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9장 불교 문화

7. 의상(衣相) (1) 승복과 불의(佛衣) (2) 보살의(菩薩衣) (3) 갑옷의(甲冑衣)

moksha 2017. 6. 27. 23:55

7. 의상(衣相)

 

(1) 승복과 불의(佛衣)

   1) 승려의 가사(袈娑)

    ① 가사는 산스크라트어의 카사야(kasaya)의 음역으로 부정색(不正色)・탁색(濁色)・중간색(中間色)

        즉 청・황・적・백・흑의 원색이 아닌 옷을 말한다.

      ② 가사의 종류

승가리

(僧伽梨)

대의

(大衣)

ㆍ마을이나 궁중에 들어갈 때 또는 예불, 독경, 설법 할 때 장삼 위에 착용하며 탁발시도 입으며 이를 중복가사라 하는데 대가사(대의 大衣)라고도 하며, 외의(外衣) 혹은 중의(重依)라고도 한다.

ㆍ빠알리(Pāli)어 상가띠(saṅghāṭi)의 음역이다.

울다라승

(鬱多羅僧)

7조의

(七條衣)

ㆍ예불, 독경, 포살, 청강시 입는 옷으로 승려의 평상복이며 상의(上衣)라고도 한다.

ㆍ빠알리(Pāli)어 웃따라상가(uttarāsaṅga)의 음역이다.

안타회

(安陀會)

5조의

(五條衣)

ㆍ노동이나 여행,침, 작업복으로 사용되며 하의(下衣), 내의(內衣), 중숙의(中宿依)라고도 한다.

ㆍ빠알리(Pāli)어 안따라와사까(antaravāsaka)의 음역이다.


가사(袈娑)의 동의어

염의(染衣), 납의(衲衣), 분소의(糞掃衣), 공덕의(功德衣), 복전의(福田衣), 무구의(無垢衣), 이진복(離塵服), 소수의(消瘦衣), 간색의(間色衣)라고도 한다.

④ 스님을 운수납자(雲水衲子)라고 부른다. *衲(기울 납)

 

 

2) 승가리(僧伽梨)의 종류

 

1

2

3

상등(上等)

25條

23條

21條

중등(中等)

19條

17條

15條

하등(下等)

13條

11條

9條

   

3) 조계종의 비구・비구니 법계별 가사조수(袈娑條數)와 승랍(僧臘)

승 랍

비구 법계(法階)

비구니 법계(法階)

전형방법

40년 이상

대종사

25조

명사

21조

특별전형

30년 이상

종사

21조

명덕

19조

특별전형

25년 이상

종덕

19조

현덕

15조

고시 1급

20년 이상

대덕

15조

혜덕

13조

고시 2급

10년 이상

중덕

9조

정덕

9조

고시 3급

10년 미만

견덕

7조

계덕

7조

고시 4급

 

비구 6물(六物)삼의(三衣)・발우・녹수낭・니사단

♣ 발우(鉢盂):발우는 식기를 뜻하며 바루, 바리대라고 한다.

♣ 녹수낭(鹿水囊):녹수라고 하는데 물을 퍼서 물 중에 벌레를 걸러내는 도구

♣ 니사단(尼師壇):스님이 앉거나 누울 적에 땅에 펴서 몸을 보호하며 와구(臥具) 위에 펴서 와구를 보호하는 네모진 깔개를 말한다.


비구 18물

대승불교의 계율경전인 범망경(梵網經) 권하(下)에 “봄과 가을에는 의식주에 대한 욕심을 없애고 오로지 불도(佛道)를 수행하며, 겨울과 여름에는 선정(禪定)에 들고, 장마철에는 한 곳에 머물면서 좌선하여 학문을 닦는다.”고 하는 출가생활의 기본이 적혀 있다.

이러한 수행을 할 때에는 반드시 ①대의(승가리) ②상의(울다라승) ③내의(안타회)의 3의(三衣)와 ④양지(楊枝 : 칫솔) ⑤조두(藻豆:비누) ⑥물병(甁) ⑦발우(鉢盂:밥그릇) ⑧좌구(坐具:깔개) ⑨석장(錫杖:지팡이) ⑩향로(香爐) ⑪녹수낭(鹿水囊:물주머니) ⑫모건(毛巾 : 수건) ⑬도자(刀子 : 삭도) ⑭화수(火燧:부싯돌) ⑮섭자(鑷子:코털뽑개) ⑯승상(繩床:의자) ⑰경(經) ⑱율(律)ㆍ불상ㆍ보살상을 몸에 지니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18물은 수행자의 일상 필수품인 것이다.


   2) 불의(佛衣)

      부처님도 승복의 3의를 입었으며, 그것은 후대의 불상에서도 나타난다.

     ① 상내의(上內衣):안에 속내의로 입는 옷

     ② 군의(하군:下裙):아랫도리에 입는 옷

     ③ 편삼(偏衫)

        인도에서는 보이지 않고 우리나라와 중국 등에서 나타나는 옷으로, 대의를 편단우견식으로 입는 옷

 

   3) 착의법(着衣法)

    

     ① 편단우견(偏袒右肩)

       ♣ 우견편단(右肩偏袒) 이라고도 하며 오른쪽 어깨는 드러낸 채 가사를 왼쪽어깨에서 겨드랑이로 입는

           방식이다.

        ♣ 상대방에 대한 공경을 뜻하며 마투라 불상 양식에서 비롯되었다.

      ② 통견(通肩)

         양쪽 어깨를 모두 가사를 걸쳐 입는 방식으로 간다라 불상 양식의 영향에서 비롯되었다.

 

 (2) 보살의(菩薩衣)

보살은 천의(天衣)를 입는다고 한다. 천의는 호화스러운 비단으로 된 부드럽고 경쾌한 옷으로 알려져 있다.

 

 (3) 갑옷의(甲冑衣)

사천왕과 8부중 같은 신장상들이 입는 옷이다. 인도에서는 갑옷을 거의 입지 않으나 중국과 우리나라로 넘어 오면서 신장들은 장군(將軍)형으로 변하게 되며, 갑옷을 입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