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9장 불교 문화

5. 여래상 (1) 여래상의 기원 (2) 여래상의 형식 (3) 불상의 종류

moksha 2017. 6. 21. 12:29


5. 여래상

 

(1) 여래상의 기원

  

    1) 부파불교시대

       ① 부처님의 모습을 만드는 것이 신성모독으로 생각

       ② 탑・법륜・금강보좌・보리수・불족적(佛足跡)・연꽃 등이 예배의 대상

    2) 여래상의 조성

       ① 부처님 입멸 후 약500년으로 추정

       ② 부처님의 형상을 대하고 싶어 하는 염원과 부처님의 훌륭하신 인격과 거룩한 가르침을 흠모하는

           마음

       ③ 당시 그리스 문화와 접했던 간다라 미술과 인도 재래신앙의 영향으로 마투라 형식의 불상이 조성되

           기 시작

 

(2) 여래상의 형식

     부처님의 모습을 불상으로 형상화할 때 보통 인간과는 다른 초월적인 절대자, 완성자인 부처님의 형상을

     표현하기 위해 부처님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나타내는 일정한 형식이 요구되었다.

 

   1) 32길상(三十二吉相)

      ① 부처님이 몸이 갖춘 뛰어난 묘상과 위덕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② 발바닥이 평평하고, 수레바퀴 무늬가 있고, 온몸 빛이 황금색이고, 눈빛은 푸른 연꽃같고(청련목),

          머리위의 살이 상투처럼 융기되었고(육계), 두 눈썹 사이에 흰 털이 나는 것(백호) 등


   2) 복장(服裝)

      ① 통견의(通肩衣)와 우견편단의(右肩偏袒衣)

          ♣ 통견은 가사가 두 어깨를 모두 가린 형식

          ♣ 우견편단은 왼쪽 어깨에만 걸쳐서 오른쪽 어깨가 노출된 형식

     ② 대체로 석가모니불은 우견편단의, 아미타불은 통견의 복장이 일반적이다.

 

   3) 광배(光背)

     ① 부처님의 초인성(超人性)을 상징하여 불신의 뒷면에 광명을 표현한 원광(圓光)으로 불꽃 모양의 화

         염이나 연잎모양을 조각해 빛을 형상화한 것을 말한다.

     ② 광배(光背) 또는 후광(後光)이라고도 한다.

     ③ 불광(佛光)・원광(圓光)이란 말이 자주 쓰이는데 이때 빛은 신성과 존귀함을 상징한다.

     ④ 광배(光背)의 종류

         ♣ 두광(頭光):머리에서 빛이 나는 것.

         ♣ 신광(身光):몸 전체에서 빛을 발하는 것.

         ♣ 거신광(擧身光):두광・신광의 구별 없이 불신 후면의 전신에서 발하는 빛을 표현한 것.

     ⑤ 광배(光背)의 모양

          배모양의 주형(舟形)광배와 보배구슬 모양의 보주형(寶珠形) 광배

 

   4) 대좌(臺座)

① 대좌는 앉는 자리를 말하며 좌(座) 또는 좌대(座臺)라고도 한다.

② 금강좌・금강보좌(金剛座・金剛寶座)

     부처님이 보리수 아래에서 성도(成道)했을 때에 앉았던 자리에서 유래한다.

③ 앙련좌(仰蓮座)

    연꽃이 피어 있는 모양으로 꽃부리가 위로 향한 무늬를 새겨 넣은 대좌

④ 복련좌(伏蓮座)

    연꽃을 엎어 놓은 모양으로 꽃부리가 아래로 향한 무늬를 새겨 넣은 대좌

⑤ 사자좌(獅子座)

     부처님이 앉아 계신 곳 또는 큰스님들이 설법하는 자리

⑥ 형식

    방형,형, 복합형(8각원당형), 식물형(蓮花座), 동물형(獅子座), 생령좌(生靈座), 암좌(巖座) 등

 

사자후(獅子吼):두려움 없는 부처님의 설법

 

   5) 육계(肉髻)

       불정(佛頂)・무견정상(無見頂相)・정계(頂髻)라고도 한다.

    ② 보통 부처의 머리 위에 혹과 같이 살(肉)이 올라온 것이나 머리뼈가 튀어 나온 것으로 지혜를 상징

        한다.

       ③ 원래는 인도의 성인(聖人)들이 긴 머리칼을 위로 올려 묶던 형태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6) 나발(螺髮)

    ① 오른쪽으로 말린 꼬불꼬불한 나선형 모양의 머리카락을 말한다.

    ② 원래 부처의 32길상에는 머리카락에 관한 설명이 없지만 일부 경전에 나발이 오른쪽으로 말려 있다

        고 되어 있다.

    ③ 불상의 머리카락은 간다라 불상에서는 굵은 웨이브형인데 비해 마투라 초기불상에서는 소라 모양의

        머리카락으로 표현되었으나 시대가 내려가면서 점차 오른쪽으로 말린 꼬불꼬불한 나발형식으로 변

        하게 되었다.

    ④ 소발(素髮)은 민머리로 별다른 장식이 없는 머리형태를 말한다. 대개 석조불 계통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두발형식이다.

 

7) 백호(白毫)

    ① 부처의 양 눈썹 사이에 난 희고 부드러운 털을 말한다. 이 털은 오른쪽으로 말리면서 나와 있다.

       ② 대승불교에서는 광명을 비춘다고 하여 부처뿐만 아니라 여러 보살들도 모두 갖추도록 규정하였다.

    ③ 초기 불상에서부터 작은 원형을 도드라지게 새기거나 수정 같은 보석을 끼워 넣기도 했으며 드물게

        채색으로 직접 그리기도 하였다.

 

   8) 삼도(三道)

    ① 불상 목 주위에 표현된 3개의 주름을 말한다.

    ② 생사(生死)를 윤회하는 인과(因果)를 나타내며 혹도(惑道) 또는 번뇌도(煩惱道), 업도(業道), 고도

        (苦道)를 의미한다.

    ③ 지옥, 아귀, 축생의 삼도(三道)를 상징한다고도 한다.

    ④ 원만하고 광대한 불신(佛身)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형식으로 보통 불・보살상에서 볼 수 있다


<불상의 형식>


(3) 불상의 종류

  

불상은 머리위의 살이 혹처럼 불룩 솟은 육계와 곱슬머리 모양의 나발형태를 하고 있고 보살상은 보관을 머리에 쓰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여래상은 손모양(手印)과 가사에 따라 보살상은 보관과 지물에 따라 구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1) 석가여래상:석가모니불은 불교를 창시한 사바세계의 교주

 

    ① 탄생불

   태어나자마자 일곱걸음을 걸으며 천상천하 유아독존 일체개고 아당안지(天上天下 唯我獨尊 一切皆

   苦 我當安之)라고 외쳤다.

    ② 고행상

       눈이 움푹 들어가고 피골이 상접한 모습의 상

    ③ 성도상

        악마를 물리치고 깨달음을 이룬 상

    ④ 설법상

        녹야원에서 최초로 설법하는 상

    ⑤ 열반상

       머리를 북쪽으로 하고 오른쪽 어깨를 아래로 하여 모로 누운 상



                                                  

                      <고행상 - 선정인:2~3세기 시크리 출토, 파키스탄의 라호르박물관>

높이 83.8cm이며 2~3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가모니 고행상은 인도 본토에서는 거의 만들어지지 않았고, 간다라 미술 특유의 창안이라고 할 수 있다.



 2) 비로자나여래상

    ①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은 석가의 진신(眞身)을 높여 부르는 칭호로써 언어문자, 이름과 모양을 초월

        한 진리자체를 상징하는 청정법신불을 말하며 밀교에서는 대일여래(大日如來)라고 한다.

    ② 비로자나는 산스크리트어 바이로차나(Vairocana)의 음역으로 바이로차나(Vairocana)는 ‘태양’ 이라

        는 뜻이며 불지(佛智)의 광대무변함을 상징하고 부처님의 광명이 어디에나 두루 비친 다는 뜻이다.

    ③ 비로자나불은 화엄경의 주불이기 때문에 화엄종이나 선종계통의 사찰들이 주존불로 모신다.


                                                                  

                             <비로자나여래상-지권인>             <비로자나여래상-권인>


 3) 아미타불여래상

    ① 아미타불은 서방 극락세계에 상주하는 보신불이다.

    ② 산스크리트어로 아미타바 붓다(Amitabha-Buddha) 혹은 아미타유스 붓다(Amitayus-Buddha)라고

        불린다.

    ③ 아미타바(Amitabha)는 “한량없는 빛”을 의미하므로 무한한 광명의 부처님이란 의미로 무량광불(無量

        光佛)이라 한다.

    ④ 아미타유스(Amitayus)는 “한량없는 수명”을 의미하므로 영원한 수명의 부처님이란 의미로 무량수불

        (無量壽佛)이라 한다.

    ⑤ 정토삼부경에 의하면 아미타불은 과거에 법장(法藏)비구로 깨달음을 얻어 중생을 제도하겠다는 48원

        을 세우고 오랫동안 수행한 결과 그 원을 성취하여 지금부터 10겁 전에 극락세계의 부처가 되었다.

    ⑥ 누구나 간절하게 아미타불을 부르면 왕생극락할 수 있다고 한다.

    ⑦ 정토삼부경: <아미타경>, <무량수경>, <관무량수경>


 4) 약사여래상

    ① 약사여래는 중생의 질병을 치료하고 수명을 연장하며 온갖 고난과 근심을 없애 주고 의복・음식 등을

        만족케 하는 12대원을 가지고 계시는 부처님이시다.

    ② 동방유리광여래 혹은 대의왕불이라고도 한다.

    ③ 약사여래상은 보통 왼손으로 약단지를 들고 있는 것이 상징적이며, 오른손은 두려움을 없애주는 시무

        외인을 취하고 있다.

 

약사여래 12대원

   ① 광명보조원(光明普照願):모두에게 광명이 끝없고 상호가 원만하고자 하는 원

   ② 수의성변원(隨意成辨願):위덕(威德)이 높아 중생을 깨우치려는 원

   ③ 시무진물원(施無盡物願):중생으로 하여금 만족하게 하려는 원

   ④ 안립대승원(安立大乘願):중생으로 하여금 대승교에 들어오게 하려는 원

   ⑤ 구계청정원(具戒淸淨願):중생으로 하여금 깨끗하게 업을 지어 삼취계(삼취계)를 구복하게 하려는 원

   ⑥ 제근구족원(諸根具足願):일체의 불구자를 완전케 하려는 원

   ⑦ 제병안락원(除病安樂願):병을 없애어 몸과 마음을 안락케 하려는 원

   ⑧ 전여득불원(轉女得佛願):여인들을 모두 남자가 되게 하려는 원

   ⑨ 안립정견원(安立正見願):나쁜 소견을 없애고 부처의 지견을 보게 하려는 원

   ⑩ 제난해탈원(除難解脫願):나쁜 지배자나 포악한 무리로부터 구제하려는 원

   ⑪ 포식안락원(飽食安樂願):중생의 기갈을 면하고 배를 불리게 하려는 원

   ⑫ 미의반족원(美衣滿足願):의복이 없는 중생에게 옷을 입히려는 원


                                                  

                금동비로자나불좌상                 금동아미타여래좌상                  금동약사여래입상

               (불국사 국보 제26호)                (불국사 국보 27호)                (백률사 국보 제28호)


▣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26호),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국보 제27호),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국보 제28호)과 함께 통일신라 3대 금동불상으로 불린다.

 

 5) 미륵여래상(미륵보살상)

    ① 석가모니 부처님으로부터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授記)를 받아 현재 도솔천 내원궁에 계시다.

    ② 부처님 입멸 후 56억 7천만년 뒤에 다시 이 사바세계에 출현, 용화수 아래서 성도하여 3일의 설법으로

        석가모니 부처님의 교화에서 빠진 모든 중생을 제도한다는 미래불이다.

    ③ 보통 시무외인과 여원인의 수인을 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