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4장 불교경전 10

제4장 불교경전 8. 주요경전 개관 (3) 주요 논서

(3) 주요 논서 1) 육조단경(六祖壇經) ①<법보단경> 또는 <단경>이라고도 한다. ②선종(禪宗)의 육조(六祖)인 대감 혜능(大鑑 慧能)대사의 설법과 어록을 그의 제자 법해가 편찬한 것 이다. ③원래 경은 부처님의 말씀을 기록한 것인데, 선종에 있어 혜능선사를 높여 그가 설한 마음..

제4장 불교경전 8. 주요경전 개관 (2) 대승경전

(2) 대승경전    1)반야심경(般若心經)     ①정식 명칭은 이고 줄여서 이라고도 한다.     ②600권이나 되는 의 정수를 짧게 요약․압축시켜 놓은 가장 짧은 경전 (제목포함 270자)     ③과 함께 각종 법회나 의식때 가장 많이 독송되는 경전     ④관세음보살이 사리불에게 공에 대해서 설하고 있다.     ⑤‘색즉시공 공즉시색’이라는 구절이 널리 알려져 있다.     ⑥당 현장이 번역하였다.    2)천수경(千手經)     ①원제목은 이다.     ②달리 라고도 한다.     ③성립과정, 연대 등이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고, 여러 차례 첨삭되고 다듬어져 독특한 한국의 천수경       으로 완성을 이룬 것으로 관음신앙의 근간이 되어 왔다.     ④신묘장구대다라니가 핵심부분이며..

제4장 불교경전 8. 주요경전 개관 (1) 초기경전

8. 주요경전 개관 (1) 초기경전 1)아함경(阿含經) ①아함은 전승(傳承)이란 뜻의 범어 ‘아가마(agama)’의 음역이다. ②부처님이 입멸한 뒤 전해 내려온 부처님 말씀을 집대성하여 완성한 성전(聖典)이다. ③경전 중 가장 부처님의 체취를 느끼게 하는 경전이다. ④길고 짧은 2천여 개의 경을..

제4장 불교경전 6. 대승비불설(大乘非佛說)

6. 대승비불설(大乘非佛說) (1)부처님의 설법 1)불교의 교설 ①원시불교의 성전을 기초로 하여 부파불교를 거쳐 대승불교로 이어 지면서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②그 결과 서로 간에 다른 양상을 노출하게 되었다. ③객관적으로 모순되는 듯한 교설이 똑같은 부처님의 설법인양 주장하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