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화엄교학의 중심사상
(1)성기사상(性起思想)
1)성기(性起)란 불성현기(佛性顯起)의 준말로 모든 중생이 불성(佛性)을 갖추고 있음을 말한다.
2)야마천궁게찬품
심불급중생 시삼무차별 (心佛及衆生 是三無差別) |
①여래출현이며 우리 범부중생이 그대로 부처임을 깨우쳐 주고 있다.
②범부의 마음과 부처의 마음에 차별이 없음을 의미한다.
(2)사종법계(四種法界)
사법계(事法界) | 모든 현상적이고 차별적인 물질의 세계 |
이법계(理法界) | 사법계를 성립시키는 절대 평등한 본체의 세계 |
이사무애법계 (理事無碍法界) | ♣일체 차별의 사법계가 절대 평등의 이법계와 상즉상입하여 원융무애한 세계 ♣공즉시색(空卽是色) |
사사무애법계 (事事無碍法界) | ♣현상과 본체가 원융무애할 뿐만 아니라 차별적인 개개의 현상 하나 하나도 서로 무애한 관계의 세계 ♣색즉시공(色卽是空) |
①일즉일체(一卽一切)이고 일체즉일(一切卽一)인 중중무진법계연기(重重無盡法界緣起)의 실상을 보는
것이 곧 사사무애법계관으로 법성게의 일즉일체다즉일(一卽一切多卽一)이다.
②중중무진한 연기의 세계는 현상적으로 보면 개개의 사물들이 아무런 상관성이 없는 개체처럼 보이
지만 사실은 서로가 상관관계에 놓여 있다는 것이다.
③마치 바다의 섬들이 겉으로 보기에는 서로 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바다 밑으로 보면 모두가
하나로 연결되어 잇는 것과도 같다는 뜻이다.
④이를 인다라망(因陀羅網)에 비유하여 설명하기도 하는데 소위 일즉다다즉일(一卽多多卽一)이라고
표현되는 사상으로 이름 모를 풀 한 포기에서 우주 전체의 모습을 보고 그 풀잎에 맺혀있는 한 방
울의 작은 이슬에서 온 중생의 아픔을 느끼는 원리이다.
⑤우주법계의 모든 존재들은 서로가 긴밀한 연관관계에 있을 뿐만 아니라 모두가 소중하게 생각하여
야 할 존재라는 것이 화엄사상의 기본 입장이다.
(3)십현연기(十玄緣起)
1)십현연기의 의미
①사사무애법계(事事無法界)의 특징을 10가지 측면에서 설명한 내용으로서, 십현연기(緣起) 또는 줄
여서 십현(十玄)이라고도 한다.
②진리의 영역인 화엄의 현해(玄海)에 들어갈 수 있다고 하여 현문(玄門)이라고 한다.
③10가지 특징이 서로 연(緣)이 되어 다른 특징을 일으키기 때문에 연기라고도 한다.
④십현문은 일승십현문(一乘十玄門)・십현연기무애법문(十玄緣起無碍法門)이라고도 하며, 화엄교학의
대표적 사상이다.
⑤화엄종의 제2조 지엄(智儼)이 두순(杜順)의 뜻을 계승하여 이를 말하고, 제3조 법장(法藏)이 개작
하였기 때문에 전자를 고십현(古十玄), 후자를 신십현(新十玄)이라고 한다.
2)신십현(新十玄)
①동시구족상응문(同時具足相應門)
:제법(諸法)이 동시에 구족 원만하여 서로 조응(照應)하는 것
②광협자재무애문(廣狹自在無門)
:고십현에서는 제장순잡구덕문(諸藏純雜具德門):수행하는 데 일(一)・다(多)의 행이 서로 즉입(卽入)함을 말하며, 순일(純一)한 행 가운데 복잡한 행이 그대로 덕으로서 갖추어져 서로 구애받지 아니하는 것
③일다상용부동문(一多相容不同門)
:일(一)・다(多)가 서로 섭융(攝融)하여 장애가 없지만, 항상 각자의 특징을 잃지 않고 그 본성을 유지하는 것
④제법상즉자재문(諸法相卽自在門)
:일(一)・다(多)의 체(體)가 융통무애하여 다가 곧 일이고, 일이 곧 다인 것
⑤은밀현료구성문(隱密顯了俱成門)
:고십현에서는 비밀은현구성문(秘密隱顯俱成門):일과 다는 은밀하고 현묘하지만, 연기에 의하여 둘 사이에 선후가 없는 것
⑥미세상용안립문(微細相容安立門)
:일은 다를 함유하고 다는 일을 포용하여 일과 다가 파괴되지 않는 것
⑦인다라망법계문(因陀羅網法界門)
:고십현에서는 인다라미세경계문(因陀羅微細境界門):일체, 즉 일․다가 상즉 상입(相卽相入)하여 마치 인드라[因陀羅]의 그물에 달린 수많은 보주(寶珠)가 서로 그림자를 비추듯이, 서로 포용함이 한이 없는 것
⑧탁사현법생해문(託事顯法生解門)
:차별적 사물(현상계)에 가탁하여 법(진리)을 나타내고, 사람으로 하여금 요해(了解)의 지(智)가 생기게 하는 것. 현상계의 사물 그대로가 진리임을 가리킨다.
⑨십세격법이성문(十世隔法異成門)
:세(世) 즉 시간의 관점에서 보아 일・다의 상즉 상입을 밝히는 것. 과거・현재・미래의 3세에 또 각각 3세가 있어 9세가 되며, 9세는 상즉상입하여 일념(一念)이 된다. 9세에 일념이 더해져 10세가 된다.
⑩주반원명구덕문(主伴圓明具德門)
:고십현에서는 유심회전선성문(唯心廻轉善成門):일체는 여래장심(如來藏心)을 그 본성으로 하여 이 마음 이외의 것은 아무 것도 없다는 견해이다.
(4)육상원융(六相圓融)
1)육상원융(六相圓融)의 의미
①화엄종의 교리로 세상의 모든 존재는 여섯 가지 상(相) 즉 총상(總相)・별상(別相)・동상(同相)・이
상(異相)・성상(成相)・괴상(壞相)을 갖추고 있다
②전체와 부분 또 부분과 부분이 서로 다른 상을 방해하지 않고 전체와 부분, 부분과 부분이 한 몸
이 되어 원만하게 융화되어 있다는 말이다.
③각각의 개별적 존재로 구성된 전체는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끊임없는 연기(緣起)에 의해 서로
의존하는 관계로 연결된다는 것이다.
④우주 전체를 하나의 통일적 화합체로 보는 전제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우주 법계의 실상임을
말해 주고 있다.
2)육상원융(六相圓融) : 법장의 화엄오교장에 의한 집을 비유한 설명
육상 (六相) | 의 미(집의 비유) | 요약 |
총상 (總相) | ♣모든 법을 하나의 모양으로 보는 것을 말한다. ♣모든 존재는 반드시 여러 가지의 인연이 모여서 성립됨 ♣대들보, 서까래, 기둥, 창문 등을 총괄하여 형성된 집 전체를 말한다. | 보편성 |
별상 (別相) | ♣모든 법이 서로 모양이 다름을 뜻한다. ♣기둥, 서까래, 대들보 등 집의 각 부분을 말한다. | 특수성 |
※총상은 전체이고 별상은 부분인데 집과 기둥이나 서까래 등을 서로 분리할 수 없는 관계를 말한다. | ||
동상 (同相) | ♣서로 다른 모양이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음을 뜻함 ♣대들보, 서까래, 기둥, 창문 등이 각각 다른 사물이나 서로 힘을 합쳐 집을 구성하고 있음을 말한다. | 유사성 |
이상 (異相) | ♣모든 법이 제자리를 지키고 고유한 상태를 유지하여 서로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음을 뜻한다. ♣대들보, 서까래, 기둥, 창문 등이 집을 구성하고 있으나 하나하나를 보면 다른 것임을 말한다. ♣별상이 전체 속에서 조화를 이루면서도 제각기 상을 잃지 않는 것처럼, 대들보는 가로로 기둥은 세로로 있어 다른 유형이 되고 있듯이 다양성을 의미한다. | 다양성 |
※동상과 이상은 다양한 의미가 서로 어긋나지 않고 하나라는 전체를 이루고 있음을 나타낸다. | ||
성상 (成相) | ♣모든 법이 서로 의지하며 동일체로서의 관계를 이루고 있음을 의미한다. ♣대들보, 서까래, 기둥, 창문 등이 각각 서로의 기능과 인연에 의해 집을 이루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 통합성 |
괴상 (壞相) | ♣모든 것이 동일체이면서도 각자의 본위를 잃지 않음을 뜻하는 말이다. ♣대들보, 서까래, 기둥, 창문 등이 집을 형성 시키고 있으면서도 각기 스스로 상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별상이 제각기의 개성을 지키어 총상으로 혼용되지 않는 차별성을 뜻한다. ♣대들보, 서까래, 기둥, 창문 등이 자신을 고집하면 하나로 이루어질 수 없음을 말한다. | 차별성 |
※이와 같이 대립되는 개념을 가지고 사물을 설명하는 것이 육상원융이다. |
▣육상원융은 여섯 상이 서로 원만하게 융화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 > 제8장 불교사상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Ⅶ. 중국불교의 정토사상(淨土思想) 2.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 (0) | 2016.09.21 |
---|---|
Ⅶ. 중국불교의 정토사상(淨土思想) 1.정토사상(淨土思想)의 배경과 정토신앙 (0) | 2016.09.21 |
Ⅵ. 중국불교의 화엄사상(華嚴思想) 2. 화엄교학의 역사 (0) | 2016.09.21 |
Ⅵ. 중국불교의 화엄사상(華嚴思想) 1.화엄경(華嚴經) 해제 (0) | 2016.09.21 |
Ⅴ. 중국불교의 천태사상(天台思想) 3. 지관(止觀)의 수행 (0) | 2016.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