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공덕 11

사랑스런 이의 경(Piyasutta, S3:4) : 사람이 이 세상에서 만든 공덕과 죄악

사랑스런 이의 경(Piyasutta, S3:4)   1. 한 때 세존께서 싸밧티 시에 계셨다. 그 때 꼬쌀라 국의 빠쎄나디왕은 한 쪽에 앉아서 세존께 이와 같이 말씀드렸다.[빠쎄나디]“세존이시여, 제가 한적한 곳에서 홀로 고요히 명상하는데 이와 같이 ‘자기 자신을 사랑스러운 사람으로 여기는 사람은 누구일까? 그리고 자기 자신을 미워하는 사람처럼 대하는 사람은 누구일까?’라는 생각이 마음속에 떠올랐습니다.  2. 세존이시여, 저는 그것에 대하여 이와 같은 생각을 했습니다. ‘어떤 사람들이든 신체적으로 나쁜 행위를 하고 언어적으로 나쁜 행위를 하며 정신적으로 나쁜 행위를 하면, 그들은 자기 자신을 사랑스러운 사람으로 대하지 않는 것이다. 만약 그들이 자기가 자신을 사랑스럽게 여긴다고 말하더라도, 여전히 그..

덧없음의 경(Upanīyasutta, S1:3) : 죽음의 두려움을 꿰뚫어 보는 사람은

덧없음의 경(Upanīyasutta, S1:3) 1. 한 때 세존께서 싸밧티 시에 계셨다. 어떤 하늘사람이 한 쪽에 서서 세존의 앞에서 이처럼 시를 읊었다. 2. [하늘사람] “삶은 덧없고 목숨은 짧으나 늙음을 피하지 못하는 자에게는 쉴 곳이 없네. 죽음의 두려움을 꿰뚫어 보는 사람은 행복을 가져오는 공덕..

Dhp22-312 : 부정한 습관과 의혹을 지닌 청정한 삶은 커다란 공덕을 가져오지 못한다.

[Dhp22-312] yaṃ kiñci saṭhilaṃ kammaṃ saṃkiliṭṭhañ ca yaṃ vataṃ 양 낀찌 사틸랑 깜망 상낄릿탄 짜 양 와땅 saṇkassaraṃ brahmacariyaṃ na taṃ hoti mahapphalaṃ. 상카싸랑 브라흐마짜리양 나 땅 호띠 마합팔랑 ▣ 어떠한 부주의한 행동도 어떠한 때 ..

Dhp16-220 : 공덕을 닦아 이 세상에서 저 세상으로 가면, 친지들이 돌아온 벗을 맞이하듯

[Dhp16-220] [업자성정견, kammassakata-sammādiṭṭhi] tath'eva katapuññam pi asmā lokā paraṃ gataṃ 따테와 까따뿐냠 삐 아스마 록까 빠랑 가땅 puññāni paṭigaṇhanti piyaṃ ñātīva āgataṃ. 뿐냐니 빠띠간한띠 삐양 냐띠와 아가땅 ▣ 마찬가지..

Dhp16-219 : 사람이 오랫동안 없다가 먼 곳에서 안전하게 돌아오면

[Dhp16-219] [업자성정견, kammassakata-sammādiṭṭhi] cirappavāsiṃ purisaṃ dūrato sotthim āgataṃ 찌랍빠와싱 뿌리상 두라또 솟팀 아가땅 ñātimittā suhajjā ca abhinandanti āgataṃ. 냐띠밋따 수핫자 짜 아비난단띠 아가땅 ▣ 오랫동안 집을 떠나 있다가 멀리서 무사히 돌아온 사람을 친척들과 벗들, ..

Dhp14-196 : 평온하고 어디에도 두려움이 없는 그런 분들을 공양하는 이들의 공덕을

[Dhp14-196] te tādise pūjayato nibbute akutobhaye 떼 따디세 뿌자야또 닙부떼 아꾸또바예 na sakkā puññaṃ saṇkhātaṃ im'ettam api kenaci. 나 삭까 뿐냥 상카뚱 이멧땀 아삐 께나찌 ▣ [욕망을 여의어] 평온하고 어디에도 두려움이 없는 그런 분들을 공양하는 이들의 공덕을 누..

Dhp9-118 : 선한 일을 행했으면, 더욱 더 거듭해야 한다.

[Dhp9-118] puññañ ce puriso kayirā kayirāth'enaṃ punappunaṃ 뿐냔 쩨 뿌리소 까이라 까이라테낭 뿌납뿌낭 tamhi chandaṃ kayirātha, sukho puññassa uccayo. 땀히 찬당 까이라타 수코 뿐냐싸 웃짜요 ▣ 만약 어떤 사람이 선행을 했다면 그것을 반복해서 해야 한다. 그것을 뜻..

제9장 악의 품(Pāpavagga) Dhp9-116 : 공덕을 게으르게 짓는 자의 마음은 악행을 즐긴다.

[Dhp9-116] abhittharetha kalyāne pāpā cittaṃ nivāraye 아빗타레따 깔얀에 빠빠 찟땅 니와라예 dandhaṃ hi karoto puññaṃ pāpasmiṃ ramatī mano. 단당 히 까로또 뿐냥 빠빠스밍 라마띠 마노 ▣ 선한 일에 서둘러야 하고, 마음을 악으로부터 멀리해야 한다. 공덕을 게..

Dhp1-15, Dhp1-16 : 공덕을 짓는 이는 두 곳 다에서 기뻐한다.

[Dhp1-15] Idha socati pecca socati pāpakārī ubhayattha socati, 이다 소짜띠 뺏짜 소짜띠 빠빠까리 우바얏타 소짜띠 so socati so vihaññati disvā kammakiliṭṭham attano. 소 소짜띠 소 위한나띠 디스와 깜마낄릿탐 앗따노 ▣ 여기서 한탄한다. 죽은 후에도 한탄한다. 악행을 저지르는 자..

공덕의 넘침에 대한 경(PuññaAbhisandasutta, A8:39) : 8가지 공덕행(삼보귀의+오계수지)

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3번) 나모 땃싸 바가와또 아라하또 쌈마쌈붓닷싸 (3번) 그 분, 세상의 존귀한 님, 거룩한 님, 올바로 원만히 깨달은 님께 예경하나이다. 공덕의 넘침에 대한 경(PuññaAbhisandasutta, A8:39) 1. 한 때 세존께서는 싸밧타 시에 계셨다. [세존]“수행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