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9장 불교 문화

(3) 사찰 건축

moksha 2017. 6. 15. 15:08

5) 기와

 

① 암키와:지붕 바닥에 놓여 기왓골을 이루는 넓적한 기와

② 수키와 : 두 암키와 사이를 엎어 잇는 속이 빈 원기둥을 세로로 반을 쪼갠 모양의 기와

③ 막새기와

♣ 지붕의 가장자리인 처마 끝을 마감하는 기와

♣ 막새기와에는 연꽃문양, 당초(唐草)문양, 봉황문양, 가릉빈가문양 등 여러 가지 장식문양이 새겨지며 새겨진 문양에 의해 기와의 제작시기를 짐작할 수 있다. 수막새 기와 암막새 기와가 있다.

 

당초문(唐草文)

중국 전래의 덩굴풀 무늬라는 뜻으로 이런 이름이 붙었지만, 이런 종류의 무늬는 특별히 중국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 무늬의 기원은 매우 오래되었고, 분포상태도 매우 광범위하다. 고대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에서 로마로 계승되었다. 이러한 서방계의 당초가 실크로드를 통해서 중국으로 들어온 것은 육조시대(六朝時代)의 일이다.

 

기와의 종류

수막새와 암막새 기와
<수막새 기와 : 가릉빈가(迦陵頻伽) 문양>

<암막새 : 봉황문양>
<수막새 : 연꽃문양>

                          

가릉빈가(迦陵頻伽)

가릉빈가는 산스크리트어인 갈라빈카(Kalavinka)를 한자로 번역한 것으로 이 새는 불경에 나타나는 상상의 새로 극락정토에 깃들여 산다고 하는데, 그 형상은 인두조신상(人頭鳥身像)을 나타낸다. 이 신조(神鳥)는 “자태가 매우 아름다울 뿐 아니라 소리 또한 아름답고 묘하다.”하여 묘음조(妙音鳥)・호음조(好音鳥)・미음조(美音鳥) 라고도 하며, “극락에 깃들어 산다.”고 하여 극락조(極樂鳥)라고도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