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5장 한국불교사

Ⅱ. 고려의 불교 5. 고려 불교의 특징 6. 고려말의 불교계

moksha 2016. 9. 26. 15:27


5. 고려의 불교

 

  (1) 승과제도

      ①승과의 종류

         ▶종선(宗選) : 각 종파 안에서 행하는 것으로 여기에 합격하면 대선에 응시하게 되므로 일종의 예비

                              고시이다.

         ▶대선(大選) : 국가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이것이 승과의 본 고시이다.

      ②대선(大選)의 종류

         ▶선종대선(禪宗大選) : 선종의 승려를 대상으로 주로 광명사(廣明寺)에서 실시하였다.

         ▶교종대선(敎宗大選) : 교종의 승려를 대상으로 주로 왕륜사(王輪寺)에서 실시하였다.

          

      ③선종법계

대덕

(大德)

대사

(大師)

중대사

(重大師)

삼중대사

(三重大師)

선사

(禪師)

대선사

(大禪師)

    

      ④교종법계

대덕

(大德)

대사

(大師)

중대사

(重大師)

삼중대사

(三重大師)

수좌

(首座)

승통

(僧統)

 

  (2) 고려시대의 종파

      ① 화엄종(華嚴宗), 자은종(慈恩宗), 남산종(南山宗), 조계종(曹溪宗), 천태종(天台宗), 시흥종(始興

          宗), 신인종(神印宗), 종지종(總持宗), 중도종(中道宗), 도문종(道門宗) 등

      ② 조계종:선종의 총칭, 신라말 9산 선문에 연원을 두고 있다.

          남종선(돈오중심)이 주류이었으며 임제선의 간화선도 전래되었다.

      ③ 오교양종(五敎兩宗)

 

5교

화엄종

(華嚴宗)

법상종

(法相宗)

법성종

(法性宗)

열반종

(涅槃宗)

율종

(律宗)

양종

천태종(天台宗)

조계종(曹溪宗)

 

오교양종(五敎兩宗) ⇒ 찾아보기 참조

 

(3) 3차례의 대장경 조판

 

  1)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① 8대 현종(1010~1031)때 거란의 침입때 발원.

     ② 40년에 걸쳐 완성.

     ③ 팔공산 부인사(符仁寺)에 보관 (1,106부 5,048권)

     ④ 23대 고종(高宗) 19년(1232) 제2차 몽고 침입때 소실.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판각 시기에 대하여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8대 현종2년(1011)에 시작하여 11대 문종5년(1051)에

   완성하였다는 설과, <동국이상국집>의 대장각 판군신기고문(大藏刻版君臣祈告文)에 나타나 있는 대로

   8대 현종 2년(1011)에 시작하여 13대 선종4년(1087)까지 76년간에 걸쳐 판각하였다는 설이 있다.

 

  2) 고려속장경(高麗續藏經)

     ① 13대 선종(1083~1094) 3년에 흥왕사에 교장도감(敎藏都監) 설치

     ② 송․요․일본 등에서 4,700여 권을 수집

     ③ 15대 숙종 6년(1101)까지 10년 간에 걸쳐 대각국사 의천(義天)에 의하여 완성

     ④ 원의 침략으로 1232년(고종19년) 소실되었으며 영인본이 국내와 일본에 남아 있다.

 

교장도감(敎藏都監)

  송(宋)나라에 다녀온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의 요청에 따라 1086년(선종 3) 흥왕사(興王寺)에

  설치하였다. 교장 간행사업은 의천이 불서수집여행을 마치고 돌아온 91년부터 시작되어 송・요(遼)・일본

  등으로부터 구해 온 불서(佛書)로《교장(敎藏)이라 하는 1,010부(部), 4,740여 권의 불전(佛典)을 조

  판(彫版) 및 인행(印行)하였다.

 

  3)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국보 제32호)

① 23대 고종(1213~1259)이 천도한 강화도에서 왕의 23년(1236)에 임시 수도였던 강화에 대장도감

    (大藏都監)을 설치하고 대장경 재조(再雕)에 착수하였다.

② 새로 대장경에 포함된 경전의 목록을 작성하고 여러 판본을 모아 가장 완전한 내용이 되도록 하였으

    며 이러한 목록 작성과 교감 작업을 주도한 사람은 화엄종 승려이며 승통(僧統)이었던 수기(守其)였

    다.

③ 16년간 걸려 고종 38년인 1251년 10월 11일 완성 (1236~1251)

 ♣고려대장경 완성일 기념 ⇒ 책의 날 (10월 11일)

④ 고려재조대장경(高麗再雕大藏經) 또는 재조장경(再雕藏經)이라고도 한다.

⑤ 팔만대장경(八万大藏經) :현재 해인사 장경각 보관

♣경판의 수:81,258판

♣경의 종류:1,512부 6,791권

♣한판의 크기:가로 2척(尺) 3촌(寸), 세로 8촌(寸), 두께 1촌 2・3촌(寸)

♣한판의 글자:한 면에 23행, 1행에 14자씩 판각

 

⑥ 강화도 선원사(禪源寺)에서 판각되어 서울 지천사(支天寺:현재 서울 시청 맞은 편 자리)에 보관되

    었다가 태조7년(1398년)에 합천 해인사로 옮겨졌다.

 

대장도감(大藏都監)

   고려시대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의 판각 업무를 담당한 관청으로서 강화에 본사(本司)를 설치하여 업무

   를 주관하고 진주(晉州) 관내인 남해현(南海縣)에 분사(分司)를 두어 일을 분담하였다. 본사에서는 대장

   경 제작을 위한 계획수립과 경비의 조달 등을 담당하였고, 대장경의 실제 판각작업은 남해의 분사에서 이

   루어졌다. 목재는 주로 지리산의 거제목을 진주 분사에서 베고 장만하였다. 본사는 작업이 완성된 뒤에도

   없어지지 않고 경판의 보존과 대장경의 인출(印出)을 담당하다가 1318년(충숙왕 5) 대장경판을 강화의

   선원사(禪源寺)로 옮기면서 폐지된 것으로 보인다.

 

대반야경(大般若經)

   진호국가(鎭護國家)의 사상을 담고 있기 때문에 고려대장경의 서두에 위치하여 대장경을 여는 경전

 

진호국가(鎭護國家) 사상(思想)

지배자 중심의 권력구조로 구성된 국가에서 ‘지배자의 안태’를 최우선으로 기원하는 사상을 말한다.

 

6. 고려말의 불교계

 

  (1) 신진사대부들에게 성리학이 수용되어 새로운 사회의 지도이념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었다.

  (2) 성리학의 세력이 확대되면서 불교를 배척하는 이론들도 제시되기 시작하였다.

  (3) 사찰의 축재(蓄財)와 자질이 부족한 승려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아 갔다.

  (4) 위화도 회군으로 사대부들이 권력을 장악한 이후에 사회의 개혁방향을 둘러싸고 보수파와 진보파가

        대립하는 과정에서 진보파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드러내기 위해서 불교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더

        욱 높였다.

  (5) 보수파와 진보파의 심각한 대립 끝에 진보파의 승리로 조선왕조가 열리게 되었고, 척불론은 사대부들

       사이의 명분으로 확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