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보살상
(1) 보살상의 모습
보살상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특징으로는 긴 머리를 벗어 묶고 수발을 어깨에 늘어뜨리며 머리에는 보관(寶冠)을 쓰고 몸에는 영락(瓔珞)을 걸쳐 장식하고 목・팔・손목・다리・귀 등에 화려한 장신구를 걸치고 몸에는 천의를 입고 있는 등이며 대부분의 보살은 각기 특징적인 계인(契印)을 취하고 있다.
<보살상의 세부 명칭>
① 보관(寶冠)
보석으로 장식된 관을 뜻하지만 특히 불상의 머리 위에 얹는 관을 의미한다. 보관은 고대인도 귀인(貴
人)들의 머리장식에서 유래된 것으로 불상을 장엄하는 데 목적이 있을 뿐 아니라 불・보살의 상징으로도
사용된다. 즉 대일여래는 5불을 상징하는 다섯 개의 화불(化佛)이 표현된 오지보관(五智寶冠)을 쓰고
있으며 관음보살은 보관에 아미타화불(阿彌陀化佛), 대세지보살은 보병(寶甁), 미륵보살은 탑(塔) 등이
새겨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화불(化佛)이란 변화한 부처를 말한다. 응신불(應身佛) 또는 변화불(變化佛)이라고도 한다. 불ㆍ보살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나타나는 것으로 작은 여래형으로 표현된다.
② 영락(瓔珞)
진주・옥・금속 등을 끈으로 꿰어서 만든 것으로 보살의 목이나 가슴 등에 늘어뜨리는 장신구의 하나이
다. 원래 인도 귀족들이 몸을 장식하는 풍습에서 유래되었으나 시대가 내려가면서 불상 특히 보살상의
손과 팔, 다리를 장엄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중국 북위, 북제시대의 영향을 받아 삼국시대에는 심엽형(心葉形)이나 원형, X자형 영
락장식이 크게 유행하였으나 보살상의 양식적 변화와 함께 점차 형식적인 상징물로 표현되었다.
③ 계인(契印)
손에 물건을 든(지물 持物) 수인(手印)으로 주로 보살・신장・나한상들이 계인을 하고 있다.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 > 제9장 불교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의상(衣相) (1) 승복과 불의(佛衣) (2) 보살의(菩薩衣) (3) 갑옷의(甲冑衣) (0) | 2017.06.27 |
---|---|
(2) 보살상의 종류 (0) | 2017.06.27 |
(4) 수인(手印) (0) | 2017.06.27 |
5. 여래상 (1) 여래상의 기원 (2) 여래상의 형식 (3) 불상의 종류 (0) | 2017.06.21 |
(2) 장엄물(莊嚴物) 1) 삼단(三檀) 2) 수미단(須彌壇) 3) 닫집 4) 단청(丹靑) (0) | 2017.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