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9장 불교 문화

(4) 일원상(一圓相) (5) 원이삼점(圓伊三點) (6) 연꽃 (7) 보리수(菩提樹)

moksha 2017. 7. 8. 23:03

(4) 일원상(一圓相)

  

① 기원 : 중국의 남양 혜충국사(?~775)가 최초로 그렸다고 전해진다.

② 의미

❶일심(一心)의 원융무애(圓融無碍), 원만 평등함과 무시무종(無始無終)이라는 불교적 시간의 영원

   성을 내포

❷부모미생전(父母未生前) 본래면목(本來面目)

❸이름과 모양을 초월한 진여와 깨달음의 세계

❹언어도단(言語道斷) 심행처멸(心行處滅)의 공의 세계

❺마음의 근본자리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❻우주의 절대진리를 상징한다.

❼선화(禪畵)의 가장 보편적인 소재로 쓰인다.

⇒ 곽암선사는 심우도의 여덟 번째 그림인 ‘인우구망’을 이 일원상으로 표현하고 있다.

 

(5) 원이삼점(圓伊三點) = 원이삼보(圓而三寶) = 삼보륜(三寶輪)

①구성과 의미

동그란 큰 원

안에 위치한 세 점

우주법계(法界)

원융(圓融)

♣불・법・승(佛・法・僧) 삼보(三寶)

삼법인(三法印)을 상징

법신(法身)・보신(報身)・화신(化身)의 삼신불의 삼위일체(三位一體)를 상징

마혜수라(摩醯首羅:Makeśura) 곧 대자재천왕(大自在天王)의 눈 모양을 본뜬 것이라고 하여 자재를 의미

♣열반 3덕인 법신・해탈・반야가 서로 상즉불리(相卽不離)의 관계에 있는 것을 상징

    

원융(圓融)

원융(圓融)이란 걸리고 편벽(偏僻)됨이 없이 모든 것에 가득하고 만족하며, 완전히 일체가 되어서 서로 융합(融合)하므로 방해(妨害)됨이 없는 것을 뜻하고 사물본성의 평등상에 있어서의 무차별 절대를 의미한다.

 

② 그려지는 위치

보통 사찰의 대웅전이나 각종 전각의 지붕 합각벽(合閣壁)


                                                          

                                      <원이삼점 문양>                                <대한불교조계종 문장(紋章)>


대한불교조계종 문장(紋章)

문장의 삼보륜(三寶輪)이 상징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선정(禪定)과 법륜(法輪)을 상징하는 일원상 안에 불・법・승(佛・法・僧) 삼보(三寶)와 계・정・혜(戒・定・慧) 삼학(三學)을 상징하는 3개의 점이 찍혀 있는 형상이라고 설명한다.  

합각벽(合閣壁)

   박공(牔栱) 머리의 세모꼴로 된 벽을 말한다.



                                                                   

                               <불국사 대웅전의 합각벽 (卍문양과 원이삼점 문양)>


박공(牔栱)

뱃집(=맞배지붕집) 양편에 팔(八)자 모양으로 붙인 두꺼운 널을 말하는데, 이 중 박공지붕은 지붕면이 양쪽 방향으로 경사진 지붕을 말하며, 박공벽은 박공지붕의 측면에 생기는 삼각형 벽인 합각벽을 말한다.


(6) 연꽃           


   ①상징성

❶부처님의 탄생과 불교의 이상을 함축적으로 나타내 주는 꽃

❷비록 더러운 진흙탕에 뿌리를 내리지만 그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처염상정(處染常淨)의 꽃으로 보리

   심・무구청정한 불성을 상징한다.

❸아름다운 꽃과 열매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는 모든 중생이 태어남과 동시에 불성을 갖추고 있음을

   상징하며 인과의 도리에 계합하고 있다.

❹고통이 가득 찬 세속에서 수행하여 해탈을 추구하는 대승불교의 보살(菩薩)정신을 상징한다.

❺연은 색에 따라 백련・청련・홍련・황련으로 나누는데 <화엄경>에서는 이를 각각 분다리화・우발라화・

   파두마화・구불두화라 부른다. 분다리화는 부처님을 뜻하고 우발라화는 부처님의 눈, 파두마화는 부

   처님의 손과 발을 나타내기도 한다.


  ②사용

앙련(仰蓮), 복련(覆蓮)으로 석등을 장식하거나 연화대・연등 등 각종 장엄물로 사용되고 있다.
                                  

(7) 보리수(菩提樹)
  

   ①상징
     ❶불교의 생명선인 깨달음(=성도)을 상징
     ❷자각각타(自覺覺他), 각행원만(覺行圓滿)을 나타냄.
 

  ②유래
     ❶본래는 핍팔라수인데,
     ❷부처님이 그 아래에서 성도하였으므로 보리수(菩提樹), 즉 깨달음의 나무로 자리잡음.
     ❸부처님이 깨달음을 얻은 인도 붓다가야는 성지중의 성지로 여기고 있는 금강좌(金剛座)와 보리수는

        항상 예배하는 순례자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