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전체 글 2002

Mahāsatipaṭṭhāna Sutta by Dr Omalpee Sobhita Thero (SRILANKA)

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Mahāsatipaṭṭhānasuttaṃ(D22) 1. Evaṃ me sutaṃ ekaṃ samayaṃ bhagavā kurūsu viharati kammāsadammaṃ nāma kurūnaṃ nigamo. Tatra kho bhagavā bhikkhū āmantesi 'bhikkhavo'ti. 'Bhadante'ti te bhikkhu bhagavato paccassosuṃ bha..

Ⅰ. 중관사상(中觀思想) 2. 공사상(空思想)의 확립

2. 공사상(空思想)의 확립 (1)용수의 생애 ①용수(龍樹)의 범어명은 나가르주나(Nāgārjuna)인데 그는 2세기경에 남인도에서 출생했으며 그의 모친이 아르주나(ārjuna) 나무 아래에서 출산했기 때문이며, 나가(Nāgā : 龍)의 가르침을 받아 도 를 이루었다는 설화에 근거하여 나가..

Ⅰ. 중관사상(中觀思想) 1. 반야경(般若徑)의 공(空)으로 연기설 설명

Ⅰ. 중관사상(中觀思想) 1. 반야경(般若徑)의 공(空)으로 연기설 설명 (1) 공(空)의 의미 ① 공(空)의 원어인 쑤냐(śūnya)는 원래 ‘부풀어 오른’, ‘속이 텅 빈’, ‘텅 비어 있음’ 이란 의미로 속이 비어 있는 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② 대승불교에서 공은 자성(自性), 실체(實體), 본..

무명의 경(Avijāsutta, S22:113) : 무명(無明)이란 무엇인가?

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3번) 나모 땃싸 바가와또 아라하또 쌈마쌈붓닷싸 (3번) 그 분, 세상의 존귀한 님, 거룩한 님, 올바로 원만히 깨달은 님께 예경하나이다. 무명의 경(Avijāsutta, S22:113) 1. 한 때 세존께서 싸밧티 시에 계셨다. 그 때 한 수행승이 세존께서 계신 곳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