⅲ. 조선의 불교 1. 조선 초 배불론((排佛論) 등장의 배경 (0) | 2016.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