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9장 불교 문화 42

(2) 금강문(金剛門)

(2) 금강문(金剛門) = 인왕문(仁王門) ① 사찰에 따라서는 천왕문 앞에 금강저(金剛杵)를 들고 사찰의 문 양쪽을 지키는 수문장 역할을 하는 인왕(仁王)을 모신 금강문(金剛門)이 세워져 있기도 하다.② 인왕은 이왕(二王)・이천왕(二天王) 혹은 금강역사(金剛力士)라고도 불리며 금강저 또는 금강저를 들고 있는 자(者)라는 뜻이다. 그래서 집금강(執金剛), 집금강신(執金剛神) 또는 금강수(金剛手)로 의역되며 범어로는 바즈라파니(Vajrapani) 또는 바즈라다라(Vajradhara)라고 한다.③ 금강역사(金剛力士)는 아형(阿形) 금강역사와 훔형(吽形) 금강역사가 모셔진다.④ 아형(阿形) 금강역사(=나라연금강역사)는 ‘아’ 하고 입을 벌린 채 공격하는 모습을 취하고,  훔형(吽形) 금강역사(=밀적금강역사)는 ..

2. 사찰의 관문 (1) 일주문(一柱門)

2. 사찰의 관문 (1) 일주문(一柱門) ① 절에 들어가서 가장 먼저 만나는 문으로 기둥이 일직선으로 늘어서 있다고 하여 일주문이라고 한다.② 일주문은 성(聖)과 속(俗)의 경계를 표시하여, 이곳에서 부터는 신성한 부처님 도량임을 나타낸다.③ 일주삼간(一柱三間)을 원칙으로 하고 있는데, 이는 일심(一心)을 상징하며 의 회삼귀일(會三歸一) 사상을 나타낸다. ④ 편액 선광불매만고휘유(禪光不昧 萬古輝猷) 선광의 밝고 오묘한 뜻을 알기 위해서입차문래막존지해(入此門來 莫存知解) 이 문에 들어서서 알음알이를 내지 말라무해공기대도성만(無解空器大道成滿) 알음알이 없는 빈 그릇이 큰 도를 이루리라.

(3) 사찰 건축

5) 기와 ① 암키와:지붕 바닥에 놓여 기왓골을 이루는 넓적한 기와② 수키와 : 두 암키와 사이를 엎어 잇는 속이 빈 원기둥을 세로로 반을 쪼갠 모양의 기와 ③ 막새기와 ♣ 지붕의 가장자리인 처마 끝을 마감하는 기와♣ 막새기와에는 연꽃문양, 당초(唐草)문양, 봉황문양, 가릉빈가문양 등 여러 가지 장식문양이 새겨지며 새겨진 문양에 의해 기와의 제작시기를 짐작할 수 있다. 수막새 기와 암막새 기와가 있다. ☞ 당초문(唐草文) 중국 전래의 덩굴풀 무늬라는 뜻으로 이런 이름이 붙었지만, 이런 종류의 무늬는 특별히 중국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 무늬의 기원은 매우 오래되었고, 분포상태도 매우 광범위하다. 고대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에서 로마로 계승되었다. 이러한 서방계의 당초가 실크로드를 통해서 중국으로 들어온..

(3) 사찰 건축 4) 대들보・도리・서까래

4) 대들보・도리・서까래 ① 대들보:지붕 전체의 하중을 가로로 받치는 부재 ② 도리(道里):여러 군데에서 서까래를 가로로 받쳐주는 긴 부재 ③ 서까래 : 지붕꼴을 이루는 뼈대로서 통나무를 세로로 벌여 구성되며, 통상 지붕 위에서 처마 끝까지는 두 개의 통나무가 엇걸기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