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전체 글 2002

삼귀의(Tisaraṇa)와 삼보 찬탄 : 붓다완나(Buddhavaṇṇa)ㆍ담다완나(Dhammavaṇṇa)ㆍ상가완나(Saṅghavaṇṇa)

삼귀의(Tisaraṇa) Buddhaṃ saraṇaṃ gacchāmi 붓다를 의지하여 나아가겠습니다. 붓당 사라낭 갓차미 Dhammaṃ saraṇaṃ gacchāmi 담마를 의지하여 나아가겠습니다. 담망 사라낭 갓차미 Saṅghaṃ saraṇaṃ gacchāmi. 상가를 의지하여 나아가겠습니다. 상강 사라낭 갓차미 Dutiyaṃ pi buddhaṃ saraṇaṃ gacchāmi 두 번째도 붓다를 의지하여 나아가겠습니다. 두띠얌 삐 붓당 사라낭 갓차미 Dutiyaṃ pi dhammaṃ saraṇaṃ gacchāmi 두 번째도 담마를 의지하여 나아가겠습니다. 두띠얌 삐 담망 사라낭 갓차미 Dutiyaṃ pi saṅghaṃ saraṇaṃ gacchāmi. 두 번째도 상가를 의지하여 나아가겠습니다. 두띠얌 삐 ..

그 분, 세상의 존귀한 님, 거룩한 님, 올바로 원만히 깨달은 님께 예경하나이다.

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나모 땃싸 바가와또 아라하또 쌈마쌈붓닷싸 그 분, 세상의 존귀한 님, 거룩한 님, 올바로 원만히 깨달은 님께 예경하나이다. ▣ 나모(Namo) : 나무(南無), 귀의하다, 귀명하다, 예경하다. ▣ 땃싸(tassa) : 그분에게. ▣ 바가와또(bhagavato) : 세존(世尊), 세상에서 존귀하신 분. ▣ 아라하또(arahato) : 아라한(阿羅漢), 응공(應供), 거룩한 분. ▣ 쌈마쌈붓따싸(sammāsambuddhassa) : 정등각자(正等覺者), 바르게 원만히 깨달으신 분. Buddhist Peaceful Song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FZeIQV9V2vU

훌륭한 가문의 우다인에 대한 큰 경(MN77)(5) : 제자들이 부처님을 존경하고 공경하여 의지하는 다섯 가지 조건

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3번) 나모 땃싸 바가와또 아라하또 쌈마쌈붓닷싸 (3번) 그 분, 세상의 존귀한 님, 거룩한 님, 올바로 원만히 깨달은 님께 예경하나이다. 훌륭한 가문의 우다인에 대한 큰 경(Mahāsakuludāyisutta, MN77) 36. [세존] “우다인이여, 또한 나는 나의 제자들에게 ..

훌륭한 가문의 우다인에 대한 큰 경(MN77)(4) : 제자들이 부처님을 존경하고 공경하여 의지하는 다섯 가지 조건

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3번) 나모 땃싸 바가와또 아라하또 쌈마쌈붓닷싸 (3번) 그 분, 세상의 존귀한 님, 거룩한 님, 올바로 원만히 깨달은 님께 예경하나이다. 훌륭한 가문의 우다인에 대한 큰 경(Mahāsakuludāyisutta, MN77)(4) 24. 우다인이여, 그러나 나의 제자들에게는 나를 존..

훌륭한 가문의 우다인에 대한 큰 경(MN77)(3) : 수행자 고따마는 그 제자들에게 존중받고 존경받고 공경받고 경외받는다.(우다인의 오해)

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3번) 나모 땃싸 바가와또 아라하또 쌈마쌈붓닷싸 (3번) 그 분, 세상의 존귀한 님, 거룩한 님, 올바로 원만히 깨달은 님께 예경하나이다. 훌륭한 가문의 우다인에 대한 큰 경(Mahāsakuludāyisutta, MN77)(3) 15. 그 때 또 다른 사람이 이와 같이 말했습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