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전체 글 2002

Ⅱ. 유식(唯識) 7. 유식삼십송과 십대논사

7. 유식삼십송과 십대논사 (1) 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 ① 유식설을 철학적으로 확립시킨 것으로 심소(心所)와 작용(作用) 그리고 수행점차(修行漸次)를 간명 적절하게 설명한 송문(頌文)으로서 세친 보살의 역작이다. ② 심(心)·의(意)·식(識)의 삼식(三識)을 바탕으로 하여 심체(心體)와..

Ⅱ. 유식(唯識) 6. 무상유식(無相唯識)과 유상유식(有相唯識)

6. 무상유식(無相唯識)과 유상유식(有相唯識) (1)무형상인식론(無形相認識論)과 유형상인식론(有形相認識論) ① 무형상인식론(無形相認識論)은 어떤 사물을 인식할 때 형상이 마음과 달리 존재하는 대상에 속한다고 생각하여 그 형상을 그대로 인식한다는 학설 ② 유형상인식론(有形相認..

Ⅱ. 유식(唯識) 5. 유식(唯識)의 심(心)・의(意)・식(識)

5. 유식(唯識)의 심(心)・의(意)・식(識) 심(心) 제8식 아뢰야식 (阿賴耶識) 제8아뢰야식은 이렇게 모든 업의 산물들을 스스로 저장하는 능장(能藏)으로서의 의미도 갖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모든 세력들을 소장(所藏)할 장소로서의 처소로도 제공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이 아뢰야..

Ⅱ. 유식(唯識) 4. 삼성(三性)・삼무성(三無性)의 의의

4. 삼성(三性)・삼무성(三無性)의 의의 (1) 중도설의 재천명 ① 유식학에서는 반야공(般若空)의 논리가 중관학파와 다른 방식으로 전개된다. 즉 일부 중관학자들의 악취공견(惡取空見)을 시정하기 위해 공성(空性)이 성립하는 장(場)으로서의 식(識)의 존재성을 인정한 바탕 위에서 공..

Ⅱ. 유식(唯識) 3. 삼성(三性)・삼무성(三無性)의 중도설

3. 삼성(三性)・삼무성(三無性)의 중도설 :(해심밀경) 제4장<일체법상품>, 제5장<무자성품> : 공(空)과 무자성(無自性)을 분석적으로 재해석 (1) 삼성(三性) <섭대승론(攝大乘論)> ・번뇌망상인 ・개념을 실제라고 집착 변계소집성 (遍計所執性) 새끼줄→뱀 상무자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