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4장 불교경전

제4장 불교경전 5. 경전의 어계(語系)

moksha 2016. 9. 24. 23:11


5. 경전의 어계(語系)

 

  (1)범어(梵語)

     ①산스크리트(Sanskrit)의 음역.

     ②고대 인도의 바라문교의 성전어(聖典語)이었으므로 인도의 다양한 언어 중 표준어이다.

     ③카니슈카왕 때의 제4결집시에 범어를 불교의 성전어로 한다는 결의가 있어서 불교경전은 범어로 이루

        어졌다.

 

   (2)팔리어(巴利語)

      ①빠알리(Pāli)의 음역

      ②고대 인도에 있어서 남방 인도의 지방어이었으므로 이 지역에 유포된 불교경전은 자연히 팔리어로 표

         기되었다.

 

   (3)서장어(西藏語)

      ①티베트의 역사상 영주로 추앙되는 손첸 캄포(617~649)왕 때에 불교가 전래된 후에 티베트의 문자

         와 문법을 창안케 한 후 범어 경전을 티베트어로 번역케 하였다.

       ②서장어 경전은 한역 경전 다음으로 종류와 분량이 풍부함.

       ③언어의 성질상 범어를 모방하고 있어 서장어 경전이 차지하는 비중이 대단히 크다고 할 수 있다.

 

   (4)구미어(歐美語)

       ①현존하는 범어 및 팔리어 경전의 사본(寫本)은 대부분 영・독・불어로 번역되었다.

       ②<동방성서>의 출간 : 막스 뮬러(1823~1900)가 지은 동양의 제종교에 대한 성전이다.

       ③영국의 팔리어성전협회 : 팔리어 성전의 영역과 그의 영역사업을 주로 한다.

 

   (5)중국어(中國語)

       ①서기 2세기로부터 10세기에 이르는 동안 각 왕조(王朝)를 토하여 국가적인 뒷받침에 의해 행하여

          졌다.

       ②인도에서 성립된 대부분의 경전이 번역되었다.

       ③어떠한 언어의 경전보다도 가장 완비되어 있고 대부분이 현존하고 있다.

 

   (6)한국어(韓國語)

       ①훈민정음이 세종에 의해 창제(세종28년:1446)된 후 민족문화의 통속보급을 위하여 불전・경서 등

          을 국역하기 시작하였다.

       ②석보상절(釋譜詳節) : 세종 30년(1448)에 수양대군이었던 세조가 석존의 일대기를 편찬한 것이다.

       ③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 세종이 석보상절(釋譜詳節)에 의하여 부처님의 공덕을 찬양한 것이

          다.

       ④월인석보(月印釋譜) : 세조 5년(1459)에 석보상절과 월인천강지곡을 합하여 하나의 체제로 간행한

          것이다.

       ⑤간경도감(刊經都監) : 세조 7년(1461) 6월에 설치되었으며 불경을 우리글인 훈민정음으로 번역하

          여 간행하던 국가기관이었다.

       ⑥동국역경원(東國譯經院) : 종합적이고 계획적인 대장경의 국역사업을 위하여 1964년 7월 동국대

          학교에 설치되었다. 

 

  (7)일본어(日本語)

      ① 20세기에 들어 범어 원전이나 팔리어 원전을 일본어로 번역하기 시작하였다.

      ② 경전 연구에 괄목할 만한 업적을 남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