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전체 글 2005

Ⅲ. 조선의 불교 1. 조선 초 배불론((排佛論) 등장의 배경

Ⅲ. 조선의 불교 배불숭유(排佛崇儒)정책의 영향 아래 산중일색의 산승불교 1. 조선 초 배불론((排佛論) 등장의 배경 (1) 고려말 불교의 일반적 성격 ①왕실후원의 불교:국가재정의 소모 ②불교신앙의 저속화:기복․의례를 중시하는 경향 ③사원경제의 세속화 ④승단의 문란 (2) 성리..

Ⅱ. 고려의 불교 5. 고려 불교의 특징 6. 고려말의 불교계

5. 고려의 불교 (1) 승과제도 ①승과의 종류 ▶종선(宗選) : 각 종파 안에서 행하는 것으로 여기에 합격하면 대선에 응시하게 되므로 일종의 예비 고시이다. ▶대선(大選) : 국가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이것이 승과의 본 고시이다. ②대선(大選)의 종류 ▶선종대선(禪宗大選) : 선종의 승려를 ..

Ⅱ. 고려의 불교 3. 무신정권하의 불교

3. 무신정권하의 불교 (1) 왕실불교의 타락 (2) 승려의 반발 ①왕실과 문인관료들과 밀접하게 연결되었던 이들은 수차례에 걸쳐서 무인정권의 타도를 위한 움직임 을 보였고 그 때마다 무인 집정자들에 의해 큰 타격을 받았다. ②명종4년(1174)에 개경의 승려 2000여 명이 무인정권을 타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