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9장 불교 문화

(2) 금강문(金剛門)

moksha 2017. 6. 15. 16:37

(2) 금강문(金剛門) = 인왕문(仁王門)


① 사찰에 따라서는 천왕문 앞에 금강저(金剛杵)를 들고 사찰의 문 양쪽을 지키는 수문장 역할을 하는

    인왕(仁王)을 모신 금강문(金剛門)이 세워져 있기도 하다.

② 인왕은 이왕(二王)・이천왕(二天王) 혹은 금강역사(金剛力士)라고도 불리며 금강저 또는 금강저를

    들고 있는 자(者)라는 뜻이다. 그래서 집금강(執金剛), 집금강신(執金剛神) 또는 금강수(金剛手)로

    의역되며 범어로는 바즈라파니(Vajrapani) 또는 바즈라다라(Vajradhara)라고 한다.

③ 금강역사(金剛力士)는 아형(阿形) 금강역사와 훔형(吽形) 금강역사가 모셔진다.

④ 아형(阿形) 금강역사(=나라연금강역사)는 ‘아’ 하고 입을 벌린 채 공격하는 모습을 취하고, 훔형(吽

    形) 금강역사(=밀적금강역사)는 ‘훔’ 하고 입을 다문 채 방어하는 자세를 취한 모습이다.

⑤ 입을 벌린 상을 금강(金剛)이라하고 입을 다문 상을 역사(力士)라고 하기도 한다.

⑥ 도상적 특징은 상체를 벗은 반나체에 손은 권법(拳法)을 짓거나 금강저를 들고 있는 역동적이면서도

    독특한 모습으로 표현된다.

⑦ 고대 인도의 문(門)을 지키는 신(神)인 야차[夜叉, 약카(Yakkha)]에서비록되었다.

⑧ 기원전 2세기 인도 바후르트나 산치대탑에서 시작되어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의 운강, 용문, 돈

   황 등 여러 석굴에 나타난다.

⑨ 우리나라는 634년에 조성된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과 석굴암의 인왕상이 유명하다.

  ⑩ 오분율(五分律)에 따르면 부처님이 계시는 곳에는 항상 500금강신이 호위하고 있다고 한다.

  ⑪ 근본비나야잡사경(根本毘奈耶雜事經)에 기록되어 있는 내용으로 급고독장자가 기원정사를 세워 채화

     (彩畵)로서 장엄하려고 부처님께 여쭈니 “문의 양쪽에 집장(執杖)의 야차(夜叉)를 만들라.”고 하신대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밀적금강>                <나라연금강>           <석굴암의 아금강과 훔금강>


              

            우(右) <석굴암의 아금강역사>                                  <석굴암의 훔금강역사> 좌(左)


아형(阿形)금강역사

= 나라연금강

우(右)

오른쪽

천상의 역사로서 힘의 세기가 코끼리의 백만 배나 된다는 금강역사로서 태산(泰山)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벽화에 묘사된다.

훔형(吽形)금강역사

= 밀적금강

좌(左)

왼쪽

 

야차신의 우두머리인 금강역사로서 언제나 금강저를 지물로 든 모습으로 벽화에 묘사된다. 부처님을 호위하며 온갖 비밀스러운 사적(事跡)을 알고 있다고 한다.

    

 

금강저(金剛杵)

주로 밀교의식에 쓰이는 작법용 불구로 지혜의 무기이며, 번뇌를 없애는 보리심을 상징한다. 제불존상이 가진 법구 또는 승려들의 수행도구로 사용된다. 원래는 고대 인도에서 제석(帝釋)의 번개에 붙였던 이름이었으나 점차 여러 신(神)이나 역사(力士)가 지니는 무기로 간주되었다. *杵(공이, 방망이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