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아! 그분 고따마 붓다/고따마 붓다의 생애

7. 고행의 길

moksha 2017. 5. 13. 22:15

7. 고행의 길

 

지고의 선과 최상의 진리를 찾아 보살의 발길은 남쪽 가야(Gayā)로 향했다. 그 뒤를 꼰단냐(Koṇḍañña)ㆍ왑빠(Vappa)ㆍ밧디야(Bhaddiya)ㆍ마하나마(Mahānāma)ㆍ앗사지(Assaji) 다섯 사람이 따랐다. 가야산 꼭대기에 오른 보살은 나무 아래 풀을 깔고 깊은 생각에 잠겼다.

‘길고 긴 고통의 원인인 번뇌와 속박을 어떻게 하면 태워버릴 수 있을까? 번뇌와 속박을 태워버릴 불은 어떻게 지필 수 있을까?’

그때 맑고 선명한 생각이 떠올랐다.

‘물에 축축하게 젖은 나무토막으로는 불을 피울 수 없다. 그런 나무토막을 주워 불을 피우려고 부싯돌을 켜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결코 불을 얻을 수 없다. 그 사람은 소득도 없이 피곤할 뿐이다. 사문 바라문들 가운데 현재 몸과 마음을 오욕의 강물에 내던지고 사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오욕에 목말라하고, 오욕에 욕심을 내고, 오욕에 열을 내고, 오욕을 추구한다. 그들은 오욕으로 향한 마음을 버리지 모하고 정화하지도 못하고 있다. 그런 수행자는 격렬하고 모진 고행을 하더라도 진리를 보고 알고 깨닫는 것이 불가능 하다 물속에 던져진 마무토막에 부싯돌을 켜는 것처럼 소득이 없다.

물에서 건졌지만 물기가 마르지 않은 나무토막으로는 불을 피울 수 없다. 그런 나무토막을 주워 불을 피워야지 라고 생각하며 부싯돌을 켜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결코 불을 얻을 수 없다. 그 사람은 소득도 없이 피곤할 뿐이다. 사문 바라문들 가운데 오욕의 강물에서 빠져나와 생활하지만 마음속으로는 여전히 오욕에 목말라 하고, 오욕에 욕심을 내고, 오욕에 열을 내고, 오욕을 추구하는 이들이 있다. 그들은 오욕으로 향한 마음을 버리지 못하고 정화하지도 못하고 있다. 그런 수행자는 격렬하고 모진 고행을 하더라도 진리를 보고 알고 깨닫는 것이 불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고행을 하지 않더라도 진리를 보고 알고 깨닫는 것이 불가능하다. 물기가 마르지 않은 나무토막에 부싯돌을 켜는 것처럼 소득이 없다.

땅위의 바짝 마른 나무토막으로는 불을 피울 수 있다. 그런 나무토막을 주워 불을 피워야지 하고 마음먹고 부싯돌을 켜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반드시 불을 얻을 수 있다. 사무 바라문들 가운데 오욕의 강물에서 빠져나와 생활하면서 마음속으로도 오욕에 목말라하지 않고, 오욕에 욕심을 내지 않고. 오욕에 열을 내지 않고, 오욕을 추구하지 않는 자들이 있다. 그들은 오욕으로 향한 마음을 버리조 정화한 것이다. 그런 수행자가 격렬하고 신랄한 고행을 한다면 진리를 보고 알고 깨닫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고행을 하지 않더라도 진리를 보고 알고 깨닫는 것이 가능하다. 바짝 마른 나무토막에 부싯돌을 켜는 것처럼 분명 소득이 있다.’

더 이상 스승은 필요치 않았다. 보살은 올바른 고행을 통해 최고의 깨달음에 도달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갖고 고행자들이 머무는 숲 우루웰라(Uruvelā)의 세나니(Senāni)에서 발길을 멈췄다. 아름다운 네란자라(Nerañjarā)강이 굽이치는 그곳은 땅이 기름지고 숲이 깨끗했으며 경관이 수려하였다. 농가 주변에는 온갖 꽃들이 만발하고 과일나무가 무성했으며, 마을 사람들은 편안하고 고요한 생활을 즐기고 있었다. 수행하기 더없이 좋은 곳이었다.

숲 속 고행자들의 수행법은 다양했다. 어떤 이는 하루에 한 끼를 먹었고, 어떤 이는 이틀에 한 끼, 어떤 이는 반달이나 한 달에 한 끼만 먹었다. 어떤 이는 하루에 보리 한 알이나 깨 한 알, 쌀 한 톨밖에 먹지 않았다. 쇠똥을 핥아먹는 이, 물만 마시는 아, 굶어 죽으면 하늘나라에 태어난다고 믿는 이도 있었다. 소나 양의 가죽을 입은 이, 나무 꺼질을 걸친 이, 재를 몸에 바른 이, 시커먼 검댕이나 똥을 바른 이, 아예 벌거벗은 이들도 있었다. 씻지 않는 이, 추운 밤에도 몇 번씩 강물에 들어가 목욕하는 이, 해나 달은 응시하는 이, 주문을 외우고 웨다(Veda)를 읽는 이, 갖가지 신들과 귀신들에게 비는 이, 칼과 창 등 무기에 제사지내며 해탈을 구하는 이들도 있었다.

숲 속에서의 외로운 삶에는 두려움과 공포가 도사리고 있었다. 보살은 생각하였다.

‘두려움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 ? 몸과 말과 마음의 행위가 깨끗하지 못한 이, 생활이 깨끗하지 못한 이, 탐욕으로 심한 애욕을 느끼는 이, 원한을 품은 이, 악의를 품은 이, 마음이 침울하고 무거운 이, 마음이 들뜬 이, 의혹에 휩싸인 이 , 자신을 칭찬하고 남을 비난하는 이, 불안으로 몸이 굳은 이, 이익과 존경과 명성을 추구하는 이, 게으르고 나태한 이, 산만한 이, 어리석은 이, 그런 이라면 숲 속의 고독한 삶이 두려울 것이다. 하지만 나는 그렇지 않다.’

보살은 공포의 실상을 확인하기 위해 깊고 어두운 숲으로 걸어 들어갔다. 그리고 머리카락이 곤두설 만큼 두려운 자리에서 발길을 멈췄다. 산발한 여인처럼 가지를 흔드는 커다란 나무 아래 앉아 있을 때, 공포와 전율이 찾아왔다. 보살은 밀려드는 두려움을 억누르고 찬찬히 주위를 살폈다. 사슴이 다가오고 공작이 풀잎을 흔들고 바람에 낙엽이 떨어지고 있었다. 헛된 두려움에 휩싸였던 자신을 확인한 보살은 시시각각 갖은 형태로 찾아드는 공포와 전율을 피하지 않고 그대로 극복하였다.

보살은 몸과 마음의 선하지 못한 업을 태워버리기 위해 고독하고 처절한 고행을 시작하였다. 식사 초대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머물러 달라는 청도 받아들이지 않고, 가져온 음식도 받지 않고, 문간에 준비된 음식도 받지 않았다. 병이나 접시에 담긴 음식물을 직접 받지 않고, 집안에 들어가 받는 일도 없었다. 생선이나 고기를 먹지 않고, 곡식으로 빚은 술도 과일로 빚은 술도 쌀로 끓인 미음도 마시지 않았다. 오로지 야채만 먹기도 하고, 쭉정이만 먹기도 하고, 숲 속 나무뿌리나 과일만 먹기도 하고, 혹은 떨어진 열매만 주워 먹기도 하였다. 거친 베옷을 입고, 쓰레기 더미에서 주어온 누더기를 입고, 풀이나 나무껍질 또는 부엉이의 깃털을 엮어 입고, 아예 나체로 지내기도 하였다. 머리카락과 수염을 뽑기도 하고, 항상 서서 생활하기도 하며, 항상 웅크린 자세로 지내기도 하고, 가시 방석에 눕기도 하였다. 몸에 낀 때가 이끼처럼 덕지덕지 쌓인 보살은 숲에서 가장 남루한 사람이 되었다. 한 방울의 물을 버릴 때도 작은 벌레를 죽이지나 않을까 조심하는 보살은 숲에서 살생을 가장 싫어하는 사람이 되었다. 목동이나 나무꾼이라도 다가오면 놀란 사슴처럼 달아나는 보살은 숲에서 가장 고독한 사람이 되었다.

보살은 호흡을 멈추는 고행을 실천하기로 마음먹었다. 이빨을 앙다물고 혀끝을 세워 목구멍을 막아 몸과 마음을 압박했다. 그러자 힘센 장정이 힘없는 사람을 짖밟는 듯 극심한 고통이 찾아왔다. 겨드랑이에서 땀이 흘렀다. 고행에 압도당한 몸은 안절부절못하고 편안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통증을 이겨내며 부지런히 노력하고, 집중력을 기울여 의식을 잃지 않으려고 애썼다.

숨을 쉬지 않고 멈추었다. 입과 코를 막아 바람이 통하지 못하게 하였다. 그러자 귀에서 폭발하는 듯한 소리가 터져 나왔다. 대장간에서 풀무질할 때처럼 큰 바람소리가 귀에서 울렸다. 고행에 압도당한 몸은 안절부절못하고 편안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통증을 이겨내며 부지런히 노력하고, 집중력을 기울여 의식을 잃지 않으려고 애썼다.

입과 코뿐 아니라 귀까지 막았다. 그러자 강렬한 바람이 머리끝을 뚫고 분출하였다. 고행에 압도당한 몸은 안절부절못하고 편안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통증을 이겨내며 부지런히 노력하고, 집중력을 기울여 의식을 잃지 않으려고 애썼다.

보살은 숨 쉬지 않는 고행을 더 강렬하게 해야겠다는 생각에 입과 코와 귀뿐만 아니라 모든 구멍을 막고 숨쉬기를 멈췄다. 그러자 힘센 사람이 거친 가죽 끈으로 머리를 싸고는 칼로 도려내는 듯한 통증이 찾아왔다. 능숙한 도살자가 날이 시퍼런 칼로 소의 배를 가르듯 강렬한 바람이 배를 갈랐으며, 힘센 사람 둘이서 약한 사람을 잡아 손발을 묶은 채 숯불 아궁이에 던지듯 강렬한 불길이 온몸을 휘감으며 타올랐다. 고행으로 짓눌린 몸은 안절부절못하고 편안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통증을 이겨내며 부지런히 노력하고, 집중력을 기울여 의식을 잃지 않았다.

호흡을 멈추는 고행을 통해 만족스런 결과를 얻지 못한 보살은 음식을 먹지 않는 고행을 실천하기로 마음먹었다. 음식을 줄여나가던 보살은 강낭콩 또는 완두콩으로 만든 죽을 한 방울씩만 먹게 되었다. 점점 야위어가던 몸은 결국 피로와 굶주림을 이기지 못해 쓰러지고 말았다. 그러나 보살은 멈추지 않았다. 마른 넝쿨처럼 뼈마디가 불거지고, 엉덩이는 낙타의 발처럼 말라버렸다. 등뼈가 쇠사슬처럼 드러나고, 갈비뼈는 낡은 건물의 서까래처럼 울퉁불퉁 모습을 드러냈다. 뱃가죽을 만져보려고 손을 뻗으면 등뼈가 만져지고, 등뼈를 만져보려고 손을 뻗으면 뱃가죽이 만져졌다. 보살은 소변을 보러 일어서다 넘어지기 일쑤였다. 기력이 없으니 스스로 일어서지도 못했다. 늙은 노인처럼 숨길이 가늘어지고, 손발이 마음대로 움직여지지 않았다. 저린 팔다리를 쓰다듬으면 뿌리가 썩어버린 털들이 후드득 떨어지고, 황금빛으로 빛나던 피부는 익기 전에 딴 조롱박처럼 바람과 햇살에 까맣게 타들어갔다. 오직 깊은 우물 속 반짝이는 물처럼 움푹 팬 눈두덩 깊숙이에서 눈동자만 빛나고 있었다.

바라문 수행자들은 그런 보살을 보고 손가락질하였다.

“사문 고따마(Gotama, 구담瞿曇)는 검둥이였구먼.”

어린 목동들까지 다가와 침을 뱉고 오줌을 싸고 흙을 뿌렸다.

“에이, 더러운 녀석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