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4장 불교경전

제4장 불교경전 3. 경전의 구성과 조직

moksha 2016. 9. 24. 18:17


3. 경전의 구성과 조직

 

(1)12분교(分敎, dvādasāṇga-dharma-pravacana) = 12부경(十二部經) = 12분경(分經)

 

   1)계경(契經, Sutta)

     ①범어 수트라(sutra)를 번역한 말로서 수다라(修多羅)라 음역하기도 한다.

     ②불교의 사상을 완전히 표현한 경문이다.


   2)고기송(孤起頌)

     ①범어 가타(Gāthā)의 번역으로 게송(偈頌) 또는 송(頌)이라 번역되기도 하고, 가타(伽陀), 게(偈)라

        음역하기도 한다.

     ②운(韻)을 붙인 시체(詩體) 형식을 취한다.

     ③본문과는 관계없이 노래한 부분이다.


   3)중송(重頌)

     ①범어 게야(Geyya)를 번역한 말로서 기야(祈夜)라 음역한다.

     ②운을 붙이지 아니한 시체(時體)의 형식을 취한다.

     ③산문으로 된 본문의 뜻을 거듭 설명하는 부분이다.


   4)무문자설(無問自說)

     ①범어 우다나(Udāna)의 번역으로 감흥어(感興語)라 번역하기도 하며 우타나(優陀那)라 음역하기도 한

        다.

     ②질문하는 자 없이 부처님 스스로 설한 것을 말한다.

     ③부처님의 종교적 체험을 감격한 그대로 설하는 부분이다.


   5)미증유법(未曾有法)

     ①범어 아뷰따담마(Abbhuta-dhamma)의 번역으로 희법(稀法)이라고도 하며 아부다달마(阿浮多達磨)라

        음역하기도 한다.

     ②성자(聖子)의 특유한 심경(心境), 정신적 기적 같은 것을 설한 부분을 말한다.

     ③불가사의한 일을 설한 부분이다.


   6)여시어(如是語)

     ①범어 이티뷰타카(Itivuttak)의 번역으로 이제왈불다가(伊帝曰佛多迦)라 음역한다.

     ② 여시아문(如是我聞)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것으로 그대로 믿고 의심치 않는 다는 뜻 포함한다.


   7)인연(因緣)ㆍ인연담(因緣譚)

     ①범어 니다나(Nidāna)의 번역으로 니타나(尼陀那)라 음역한다.

     ②경전을 설하게 된 사정이나 동기 등을 서술한 부분이다.


   8)비유(譬喩)

     ①범어 아빠다나(Apadāna)의 번역으로 아파타나(阿波陀那)라 음역한다.

     ②경 가운데서 비유나 우언(寓言)으로써 교리를 설명・해석한 부분이다.


   9)본생(本生)

     ①범어 자타카(Jātaka)의 번역으로 자타가(闍陀迦)라 음역한다.

     ②부처님의 전생의 이야기를 적은 경문이다.


   10)수기(授記)

      ①범어 뱌카라나(vyakarana)의 번역으로 화가라나(和伽羅那)라 음역한다.

      ②제자들에게 다음 세상에서 성불하리라고 예언하는 경문의 부분이다.

      ③보통 문답식으로 의론을 전개하다가 최후에 부처님이 인가를 주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11)논의(論議)

      ①범어 우빠데사(Upadesa)의 번역으로 우파제사(優波提舍)라 음역한다.

      ②해석・논술로써 연구 논문 형식의 경문이다.

      ③부처님이 논의하고 문답하여 온갖 법의 내용을 명백히 말한 부분이다.


12)방광(方廣)ㆍ교리문답

     ①범어 바이풀야(vaipulya)의 번역으로 비부라(毘富羅)라 음역한다.

     ②부처님의 설교가 문답을 추구하는 형식으로 전개되면서 논리적으로 넓고 깊게 의미를 확대하고 심화

        (深化)하여 철학적 내용을 방정하고 광대하게 진리를 설한 것이다.


☞9분교(九分敎, navaṅga-sāsana)와 12분교(十二分敎), dvādasāṇga-dharma-pravacana)

12분교에서 7)인연(因緣), 8)비유(譬喩), 11)논의(論議)의 3가지를 제외한 것을 말한다. 상좌부(上座部, Theravāda)와 대중부(大衆部, Mahāsaṅghika)에서는 아주 초기의 분류법인 구분교(九分敎)를 채택한 반면, 다른 부파들 특히 대승불교 계통에서는 일반적으로 12분교(十二分敎), dvādasāṇga-dharma-pravacana)를 채택했다.


(2)경전의 삼분(三分):동진(東晋)의 도안(道安:314~385)


   1)서분(序分)

     ①경문의 첫머리에 그 경을 설한 때와 장소 그리고 대상 등 일체의 사정과 그 경을 설하게 된 동기를 서

        술한 부분을 말한다.

     ②육사성취(六事成就)=육성취(六成就)

 

금강경(金剛經) 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

여시아문 일시 불 재사위국기수급고독원 여대비구중 천이백오십인

(如是我聞  一時 佛 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 與大比丘衆 千二百五十人俱)

육성취(六成就)

의 미

금강경의 예

신(信)성취

석존의 가르침이 틀림없다는 것을 확인

여시(如是)

문(聞)성취

내(아난 존자)가 직접 들었음을 나타냄

아문(我聞)

시(時)성취

설법의 때(시기)를 명시함

일시(一時)

주(主)성취

설법의 주체(=부처님)를 나타냄

불(佛)

처(處)성취

설법의 장소를 밝힘

재사위국기수급고독원

(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

중(衆)성취

어떤 사람이 들었는가를 나타냄

여대비구중(與大比丘衆)

 

   2)정종분(正宗分)

     석존의 설법을 서술한 경(經)의 본체 부분을 말한다.


   3)유통분(流通分)

     ①경을 끝맺는 부분으로 경문의 마지막에 그 설법을 들은 대중의 감격이라든가 계발의 정도 그리고 장래

        에 이 경을 읽는 사람의 이익이나 공덕 또는 그 경의 이름 등을 기록한 부분을 말한다.

     ②‘문불소설 개대환희 신수봉행’(聞佛所說 皆大歡喜 信受奉行)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모두 환희심을 내어 믿고 받들어 행했다.)

     ③작례이거(作禮而去), 환희용약(歡喜踊躍) 등


   (3)경전의 권위(權威)

     1)진리성(眞理性)

        불타의 교(敎)로써 인정하는 근본 교리는 영원한 생명을 갖고 있는 것이지 결코 시대착오의 미신을 전

        하는 것이 아니다.


    2)존엄성(尊嚴性)

       불타의 교(敎)로써 인정하는 근본 교리는 부동의 철칙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