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전체 글 2002

날란다의 경(Nālandāsutta, S47:12)

날란다의 경(Nālandāsutta, S47:12) 한때 세존께서 날란다의 빠바리깜바나에 계셨다. 그때 존자 싸리뿟따는 세존께서 계신 곳을 찾았다. 가까이 다가와서 세존께 인사를 드리고 안부를 나눈 뒤에 한쪽으로 물러앉았다. 한쪽으로 물러앉은 존자 싸리뿟따는 세존께 이와 같이 말했다. [싸리뿟따] “세존이시여, 세존께 이와 같이 ‘수행자나 성직자 가운데 올바른 깨달음에 관하여 세존보다도 탁월하고 더욱 초월적인 지혜를 가진 다른 자는 없었고 없을 것이고 지금도 없다.’ 라고 확신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존] “싸리뿟따여, 그대의 모우왕(牡牛王)(주) 같은 언설은 너무도 훌륭하다. 그대는 틀림없이 결정적으로 파악하여 사자후를 이와 같이 ‘수행자나 성직자 가운데 올바른 깨달음에 관하여 세존보다도 탁월하고 더..

위대한 사람의 경(Mahāpurisasutta, S47:11)

위대한 사람의 경(Mahāpurisasutta, S47:1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 베쌀리의 암바빨리바나에 계셨다. 그때 존자 싸리뿟따는 세존께서 계신 곳을 찾았다. 가까이 다가와서 세존께 인사를 드리고 안부를 나눈 뒤에 한쪽으로 물러앉았다. 한쪽으로 물러앉은 존자 싸리뿟따는 세존께 이와 같이 말했다. [싸리뿟따] “세존이시여, 위대한 사람(주), 위대한 사람이라고 하는데 세존이시여, 어떻게 위대한 사람이라고 합니까?” [세존] “싸리뿟따여, 마음이 해탈하였으므로 위대한 사람이라고 나는 말하고 마음이 해탈하지 못했으므로 위대한 사람이 아니라고 나는 말한다. 싸리뿟따여, 어떻게 마음이 해탈하는 것인가? 싸리뿟따여, 이 세상에 수행승이 열심히 노력하고 올바로 알고 깊이 새겨 세상의 탐욕과 ..

꾹꾸따 승원의 경 ➂(Tatiyakukkuṭārāmasutta, S45:20)

꾹꾸따 승원의 경 ➂(Tatiyakukkuṭārāmasutta, S45:20) 1. 한 때 존자 아난다와 존자 밧다가 빠딸리뿟따 시에 있었다. 한 쪽으로 앉아 존자 밧다는 존자 아난다에게 이와 같이 말했다. [밧다] “이와 같이 ‘청정한 삶, 청정한 삶’ 이라고 하는데, 벗이여 아난다여, 청정한 삶이란 무엇이고 청정한 삶을 사는 사람이란 어떠한 자이고 청정한 삶의 완성이란 무엇입니까?” 2. [아난다] “벗이여 밧다여, 그대는 ‘이와 같이 ‘청정한 삶, 청정한 삶’ 이라고 하는데, 벗이여 아난다여, 청정한 삶이란 무엇이고 청정한 삶을 사는 사람이란 어떠한 자이고 청정한 삶의 완성이란 무엇입니까?’ 라고 질문했습니까?” [밧다] “벗이여, 그렇습니다.” 3. [아난다] “벗이여, 이와 같은 여덟 가지 고귀..

꾹꾸따 승원의 경 ➁(Dutiyakukkuṭārāmasutta, S45:19)

꾹꾸따 승원의 경 ➁(Dutiyakukkuṭārāmasutta, S45:19) 1. 한 때 존자 아난다와 존자 밧다가 빠딸리뿟따 시에 있었다. 한 쪽으로 앉아 존자 밧다는 존자 아난다에게 이와 같이 말했다. [밧다] “이와 같이 ‘청정한 삶, 청정한 삶’ 이라고 하는데, 벗이여 아난다여, 청정한 삶이란 무엇이고 청정한 삶의 완성이란 무엇입니까?” 2. [아난다] “벗이여 밧다여, 그대는 ‘이와 같이 ‘청정한 삶, 청정한 삶’ 이라고 하는데, 벗이여 아난다여, 청정한 삶이란 무엇이고 청정한 삶의 완성이란 무엇입니까?’ 라고 질문했습니까?” [밧다] “벗이여 그렇습니다.” 3. [아난다] “벗이여, 이와 같은 여덟 가지 고귀한 길이 청정한 삶입니다. 그것은 바로 올바른 견해, 올바른 사유, 올바른 언어, 올..

꾹꾸따 승원의 경 ➀(Paṭhamakukkuṭārāmasutta, S45:18)

꾹꾸따 승원의 경 ➀(Paṭhamakukkuṭārāmasutta, S45:18)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 존자 아난다와 존자 밧다가 빠딸리뿟따 시의 꾹꾸따 승원에 있었다. 2. 그 때 마침 존자 밧다는 홀로 고요히 명상하다가 저녁 무렵에 일어나 존자 아난다가 있는 곳으로 찾아왔다. 가까이 다가와서 존자 아난다와 인사를 나누고 안부를 주고받은 뒤 한 쪽으로 물러나 앉았다. 3. 한 쪽으로 물러나 앉아 존자 밧다는 존자 아난다에게 이와 같이 말했다. [밧다] “이와 같이 ‘청정하지 못한 삶, 청정하지 못한 삶’이라고 하는데, 벗이여 아난다여, 청정하지 못한 삶이란 무엇입니까?” [아난다] “벗이여 밧다여, 훌륭합니다. 벗이여 밧다여, 훌륭합니다. 그대의 탐구하는 자세도 훌륭하고 그대의 말솜씨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