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전체 글 2002

Ⅶ. 중국불교의 정토사상(淨土思想) 2.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

2.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 (1)무량수경(無量壽經) 1)무량수경의 성립 ①무량수경은 상・하 두 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쌍권경(雙券經)이라고도 한다. ②무량수경의 산스크리트어 원명은 Sukhāvativyūha로서 극락의 장엄(極樂의 莊嚴)이란 뜻인데 아 미타경과 경명이 같기 때..

Ⅶ. 중국불교의 정토사상(淨土思想) 1.정토사상(淨土思想)의 배경과 정토신앙

1.정토사상(淨土思想) (1)정토(淨土)신앙의 배경 1)정토(淨土)의 의미 ①정토(淨土)는 말 그대로 청정한 불국토로 부처님이 거주하는 나라를 뜻하며 미혹한 범부가 살고 있는 사바세계 즉 예토(穢土)에 상대되는 말이다. ②정토의 중생들은 심신(心身)에 일체의 근심과 고통이 없고 다만 한..

Ⅵ. 중국불교의 화엄사상(華嚴思想) 3. 화엄교학의 중심사상

3. 화엄교학의 중심사상 (1)성기사상(性起思想) 1)성기(性起)란 불성현기(佛性顯起)의 준말로 모든 중생이 불성(佛性)을 갖추고 있음을 말한다. 2)야마천궁게찬품 심불급중생 시삼무차별 (心佛及衆生 是三無差別) ①여래출현이며 우리 범부중생이 그대로 부처임을 깨우쳐 주고 있다. ②범..

Ⅵ. 중국불교의 화엄사상(華嚴思想) 2. 화엄교학의 역사

2. 화엄교학의 역사 (1)인도 1)용수(龍樹:150〜250) ①화엄사상뿐만아니라 대승 불교사상의 전반에 걸쳐서 많은 연구 업적을 남겼다. ②8종(八宗)의 조사로 존경을 받고 있다. ③화엄과 관련된 저술:십주비바사론(十住毘婆沙論) ④십주비바사론(十住毘婆沙論) 화엄경 십지품(十地品)을..

Ⅵ. 중국불교의 화엄사상(華嚴思想) 1.화엄경(華嚴經) 해제

1.화엄경(華嚴經) 해제 (1)화엄경(華嚴經)이란 어떤 경전인가 1)경명(經名) ①『화엄경』은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의 약명이다. ②산스크리트어로는 Mahāvaiplya-buddha-gaṇda-vyūha-sūtra(마하바이뿔야-붓다-간다-뷰하-수트라) 라고 한다. ③대방광(大方廣)이란 크고 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