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8장 불교사상의 이해

Ⅵ. 중국불교의 화엄사상(華嚴思想) 2. 화엄교학의 역사

moksha 2016. 9. 21. 17:07


2. 화엄교학의 역사

(1)인도

1)용수(龍樹:150〜250)

①화엄사상뿐만아니라 대승 불교사상의 전반에 걸쳐서 많은 연구 업적을 남겼다.

②8종(八宗)의 조사로 존경을 받고 있다.

③화엄과 관련된 저술:십주비바사론(十住毘婆沙論)

④십주비바사론(十住毘婆沙論)

  화엄경 십지품(十地品)을 풀이한 주석서로써 대승보살의 수행체계를 해석한 것이며 특히 초지인

  환희지(歡喜地)와 제2지인 이구지(離垢地)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2)세친(世親:400〜480)

①십지경론(十地經論) : 중국으로 전래되어 지론종(地論宗)을 성립시켰다.

②정토론(淨土論)

  화엄의 연화장세계와 아미타불의 극락세계는 둘이 아니며, 화엄경의 비로자나불과 극락세계의

  아미타불은 서로 다르지 않다고 설명하고 있다.

 

(2)중국

1)두순(杜順:557〜640)

  ①중국 화엄종의 초조이다.

  ②학문적인 이론가아 저술가라기보다 실천을 중요시한 두타행자(頭陀行者)였다.

  ③저술로는 법계관문(法界觀門)이 있었다고 하나 현존하지 않고 법장이나 징관의 저술에 인용되고

    있다.

2)지엄(智儼:602〜668)

  ①화엄종의 제2조이며 화엄경을 본격적으로 연구한 최초의 화엄교가였다.

  ②저술로는 화엄경공목장(華嚴經孔目章) 4권, 일승십현문(一乘十玄門) 1권, 화엄경수현기(華嚴經搜

    玄記) 9권 등이 있다.

  ③수현기(搜玄記)는 60화엄경에 대한 최초의 주석서로서의 의의가 크다.


3)법장(法藏:643〜712)

  ①현수(賢首)대사 또는 향상(香象)대사라고도 한다.

  ②지엄의 화엄사상을 계승해 화엄교학의 체계를 완성하고 대성시킨 인물이다.

  ③지엄이 입적한 2년 후인 28세에 태원사에서 득도하였고 32세에 측천무후의 주선으로 구족계를 받

    고 현수(賢首)라는 호를 받았다.

  ④저술로는 화엄사상을 확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화엄경탐현기(華嚴經探玄記) 20권과 화엄오교

    장(華嚴五敎章) 1권이 있다.


4)징관(澄觀:738〜839)

  ①중국의 오대산이 여름에도 시원하다고 하여 청량산이라고 하는데 그가 오대산에 오래 주석하였기

    에 청량(淸凉)대사라고도 한다.

  ②법장의 화엄사상을 계승하고 있으나 화엄교학에 선(禪)을 관련시켜 독창적 사상을 발전시켰다.


5)규봉종밀(圭峯宗密:780〜841)

  ①징관의 선(禪)과 관련된 화엄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켰다.

  ②징관과 다른 점은 화엄교학과 선을 대응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교선일치(敎禪一致)로 귀결했다는

    점이다.

  ③종밀은 화엄사상의 대가이나 신회의 하택종에 의지해 교선일치를 주장하고 있어 엄밀히 말하면

    선종 특히 신회의 하택종의 인물로 보아야 한다.


(3)한국

1)자장(慈藏:590〜658)

  ①신라에서 화엄경에 관련된 최초의 인물이다.

  ②636년 당나라로 건너가 섭론종의 법상으로부터 보살계를 받고 643년에 경론을 가지고 귀국하여

    화엄교학과 화엄신앙을 홍포했다.

 

2)원효(元曉:617〜686)

  ①100여종 240여권에 달하는 많은 저술을 남기고 있으나 화엄에 관해서는 화엄경소(華嚴經疏) 8권,

    화엄경강목 1권, 화엄경입법계품초 2권 등이 있었다고 하나 현존하는 것은 화엄경소(華嚴經疏)의

    <서품>과 <광명각품>인 권3이다.

  ②원효사상의 근저에 자리 잡고 있는 것은 <대승기신론>의 여래장사상이다.

  ③원효의 <대승기신론>사상의 특징은 마음에서 어떻게 부처의 활동이 발생하는가 하는 점에 착안을

    두고 있다.

  ④이는 화엄사상의 핵심인 일심법계에서 펼쳐지는 중중무진법계연기와 맥을 같이 한다.

 

 3)의상(義湘:625〜702)

  ①신라 26대 진평왕 때 19세에 황복사로 출가했다.

  ②38세에 당나라 장안의 종남산 지상사의 지엄의 문하에서 8년동안 화엄사상을 수학했다.

  ③지엄이 입적하기 전인 670년에 7언 30구의 간결한 시로 화엄사상을 요약하여 해인삼매의 세계를

    표현한 <화엄일승법계도>를 완성하였다.

  ④스승인 지엄은 의상에게 의지(義知), 법장에게 문지(文知)라고 호를 내렸다. 이는 의상은 근본의

    뜻에 통달해 있고 법장은 이론에 밝음을 나타낸 것이다.

 

4)균여(均如:923〜973)

  ①고려시대의 화엄사상가로 신라의 자장과 같이 교학과 신앙을 동시에 했던 인물이다.

  ②일승법계도원통기(一乘法界圖圓通記)를 비롯한 5부 18권의 저술이 현존한다.

  ③보현보살의 10종 대원을 11수의 향가로 만들어 일반 대중들이 쉽게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