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전체 글 2002

Ⅲ. 여래장사상(如來藏思想) 1. 여래장 사상

1. 여래장 사상 (1) 출현 ① 인도에서 출현하여 전개되어 왔으나 대승불교 중에 하나의 학설로서 위치하게 된 것은 중국에 와서이다. ② 화엄종의 현수 법장(賢首 法藏)이 대소승경론을 「기신론의기(起信論義記)」에서 소승・중관・유식・여래장사상으로 크게 네 등분하면서 ..

Ⅱ. 유식(唯識) 11. 유식학의 제법:오위백법(五位百法):유식소변(唯識所變)의 차제(次第)

11. 유식학의 제법:오위백법(五位百法):유식소변(唯識所變)의 차제(次第) 심왕법 (心王法) 8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말나식・아뢰야식 (眼識・耳識・鼻識・舌識・身識・意識・末那識・阿賴耶識) 심소법 (心所法) 51 ..

Ⅱ. 유식(唯識) 10. 유식(唯識)의 대열반과 대보리

10. 유식(唯識)의 대열반과 대보리 (1) 대열반(大涅槃) 대열반은 진해탈(眞解脫)이라고도 한다. 이에 본래자성청정열반・유여의열반・무여의열반・무주처열반을 든다. 모든 유정에게는 본래자성청정열반만이 있고, 이승(二乘)의 무학(無學)에게는 자성열반·유여의열반·무여..

Ⅱ. 유식(唯識) 9. 유식의 수행의 다섯 단계:오위설(五位說)

9. 유식의 수행의 다섯 단계:오위설(五位說) (1) 번뇌의 종류 번뇌장(煩惱障) 탐(貪)・진(瞋)・치(痴)로 인한 마음의 번뇌 정서적 장애 소지장(所知障) 아치(我痴)・아견(我見)・아만(我慢)・아애(我愛)로 인한 번뇌로 자아에 대한 그릇된 견해와 집착, 어리석음으로 인한..

Ⅱ. 유식(唯識) 8. 유식학의 두 가지 인과응보(因果應報)

8. 유식학의 두 가지 인과응보(因果應報) 우리가 은연중에 갖게 된 세계관과 자아관(自我觀)은 씨앗(=種子)과 같은 상태로 아뢰야식에 저장되었다가, 미래 혹은 내생에도 우리로 하여금 그와 동일한 세계관과 자아관을 갖게 한다. 이는 우리의 인지(認知)에서 일어나는 인과응보라고 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