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전체 글 2002

제3장 부처님의 가르침 1. 부처님의 가르침 (9)사섭법(四攝法) (10)사무량심(四無量心)

(9) 사섭법(四攝法, Cattāri-Saṅgaha-vatthu) : 4가지 남들을 이롭게 하는 일  사섭법(四攝法)이란 고통세계의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보살이 중생을 섭수(攝受)하는 네 가지 방법을 말한다.보시섭(布施攝) 재물이나 부처님의 가르침을 베풀어 줌.애어섭(愛語攝) 항상 부드럽고 사랑스러운 말로 대함.이행섭(利行攝) 남을 이롭게 하는 이타행을 함.동사섭(同事攝) 더불어 함께 일하고 서로 협력하는 것. ①보시(布施, dāna) : 법보시가 으뜸이다. : 보시하는 것 가운데 최상의 것은 가르침의 보시이다.(Etadaggaṃ bhikkhave, dānānaṃ yadidaṃ dhammadānaṃ)②애어(愛語, peyyavajja) : 귀를 기울인 자에게 거듭거듭 법을 설하는 것이다.③이행(利行, a..

제3장 부처님의 가르침 1. 부처님의 가르침 (8) 보살(菩薩)의 행원

(8) 보살(菩薩)의 행원  1) 보살의 의미 ①보살(菩薩)은 산스크리트어 보디사트바(Bodhisattva)의 음역인 보리살타(菩提薩埵)의 준말이다. ②보디(Bodhi:보리菩提)는 깨달음, 사트바(Sattva:살타薩埵)는 유정(有情)의 뜻이다. 그래서 각유정(覺有情)이라 의역한다. ③보살은 말 그대로 깨달은 중생・깨달을 중생・깨우치게 해주는 중생・깨달음을 추구하는 중생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④보리심을 발해 성불을 향한 수행도상에서 자리이타행(自利利他行)을 하는 각성된 수행자를 의미한다. ⑤존재의 공성(空性)을 사무치게 깨달은 반야행자(般若行者)를 의미한다. ⑥ 금강경>에는 아상(我相)ㆍ인상(人相)ㆍ중생상(衆生相)ㆍ수자상(壽者相)의 사상(四相)이 없는 사람을 말한다. ⑦대승불교가 지향하는 가장 완벽..

[Dhp.152] 랄루다이(깔루다이) 테라 이야기

[Dhp.152] 랄루다이(깔루다이) 테라 이야기 깔루다이(Kāludāyī) 빅쿠(bhikkhu)는 아주 몸집이 작고 재치도 없는데다가 또 태만하고 어리석었다. 그는 때와 장소에 적합한 말을 하는 적이 별로 없었다. 예를 들면 그는 잔칫집에 가서 장례식에서 하는‘담장 밖 경(띠로쿳다숫따Tirokuḍḍasutta)’을 낭송하곤 했다. 그는 장례식이 진행되고 있는 곳에 가서는‘담장 밖의 경’을 낭송하지 않고 이렇게 ‘축복경(망갈라숫따Maṅgalasutta)’을 낭송했다.  경사스러운 날에 슬프고 언짢은 이야기를 하곤 했다. 더욱 가엾은 것은 그가 자기의 이런 부적합한 언행의 문제점을 모른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답답함을 느낀 다른 빅쿠들이 이 사실을 부처님께 보고 드렸다. 그러자 부처님께서는 “깔루다이 빅쿠처..

제3장 부처님의 가르침 1. 부처님의 가르침 (7)십이연기(十二緣起)

(7) 십이연기(十二緣起) 1) 연기법(緣起法)은 불교의 핵심인 근본사상이다. 2) 부처님이 보리수 아래서 깨달음을 얻은 핵심내용도 바로 이 연기법이다. 3) 부처님의 말씀         ‘연기(緣起)를 보는 자는 곧 법(法)을 보고, 법을 보는 자는 곧 연기를 본다’          그리고 연기를 보는 자는 부처님(佛)을 본다.                                                   [코끼리 자취에 비유한 큰 경(Mahāhatthipadopamasutta), M28]  ▣ 코끼리 자취에 비유한 큰 경(Mahāhatthipadopamasuttaṃ, M28) (1)  코끼리 자취에 비유한 큰 경(Mahāhatthipadopamasuttaṃ, M28) (1)코끼리 자취에..

제3장 부처님의 가르침 1. 부처님의 가르침 (6) 팔정도(八正道)

(6) 팔정도(八正道) = 팔성도(八聖道) = 팔중도(八中道) 팔정도는 불교가 추구하는 목적인 열반을 증득하기 위한 여덟 가지의 실천적인 수행방법을 말한다. 즉 석존께서 그 당시의 많은 수행법을 타파하고 불교적 진리에 입각하여 새롭게 정리하고 개혁한 우월한 실천의 길입니다. 소승불교를 중심으로 한 경전, 즉 「아함경」등에서는 주로 8정도를 중요한 수행의 길이라고 했고, 대승경전에서는 육바라밀을 중요시 했습니다. 석존을 대도사(大導師)라고도 일컫는 것은 우리가 가야 할 진리의 길로 이끌어 주는 스승이라는 뜻에서 그렇게 부르는 것입니다. 그런 뜻에서 이 8정도야말로 가장 체계적으로 사성제를 풀이한 내용인 것입니다. 여기서 정(正)은 바로 중(中)과 같은 뜻이다. 즉 고에도 낙에도 치우치지 않는 가장 안락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