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회 포교사 고시
[제1교시] 기본교육과정
【객관식】(문항당 2점 배점 : 25문항×2점〓50점)
1. 일반적으로 절의 경내가 시작되는 곳으로 이곳에 이르러서 법당 쪽을 향하여 공손하게 반배를 올리는 곳은?
① 금강문 ② 천왕문 ③ 일주문 ④ 해탈문
2. 다음은 불단에 초와 향을 공양하는 예절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올바른 것은?
① 이미 초나 향이 피워져 있으면 부처님 전에 올려놓는 것으로 공양을 대신한다.
② 다른 신도가 켜 놓은 촛불을 끄고 자기가 준비한 초에 불을 붙여 올린다.
③ 초와 향이 피워져 있더라도 그 옆에 초와 향을 켜서 자신의 마음을 나타낸다.
④ 초와 향이 피워져 있으면 자기가 준비한 것은 도로 가지고 나온다.
3. 다음 중 서방정토의 주불이신 아미타불을 모신 법당을 지칭하는 것이 아닌 것은?
① 극락전 ② 미타전 ③ 무량수전 ④ 대적광전
<해설> 대적광전은 비로자나불을 모신 곳이다.
4. 일반적인 사찰 구조로 볼 때 우리나라에서는 삼문(三門)을 총칭하여 산문(山門)이라 한다. 다음 중 사찰 경내에 들어서면서 거치게 되는 삼문의 순서가 바르게 된 것은?
① 일주문 - 불이문 - 천왕문
② 일주문 - 천왕문 - 불이문
③ 일주문 - 불이문 - 금강문
④ 일주문 - 천왕문 - 금강문
5. 다음은 부도에 관한 설명이다. 가장 올바른 것은?
① 조상숭배를 중시하는 교종의 발달과 더불어 성행하였다.
② 탑에는 사리를 봉안하고 부도에는 사리를 제외한 유품을 봉안한다.
③ 오늘날에는 탑을 승탑이라고 하고, 부도를 불탑이라고 한다.
④ 부도는 사찰 경내의 변두리나 멀리 떨어진 곳에 세워진다.
6. 다음은 연등불과 수메다(선혜(善慧))의 인연에 대한 설명이다. 바른 설명은?
① 연등불은 미륵불에게 전해줄 가사를 수메다에게 맡겼다.
② 수메다는 연등불을 위해 머리를 풀어 그 위를 밟고 지나가게 하였다.
③ 수메다는 연등불에게 등(燈) 공양을 하였다.
④ 등(燈)을 판매한 여인은 그 인연으로 석가모니 부처님의 이모가 되었다.
7. 다음은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이 땅에 오시기 전후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마야 부인은 흰 코끼리가 오른쪽 옆구리로 들어오는 태몽을 꾸었다.
② 마야 부인에게는 아이를 잉태한 후 여러 가지 신통한 변화가 일어났다.
③ 태자가 태어나자 해와 달이 멈추는 등 일백가지의 신비한 일들이 생겨났다.
④ 태자가 신묘를 참배하자 신묘의 여러 신상들이 모두 거꾸로 넘어졌다.
<해설> 태자가 태어나자 32가지의 신비한 일이 생겨났다고 한다.
8. 다음 내용과 가장 관계 깊은 팔상도(八相圖)는?
나는 하늘에 태어나기를 원하지 않는다. 많은 중생이 삶과 죽음의 고통 속에 있지 아니한가. 나는 이를 구제하기 위하여 집을 나가는 것이니 위없는 깨달음을 얻기 전에는 결코 돌아오지 않으리라. -오분율- |
① 도솔래의상 ② 사문유관상
③ 유성출가상 ④ 설산수도상
9. 다음 중 부처님의 십대제자와 그 수승한 능력의 연결이 바른 것은?
① 해공제일 - 사리불 ② 지혜제일 - 마하가섭
③ 지계제일 - 부루나 ④ 논의제일 - 가전연
10. 불교교단 구성의 필요충분요건이라 할 수 있는 사부대중이 성립하게 된 계기는?
① 마하파자파티의 출가 ② 빔비사라왕의 귀의
③ 라훌라의 출가 ④ 야사 부모의 귀의
11. 다음 중 먼저 일어난 순서대로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야사의 출가 - 빔비사라왕의 귀의 - 수자타의 공양 - 기원정사 건립
② 야사의 출가 - 전도 선언 - 기원정사 건립 - 빔비사라왕의 귀의
③ 기원정사 건립 - 가섭 삼형제 교화 - 석가족의 귀의 - 전도 선언
④ 야사의 출가 - 전도 선언 - 빔비사라왕의 귀의 - 기원정사 건립
12. 다음은 ‘다르마(dharma)’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다르마는 불교에서 말하는 법의 원어에 해당된다.
② 불교의 다르마는 규범, 의무, 사회질서의 의미뿐만 아니라 존재, 물(物)의 의미도 갖고 있다.
③ 다르마는 ‘유지하다’, ‘보존하다’라는 의미의 어원에서 파생되었다.
④ 다르마는 부처님 당시 인도에서는 ‘깨달은 자’를 뜻한다.
13. 다음은 중도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양극단의 가운데를 의미하며 오늘날 양비론에 해당된다.
② 중도의 실천으로 제시된 것이 곧 팔정도이다.
③ 중론에서는 팔부중도(八不中道)를 설명하고 있다.
④ 연기의 진리 위에서 중도의 입장이 나온다.
14. 다음은 팔정도의 덕목 중 어떤 내용을 설명한 것인가?
바른 생활이다. 옳은 일에 종사하고 몸과 말과 마음의 신구의(身口意) 삼업을 청정하게 하면서 바로 사는 것을 말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한다면 바른 직업관을 가지고 생명에 임해야 한다. |
① 정정(正定) ② 정업(正業) ③ 정명(正命) ④ 정정진(正精進)
15. ‘업(業)’에 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결과를 낳는 근원적인 행동을 업이라 한다.
② 불교의 업설은 선의지(善意志)에 바탕한 창조적 노력을 강조한다.
③ 고통스러운 과보를 초래하는 악업의 원인은 미혹(迷惑)이다.
④ 업은 범어 까루나(karuna)의 번역어로 ‘결정된 운명’을 뜻한다.
<해설> 업의 범어는 까르마(karma)이며 ‘의도를 가진 행동’을 뜻한다.
16. 다음은 아비달마불교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부처님의 교설을 체계화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② 본래‘아비달마’란 ‘교법에 대한 연구’라는 뜻이다.
③ 이상적인 인간상은 아라한으로 상정하였다.
④ 각 부파마다 소의 경전이 달랐다.
<해설> 소의경전은 중국불교의 개념이다.
17. 다음은 보살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대승보살의 대표적인 수행덕목은 육바라밀이다.
② 깨달음을 구하면서 중생을 제도하는 대승불교의 이상적인 인간상이다.
③ 보살은 보리살타의 준말이라고도 한다.
④ 부파불교 논서에는 보살이라는 용어가 없다.
18. 다음은 중국불교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타당한 것은?
① 소승경전이 전래된 후 약 100년 뒤에 대승경전이 전래되었다.
② 여러 나라 출신의 역경가들이 경전 번역에 참여하였다.
③ 반야 또는 공의 교리는 주로 유교의 개념을 통해 풀이하고 이해하였다.
④ 모든 경전 번역은 중화사상에 의거해 중국인에 의해 번역되었다.
<해설> 역경에는 천축국, 대월지국 등 여러 나라의 역경가들이 참여하였다.
19. 다음 설명과 관계 깊은 조선시대 왕은?
ㆍ원각사를 비롯한 전국의 여러 사원을 중흥하고 불사를 크게 일으키는 한편, 스님의 권익 옹호와 불교의 지위 보장에 힘썼다. ㆍ영산회상곡과 연화대무를 창제하고 불교음악과 무용을 국악화하였다. ㆍ간경도감을 설치하고, 중요한 불교경전을 한글로 번역, 간행하였다. |
① 세종 ② 세조 ③ 정조 ④ 순조
20. 불교 특히 대승불교에서는 발원을 수행의 첫걸음으로 삼고 있다. 원(願)을 발한다는 것, 이것은 일반적으로 말하는 욕심과 다르다. 다음 중 욕심과 발원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욕심은 다분히 개인적인 바람이지만 발원은 공통적 바람을 염두에 두고 있다.
② 욕심은 본능적인 것이지만 발원은 능동적인 것이다.
③ 욕심은 과정 그 자체를 중시하지만 발원은 결과를 중시한다.
④ 발원은 업생(業生)이 아니라 원생(願生)으로 나아가는 첫 단추이다.
21. 다음은 기도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기도는 가능한 한 매일 ‘다른 장소 다른 시간’에 하는 것이 좋다.
② 간절한 마음을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자기부정이 전제되어야 한다.
③ 궁극적으로 기도는 선지식의 만남을 통한 자기와 이웃의 만남을 뜻한다.
④ 기도할 때는 믿는 마음, 참회하는 마음, 자비로운 마음을 내는 것이 중요하다.
22. 다음은 여러 가지 신앙(기도)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올바른 것은?
① 지장 신앙은 우리나라에만 있는 특수한 것이다.
② 칠성 신앙은 유교와 불교가 융합되어 생겨난 것이다.
③ 관음 기도와 연관된 경전은 유마경, 화엄경 등이다.
④ 참회 기도는 이참(理懺)과 사참(事懺) 기도가 있다.
23. 다음은 예불문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일반적으로 칠정례(七頂禮)라고 한다.
② ‘달마야중’에서 ‘달마’는 달마대사에 대해 예를 올리는 것이다.
③ 사찰에 따라 개산조, 중흥조에 대해 예를 올리는 경우도 있다.
④ 사시예불 때에는 ‘지심귀명례’ 대신 ‘지심정례공양’이라고 한다.
24. 대한불교조계종 종헌에 서술된 조계종의 종지(宗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불립문자(不立文字) ②직지인심(直指人心)
③전법도생(傳法度生) ④견성성불(見性成佛)
25. 다음은 최초의 불교사원인 죽림정사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타당한 것은?
① 급고독장자가 기타태자에게 땅을 사서 건립하였다.
② 석가족의 헌신적인 노동력 제공에 의해 완성될 수 있었다.
③ 부처님이 가장 오래 머무신 정사였다.
④ 마가다국의 수도였던 왕사성에 위치하였다.
【단답형】 (문항당 3점 배점 : 10문항×3점〓30점)
1. 다음은 관세음보살 정근을 마칠 때의 마지막 부분에 해당되는 구절이다. 빈 칸에 들어갈 말을 쓰시오.
관세음보살 멸업장진언 옴 아로륵계 사바하(3번)
( ) 고아일심 귀명정례(반배)
(정답) 구족신통력 광수지방편 시방제국토 무찰불현신
2. 사찰에서 대중들이 함께 모여 육체적 노동을 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울력 또는 운력
3. 법당 안을 보면 가운데 불단이 마련되어 불보살님을 모시고 있다. 그 불단의 주좌(主座)를 기준으로 가운데 통로와 이어져 법당의 정면으로 난 가운데 문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어간문
4. ‘자양분을 기른다’는 뜻이며, 삼보님께 올리는 정성스러운 모든 것을 다 이르는 말이다. 특히 삼륜(三輪)이 청정할 때, 크나큰 공덕이 뒤따른다고 한다. 이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공양(供養)
5. 법당 밖에서 불교의식을 행할 때 걸어 놓는 예배용 그림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괘불 또는 괘불탱화
6. 불교의 4대 성지는 부처님의 생애 가운데 어떠한 일을 기념하기 위해서 정해진 것이다. 불교의 4대 성지와 그 의미를 쓰시오.
룸비니-탄생, 보드가야-성도, 바라나시-초전법륜, 쿠쉬나가라-열반
7. 다음은 아함부 경전에 나오는 내용이다. ( )에 가장 적당한 말은? 연기
( )를(을) 보는 자는 법을 보고, 법을 보는 자는 ( )를(을) 본다. 그리고 ( )를(을) 보는 자는 부처님을 본다. |
8. 깊은 산에 들어가 백골관을 수행하는데 그때 조정에서 불렀으나 응하지 않자 왕이 목을 베겠다 하니 “차라리 계를 지키며 하루를 살다가 죽더라도 계를 저버린 백년을 살고 싶지 않다”며 강한 수행자상을 보인 스님은? 자장 또는 자장율사
9. 한국불교의 장자종단인 조계종은 1960~70년대 정화운동의 후유증으로 심각한 분란이 있었으나 1970년대 후반 뜻있는 불자들의 노력으로 종단의 3대 과업이 정립되었다. 이와 같이 과거부터 꾸준히 제기되어온 대한불교 조계종의 3대 사업은? 포교, 역경, 도제양성
10. 현(2003년) 대한불교 조계종 총무원장은 정대 스님이다. 종정 스님은 누구 인가? 법전 스님
(해설) 포교사고시 당해년의 종단의 종정스님을 비롯하여 각 소임을 맡은 교역직 스님을 시사상식적인 측면에서 인지하도록 한다.
【1차 논술문제】
【1교시 : 기본교육과정】(문항당 10점 배점 : 2문항×10점〓20점)
1. 다음은 신묘장구대다라니이다. 비어있는 곳을 채워서 쓰시오.
나모라 다나 다라 야야 나막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사다바야 마하사다바야 마하가로 니가야 [
] 옴 아로계 아로가 마지로가 지가란제 혜혜하레 마하모지 사다바 사마라 사마라 하리나야 구로구로 갈마 사다야 사다야 도로도로 미연제 마하미연제 다라다라 다린 나레 새바라 자라자라 마라 미아라 아마라 몰제 예혜혜 로계 새바라 라아 미사미 나사야 나볘 사미사미나사야 모하자라 미사미 나사야 호로호로 마라호로 하례 바나마나바 사라사라 시리시리 소로소로 못쟈못쟈 모다야 모다야 매다리야 니라간타 가마사 날사남 바라하라나야 마낙 사바하 [ ]
<<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막알야 바로기제 새바라야 사바하>>(3번)
2. 올해 불교계는 북한산 관통 도로 반대 활동을 전개하였다. 수행환경 수호와 환경 보전의 필요성과 이유를 연기적 관점에서 설명하시오.
해 설 |
이 문제는 불교신문의 예제풀이가 그대로 출제된 문제이다. 올해 불교계의 대 사회 이슈 가운데 가장 큰 중요한 사건으로 불교계 전체가 한마음으로 반대운동을 펼쳐온 사안이다. 이 문제는 이러한 불교계 이슈에 대하여 포교사로서의 인지여부와 불교적 설명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출제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포교사라면 불교계의 시사문제에 대해 올바로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자연환경보호와 수행환경 수호에 대한 바른 인식을 가지고 있어야 함은 물론 이를 불교적인 관점에서 다른 사람들에게 설명해 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번 문항의 모범답안은 불교신문에 게재된 내용을 그대로 정리한다. |
(모범답안)
2002년은 UN이 정한‘세계 산의 해’이다.‘세계 산의 해’는 산의 가치를 알고 그 중요성을 공감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지정된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이러한 세계적인 흐름에도 불구하고 산을 파괴하고 미래에까지 보존토록 지정한 국립공원마저 도로건설이라는 미명아래 파괴하려 하고 있다.
2천만 수도권 시민의 휴식처인 북한산 국립공원은 생태·문화 교육장이며, 공기를 맑히는 허파 구실을 하는 소중한 우리의 자산인 동시에 우리 세대뿐 아니라 후손들에게 온전히 전해주어야 할 천혜의 자연유산이다. 또한 북한산은 서울의 주산으로 불교문화사적으로도 의의가 큰 국립공원이다.
그러나 지금, 아름다운 북한산 국립공원은 사패산을 관통하는 터널 건설에 따라 돌이킬 수 없는 지경에 처해 있다. 환경단체와 종교계의 간곡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건설교통부와 서울고속도로주식회사는 공사계획을 철회하지 않고 있다. 이 공사가 완료될 경우 관통도로가 지나가는 작업구간에 32개 사찰의 수행환경이 직접적인 피해를 받게 되며 심지어 사찰 앞마당 100m 거리에 도로가 지나가도록 설계된 곳도 10여 곳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은 이 공사가 자연환경은 물론 사찰의 수행환경까지 파괴하는 무분별한 개발이라는 점을 증명해준다.
뭇생명들은 북한산에 기대어 삶을 영위하고 있다. 인간이 북한산에 깃들어 사는 뭇생명의 삶터를 무너뜨릴 권리는 없다. 인간이 보기에 미물일망정 모두 있어야 할 이유가 있으며, 섬김과 보은의 존재들이다.
우리는 인간과 자연의 공존공생이 어떤 가치보다 절실한 시기에 살고 있다. 공생의 가치를 실현하지 않고서는 인류는 물론 자연의 유지도 불확실한 상황이다. 그러나 무분별한 개발 정책으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절대적으로 보존해야 할 북한산마저 무너뜨리고 있는 실정이다.
뭇생명의 삶터를 무너뜨리는 개발 정책은 생태적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또한 불교의 수행환경을 지키는 것은 단순히 한 종교의 영역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전통 문화와 인간의 심성을 지키는 것이다.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실현하는 일은 마땅히 우리 종교인의 성스러운 몫이며 수행환경을 지키는 것은 불자의 몫이기에 우리는 이러한 무분별한 개발과 환경 파괴를 반대하는 것이다.
[제2교시] 전문교육과정
【객관식】 (문항당 2점 배점 : 20문항×2점〓40점)
1. 다음은 12연기설의 각 지(支)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명색 - 요별이라고 설명하며, 인식작용을 말한다.
② 노사 - 현실이 괴로운 생존임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③ 취 - 집착이란 뜻으로, 생존에 집착하는 것을 말한다.
④ 수 - 대상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고수․낙수․사수가 있다.
2. 다음 중 37조도품(助道品)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사여의족(四如意足) ② 십력(十力)
③ 팔정도(八正道) ④ 오근(五根)
3. 설일체유부에서는 제법을 75가지로 열거하면서 그들을 모두 다섯 가지 범주에 재배열하고 이다. 이를 5위 75법이라고 한다. 이 다섯 범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유위법 ② 심법
③ 심불상응행법 ④ 심소유법
4. 아비달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아비다르마(abhidharma)란 말은 이미 초기경전인 아함경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② 아비달마는 보통 ‘대법(對法)’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지만 팔리상좌부에서는 오로지 ‘훌륭한 법’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③ 아비달마의 특징은 교법을 분석적으로 해석하는 ‘분별 vibhanga’이다.
④ 아비달마에 있어서 연구해야할 제목을‘논장(論藏)’이라고 부른다.
<해설> 아비달마의 연구 제목은 ‘논모(論母;matrka)라고 한다.
5. 부파의 논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상좌부의 논장은 7종의 논서로 이루어져 있다.
② 유부의 논장도 7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을 육족발지(六足發智)라고 한다.
③ 유부는 6종의 족론(足論)을 근본으로 하여 아비달마발지론(阿毘達磨發智論)을 짓는 것이다.
④ 육족론 중에는 품류족론(品類足論), 법온족론(法蘊足論) 등과 함께 시설론(施設論)이 포함된다.
(해설)유부는 아비달마발지론(阿毘達磨發智論)을 신론(身論)으로 하여 6종의 족론(足論)을 짓는 것이다.
6. 각 논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발지론의 주석으로 유부의 교학을 새롭게 발전시킨 것이 대비바사론(大毘婆沙論)이다.
② 대비바사론 이후 세친이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을 저술하였다.
③ 구사론은 유부의 설을 경랑부의 입장에서 비판적으로 다루고 있다.
④ 구사론에 대하여 유부의 중현(衆賢)은 구사석(俱舍釋)을 지어 구사론을 비판했다.
<해설> 중현은 구사론을 비판하여 아비달마순정리론(阿毘達磨順正理論)을 지었다.
7. 다음 중 중관학파에 속하지 않는 파는?
① 귀류논증파 ② 자립논증파
③ 유가행중관파 ④ 샹키야학파
8. 회삼귀일(會三歸一), 일불승(一佛乘), 제법실상(諸法實相) 등의 교리를 설하고 있으며 중국 천태종의 소의경전인 대승경전은 무엇인가?
① 반야경 ② 유마경
③ 법화경 ④ 화엄경
9. 금산사에서 득도한 이래 수참(修懺)에 정진하였으며, 특히 참회법을 지극히 수행하여 지장보살과 미륵보살의 가피를 받아 점찰교법을 성히 일으켜 금산사․길상사 등지를 중심으로 널리 중생교화에 힘쓴 경덕왕대의 스님은?
① 자장 ② 진표 ③ 명랑 ④ 원효
10. 다음은 조선시대 불교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태조는 무학대사를 왕사로 봉하였다.
② 보우스님은 승과시험을 부활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③ 세종은 아들 수양에게 '석보상절'을 짓게 하였다.
④ 철종 4년 승려의 도성출입이 풀리게 되었다.
11. 다음은 용수(龍樹)보살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8종(宗)의 조사로 일컬어지고 있다.
② 불교 최고의 논사로서 제2의 세존으로 칭송된다.
③‘법체항유(法體恒有) 삼세실유(三世實有)’을 주장한다.
④ 연기, 무자성, 공의 이론을 확립하였다.
12. 다음 중 중국 불교의 초기 전래와 관련된 것을 모두 고르시오.
a. 감몽구법설(感夢求法說) b. 돈오성불설(頓悟成佛說) c 모자의 이혹론(理惑論) d.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 e. 백마사(白馬寺)의 전설 |
① a b c d ② a b c d e
③ a c d e ④ b c d e
13. 중국 수대에 신행(信行)이 말법의 도래에 대응하여 새로 일으킨 불교의 일파로서 수대로부터 송대에 걸치는 약 400년 동안 유행한 혁신적인 종교로, 말법인 현재에는 보법(普法)만이 적합한 것이라고 주장한 종교는?
① 정토교(淨土敎) ② 삼계교(三階敎)
③ 밀교(密敎) ④ 백련교(白蓮敎)
14. 다음은 중국 화엄종의 대표적 교설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일색일향(一色一香)의 당체에 모두 본래 삼천 선악의 제법을 갖추고 있다는 성구설(性具說)을 주장한다.
② 만유일체가 그대로 상즉상입하고, 일체불리(不離)하여 일즉다(一卽多), 다즉일(多卽一)임을 십현연기로 밝힌다.
③ 사(事)와 사(事)의 무애원융함을 밝히기 위하여 사법계(四法界)를 설한다.
④ 육상(六相)은 곧 일상(一相)이 되어 일법을 들면 모두가 이 육상을 갖추고 있다는 육상원융을 설한다.
15. 백장산에서 살았기 때문에 백장(百丈)이라고 불리며 율원으로부터 독립한 선원을 창설하고 선종 독자의 규율인 백장청규(百丈淸規)를 만들어 스스로도 ‘하루 일하지 않으면 하루 먹지 않는다’는 규칙을 철저히 지킨 스님은 누구인가?
① 신회(神會) ② 회해(懷海) ③ 도일(道一) ④ 행사(行思)
16. (입문43, 응용) 다음은 탑에 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탑은 범어로 스투파, 팔리어로 투파라고 한다.
② 원래 부처님의 사리를 봉안하고 그 위에 흙이나 돌을 높이 쌓아 만들었다.
③ 사리가 들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탑이라 부르지 않는다.
④ 탑은 석굴사원에도 모시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차이티야당이라고 한다.
17. 아래 인용한 부처님 말씀은 다음 표현 방식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
“모든 비구들이여, 이곳에서 걸식은 모든 생활 가운데 가장 밑바닥 생활이다. 그래서 세상 사람들은 가끔 ‘너희들 비구들은 손에 발우를 들고 유행한다’고 험담하기도 한다. 그러나 모든 비구들이여, 양가의 아들들이 출가하여 수행자가 되어 여기에 온 것은 바른 진리가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왕에게 강요당했기 때문이 아니다. 학대에 강요당했기 때문이 아니다. 부채 때문도 아니다. 공포 때문도 아니다. 생활의 어려움 때문도 아니다. 우리들은 생로병사우비고뇌에 빠져 있다. 괴로움에 빠지고 괴로움에 둘러싸여 있다. 오직 고의 집적을 없애는 방법을 깨닫고자 여기에 온 것이다.” 상응부경전 권22 |
① 인연법 ② 반어법 ③ 수기법 ④ 고조법
18. (시사) 대한불교 조계종에서는 해마다 역점사업을 선정하여 진행하고 있다. 이에 포교원에서는 올해를 무슨 해로 정하여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가?
① 군 포교 진흥의 해 ② 어린이 포교의 해
③ 복지포교 강화의 해 ④ 기본교육 의무화의 해
19. (불교신문 예제) 다음은 대한불교조계종 신도법에 명시된 신도교육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타당한 것은?
① 신도기본교육기관은 학사관리에 있어 교육원의 지도를 받아야 한다.
② 전문교육을 이수한 자는 전문포교사 선발과정에 응시할 자격이 부여된다.
③ 전문교육기관은 포교원 인가 전문교육기관을 말한다.
④ 기본교육을 이수한 자는 반드시 전문교육을 이수하여야 한다.
20. (제7회 포교사 고시 문제, 불교신문 예제) 다음 중 대한불교조계종 포교법에 명시된, 포교사의 의무가 아닌 것은?
① 삼보를 호지하고 정법을 홍포하며 보살도 실천으로 불국토를 건설한다.
② 종단이 인정하는 포교기관, 시설, 단체 등에서 정기적인 활동을 하여야 한다.
③ 매월 활동 상황을 서면으로 소속 교구본사 포교국 및 포교사단으로 정기적으로 보고하여야 한다.
④ 포교원에서 실시하는 연수교육을 이수하여야 한다.
【단답형】 (문항당 3점 배점 : 10문항×3점〓30점)
1. (불교신문 예제) 사향사과(四向四果) 가운데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수다원
ㆍ유신견(有身見), 계금취견(戒禁取見), 의(疑)의 3가지 번뇌가 끊어져 성자의 흐름에 막 들어간 자이다. ㆍ최고 7회를 천상과 인간에 왕래하면 마침내 열반을 얻는다. |
2. (불교교리) 원래의 뜻은‘욕구를 계속하는 사람’이나 ‘단선근(斷善根)’, ‘신불구족(信不具足)’ 등으로 번역하며, 성불하는 인(因)을 갖지 못한 이를 말하지만, 중국의 도생(道生)은 이들도 성불할 수 있다고 제창하였다. 이들은 누구인가? 일천제
3. (불교신문 예제) 용수의 저작으로 대품반야경의 주석이며 불교의 거의 모든 부문에 대한 해설이 수록되어 있는 이 논서는 일부에서는 용수의 저작을 의심하기도 한다. 이 저술의 이름은?
대지도론(大智度論)
4. (문4-30, 중) 1-2세기경의 인물로 중인도 마가다 지방의 바라문 출신으로 처음에는 불교를 배척하고 불교의 승려들과 논쟁해서 가는 곳마다 그들을 침묵시켰으나 후에는 불교에 귀의해서 오로지 불교포교에 힘썼다. 불교시인으로 궁정시의 선구적인 작품이며 불교문학의 걸작인 불소행찬(佛所行讚)을 남긴 분은? 마명(馬鳴)(또는 아슈바고샤)
5. (불교문화, 불교신문 예제) 이것은 영축산에서 석가모니불이 법화경을 설하는 모습을 표현한 법화경의 변상도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 석가모니 부처님이 설법하는 모임을 총칭하는 불화이다. 유명한 불교탱화의 하나로서 대웅전의 후불탱화로도 자주 사용되는 이것의 명칭은 무엇인가?
영산회상도
6. (불교문화) 다음 그림은 불상의 세부 명칭을 도해한 그림이다. A와 B 부분의 명칭을 쓰시오.
A (나발 螺髮), B (삼도 三道)
7. (문8-56) 죽은 이를 위해 장례 전에 행하는 의식으로 원래 인도에서는 추운 숲, 시체를 버리는 곳이란 뜻인데 우리나라에서는 망자를 위해서 설법하고 염불하는 것이 된 의식은? 시다림(尸陀林)
8. (불교문화)이는 기원 전후부터 수세기 걸쳐 인더스 강 중류 지역을 중심으로 번영한 불교문화이다. 카니시카왕 시대에 가장 성했으며 헬레니즘 문화와 융합한 양식의 불교 미술이 번영하여 중앙아시아, 우리나라, 일본 등지에 영향을 준 문화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간다라 문화
9. (포교방법론1-185) 이것은 사다리나 계단을 오르듯이 낮은 단계에서 높은 단계로 점차적으로 수준을 높여 나아가는 포교 방법이다. 예를 들면 부처님은 시론(施論) - 계론(戒論) - 생천론(生天論) - 제욕(諸欲)의 과환(過患) - 출리(出離)의 공덕 - 사제(四諦) 등을 순서에 따라 설법하셨다. 이러한 교화방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차제설법(次第說法)
10. (시사) 올해 개정된 대한불교조계종 교육법에 의하면 출가할 수 있는 나이가 제한되어 있다. 그 나이는? 만15세∼만40세
(해설)당시의 출가 제한 나이가 40세 였으나 그 후 개정되어 현재는 만50세까지이다.
【2교시 : 전문교육과정】(문항당 10점 배점 : 3문항×10점〓30점)
1. 불상의 조성과 대승불교의 연관 관계에 대하여 논하시오.
해 설 |
전문 교육기관 인가제의 시행과 함께 전문 교육의 과정이 더욱 분화되고 교과목도 확대가 되었다. 이 문제는 전문교육과목의 하나인 불교문화 가운데 불교 미술과 연관된 문제로서 불교신문 예제풀이가 그대로 출제된 문제이다. 불교미술 역시 불교의 역사와 교학의 변천과 역사를 같이 한다. 즉, 불상의 조성은 부처님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것은 대승불교의 역사와 함께 나타난다. 이와 같은 맥락을 잘 이해하는가를 확인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
<모범답안>
경전의 기술을 따른다면 최초의 불교 미술은 기원정사를 비롯한 여러 사원의 건축과 부처님의 사리를 봉안한 불탑들이 그 시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신앙의 대상으로 가장 소중히 여기는 불상의 성립은 아주 오랜 시간이 흐른 뒤의 일이다. 물론 증일아함경에 우진왕 불상 조성설이 기록되어 있기는 하지만 사실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실제로 불상이 본격적으로 조성되기 시작하는 시기는 부처님의 입멸 후 500여년이 지난 A.D 1세기 말경 간다라와 마투라에서 불상이 조성되면서부터 이다. 이 500여년의 기간 동안 부처님의 모습은 모두 불족적(佛足跡), 보리수, 법륜, 스투파, 천개(天蓋), 산개, 대좌, 경행석(經行石) 등의 상징적 표현에 그치고 있다. 이처럼 부처님의 모습을 형상으로 표현하지 않은 이유는 크게 두가지로 파악할 수 있다.
교학적 근거를 따진다면 부처님은 입멸을 통해 육신을 버리고 아무런 형태도 남기지 않은 완전한 무여의열반(無餘依涅槃)에 든 존재이다. 열반을 회신멸지(灰身滅智)로 이해하고 이를 최후의 목표로 본 소승불교의 입장에서 볼 때 이러한 부처님은 눈으로 볼 수 없는(不可見) 존재로서, 형태로 파악될 수 없기 때문에 부처님을 인간의 모습으로 표현하는 것은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신앙적 이유로 본다면 부처님께서 너무나 위대한 인물이었으므로 그 상을 보통 사람과 동일하게 나타내는 것이 일종의 모독이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영생불사의 깨달음을 얻어 무한한 덕을 간직한 성스러운 성자인 부처님을 감히 유형의 상에 한정시킨다는 것은 용납될 수 없는 행위라는 종교적 감성이 불상의 조성을 금기시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던 것이 대승불교의 성립과 불신관의 변화, 불자들의 간절한 신앙적 염원이 어우러져 1세기 말 경부터 그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그것은 대승불교의 성립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보살사상의 확대와 성립이 그 근거가 된다. 소승불교의 입장에서 보살은 전생의 부처님과 미래불이 될 미륵보살만을 의미한다고 한다면 대승불교에서는 미래에 붓다의 깨달음을 얻기 위해 한량없는 보살행을 하는 사람 모두가 보살이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성불하지 않고 중생을 구제하는 수많은 보살이 등장하게 되며 동시에 수많은 부처님의 존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열반관의 변화와 구제불의 개념, 부처님에 비견되는 위신력을 가진 보살의 등장은 불상 조성에 대한 금기를 벗어나게 하는 원인이 된다.
2. 바라밀(paramita)은 부파불교에서도 중요한 실천덕목이었으며 대승불교에서는 보살의 수행 덕목으로 정해지면서 대승의 중요한 사상적 토대를 이룬다. 바라밀의 의미와 대승 보살의 수행덕목인 육바라밀의 연관을 반야바라밀을 중심으로 서술하시오.
해 설 |
대승불교와 보살사상에 연관된 문제는 매년 빠지지 않고 출제된다. 대승불교국가인 우리나라 불교의 특성 및 본질과 연관되고 보살도를 실천하는 불자의 양성’이라는 신도교육의 목표와도 잘 부합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본 입장 위에 항상 대승보살도를 추구하고 실천하는 불자를 만드는 것이 신도 교육의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모범답안>
바라밀이란 paramita의 음역으로 최고를 의미하는 parama에서 파생된 말이다. 바라밀은 현대적으로는‘완성’으로 번역되는데 중국의 역경가 구마라집은 이를‘피안으로 건너간’으로 해석하여 도피안(到彼岸), 도(度) 등으로 번역하고 있다. 그래서‘대지도론(大智度論)’의‘지도’는‘반야바라밀’과 같은 말이다.
바라밀은‘완성’을 의미하지만 그 완성은 정지나 마무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바라밀은 자리이타를 근본으로 삼는 대승 보살의 수행법이기에 무한한 중생계가 소멸하지 않는 한 그 수행도 끝날 수 없는 것이며, 완성을 향한 수행 역시 무한대의 시간을 기약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대승보살의 실천행으로는 육바라밀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 여섯 가지가 초기부터 6종의 바라밀로 정해져 있었던 것은 아니다. 유부에서는 4종의 바라밀을 주장하기도 하고 5종의 바라밀, 7 바라밀, 상좌부의 10바라밀 등 바라밀의 실천은 여러 가지로 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육바라밀은 보시바라밀, 지계바라밀, 인욕바라밀, 정진바라밀, 선정바라밀, 지혜(반야)바라밀을 말하는데 그 가운데 반야바라밀이 가장 중요하다.
그것은 육바라밀의 완성은 바로 이 반야바라밀을 통해서 완성되고 나머지 바라밀은 모두 반야바라밀에 근거해 있을 때 생명력을 갖기 때문이다. 반야바라밀이란 지혜의 완성이라는 의미로 바라밀로서의 지혜는‘공(空)의 지혜’이며 사로잡힘이 없는 입장이다. 따라서‘완성’이라고 하더라도‘완성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완성’이며 이상을 향해 영원히 나아가는 실천적인 지혜이다. 대승보살이 성불하지 않고 스스로 중생의 몸을 받아 중생과 함께 윤회의 모습을 나타내며 중생 구제를 위한 실천행을 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반야바라밀의 입장 위에 서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반야바라밀을 실천하는 강렬한 수행의 힘은 바로 삼매를 통해 얻어지는데, 번뇌를 쳐부수는 용맹하고 견고한 이 삼매를 수능엄삼매라고 한다.
6바라밀에서 반야바라밀을 제외한 나머지 바라밀은 반야바라밀에 근거하지 않으면 바라밀이라고 할 수 없다. 보시를 행하면서도 보시의 선행을 자랑하지 않고, 그 선(善)에도 집착하지 않으며 보시하는 사람도, 보시를 받는 사람도, 보시하는 물건도 모두 공(空)인 삼륜청정의 보시가 진정한 보시바라밀이다. 그것은 그 보시가‘완성’을 바라지 않는 보시, 집착을 갖지 않는 보시 즉, 공에 머무는 보시이기 때문이다. 반야바라밀의 지혜가 보시를 보시바라밀로 만들며, 나머지 지계, 인욕, 정진, 선정이 바라밀이 되기 위해서는 바로 반야바라밀에 의거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바라밀은 완성이 없는 완성이며, 공의 입장, 영원을 아는 입장을 말한다. 따라서 반야바라밀은 대승보살의 수행과 실천행에 있어 모든 실천의 근본이며, 이 반야바라밀을 실현하는 힘은 바로 이 수능엄삼매의 힘에 의존하는 것이다. 지혜는 번뇌를 여의어야만 드러나는 것이므로 번뇌를 부수는 견고한 힘이 없이는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3. 중도(中道)는 부처님의 초전법륜에서부터 대승에 이르기까지 불교를 관통하는 중요한 가르침 가운데 하나이다. 초기불교의 중도에서 용수 보살의 팔부중도에 이르기까지 중도의 내용과 연기와의 연관성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해 설 |
이 문제는 제 6회 포교사 고시에서도 이와 유사한 문제가 서술형으로 출제된 바 있다. 중도는 부처님의 첫 설법의 내용이며 불교적 가치관의 근본으로 초기불교에서 대승불교를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 불교를 관통하는 가르침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용수보살은 이른바 팔종의 조사로 불리는 대승불교 최고의 논사로서 중론을 저술하여 중도와 연기의 이치를 밝혀주었다. |
<모범답안>
중도는 부처님이 성도하신 직후 5명의 수행자를 찾아갔을 때 처음으로 설하신 내용이다. 이 때 부처님은 ‘수행자들아! 나는 양 극단을 떠나 중도를 깨달았다’라고 선포하고 계신다. 이것은 중도가 불교에서 어떤 교학적 위치를 점하는 가를 말해준다. 이 때 이루어진 초전법륜에서 부처님은 중도와 사성제, 오온 무아를 설하셨다고 한다. 중도는 사성제 가운데 8정도로 다시 언급되기 때문에 중도(中道)는 정도(正道)라고 할 수 있다.
중도는 양 극단을 떠나 올바른 것을 찾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정형의 교의가 있는 것은 아니다. 중도를 8정도라고도 하고 연기(緣起)라고도 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그러나 부처님 당시 중도와 대승불교에서의 중도의 설명은 그 극단으로 대립하는 대상의 차이로 인해 설명이 다르다.
초기불교의 중도는 크게 고락중도(苦樂中道), 단상중도(斷常中道), 유무중도(有無中道)설로 구분된다. 이것은 부처님 당시에 횡행하던 극단적 사상과 사조를 말한다. 고락중도란 고행주의(苦行主義)와 쾌락주의(快樂主義)의 대립을 말한다. 고행주의와 쾌락주의의 극단을 떠난 바른 길은 즉 팔정도이다. 고락중도가 실천적 성격을 띄는 것에 비해 단상중도와 유무중도는 견해의 문제이다. 단상중도는 당시 사상계에 횡행하던 단견(斷見)과 상견(常見)의 잘못된 견해를 떠난 것을 말한다. 단견은 단멸론을 말하고, 상견은 상주론을 말한다. 유무중도 역시 세계와 우주의 끝, 영혼 등의 존재에 대한 논의의 대립을 말한다. 단상중도에서 연기법이 제시되고 유무중도에서는 무기(無記)의 입장이 나타난다. 사성제는 부처님께서 5비구를 대상으로 설하신 초전법륜의 주요 내용이다. 부처님이 이들에게 연기의 법칙을 직접 설하시기 보다 사성제와 중도를 설하신 것은 연기의 이치를 이해하기 쉽도록 현실에 맞게 응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중도의 가르침을 대승불교에서 새롭게 발전시켜 계승한 사람이 바로 용수보살이다. 그는 중론을 저술하여 팔부중도를 정립하였다. 팔부중도는 불멸불생(不滅不生), 부단불상(不斷不常), 불래불거(不來不去), 불이불일(不二不一)을 말한다. 용수가 중도의 이치를 새롭게 정리한 것은 부파불교를 거치면서 유부를 비롯한 여러 부파의 주장이 이미 부처님의 중도설과 멀리 떨어져 있었으며 외도들의 주장 역시 부처님의 가르침을 심히 훼손할 수 있는 상황에 처해 있었기 때문이다. 부파불교의 이와 같은 유(有)의 입장과 악취공의 잘못된 견해를 타파하기 위하여 정리된 것이 바로 용수의 중론인 것이다. 이와 같이 중도는 부처님의 초전법륜에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그릇된 견해, 극단의 견해를 떠난 바른 견해와 실천을 제시하여 올바른 삶을 영위하도록 하는 중요한 가르침이었다.
【2차 논술문제】
※제시된 3논제 중에서 2가지를 택하여 서술하시오.
1. 우리 사회는 오늘날 많은 문제점과 고통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과 고통 가운데 가장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하나 들고, 그에 대하여 사성제(四聖諦)의 관점으로 그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시오.
2. 포교와 신도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설명하고 조계종 포교사는 어떤 자질을 갖추고 어떤 실천을 해야 하는지 서술하시오.
3. 사찰은 스님들의 수행공간이자 신도들의 신행공간이다. 또한 지역사회에 이바지 하는 봉사활동공간이며, 국민들의 정서함양을 위한 휴식 공간이자 각종 전통문화를 체험하는 문화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사찰의 기능들을 모두 수행하기 위해서는 스님뿐 아니라 신도 및 포교사의 역할이 공히 필요하다. 본인이 재적하고 있는 사찰에서 위와 같은 다양한 사찰기능이 이루어 지게 하기 위해서 해야 할 역할과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2분 스피치】제시된 3주제 중에서 2가지를 택하여 연설하시오.
1. 나는 어떠한 이유로 불교를 신앙하게 되었고 불교를 믿으면서 나 자신에게는 어떠한 변화가 일어 났는가?
2. 불교를 믿지 않는 사람에게 불교를 설명하여 이해시키거나, 믿으려는 마음을 내게 만들고자 한다. 불교가 어떠한 종교인지 설명하시오.
3. 불자라면 항상 염불, 참선, 기도, 절 등의 수행과 정진을 게을리 해선 안된다. 자신이 실천하고 있는 수행의 내용과 수행이 삶에 어떤 도움과 변화를 주는지 설명하시오.
【가산점 부여 문제】
작성하지 않아도 무방하나 작성하여 채택되면 가산점을 부과함.
▣ 종단에서는 매년 부처님 오신날을 맞아 봉축 표어를 선정하여 홍보하였다. 다음 예년의 봉축 표어를 참고하여 봉축표어를 작성해 보시오. (가산점 부여)
연도 |
표 어 |
1996년 |
마음을 청정하게 세상을 맑고 아름답게 |
1997년 |
지혜와 자비로 세상을 밝게 |
1998년 |
부처님의 자비로 이웃과 함께 |
1999년 |
우리도 부처님 같이 |
2000년 |
부처님 마음으로 이웃과 함께 |
2001년 |
마음청정 국토청정 |
2002년 |
부처님 마음으로 인류평화 성취를 |
'포교사고시 공부방 > 포교사고시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회 포교사고시 기출문제 (0) | 2014.07.01 |
---|---|
9회 포교사고시 기출문제 : 2003(2547)년 11월 23일(일) 시행 (0) | 2014.07.01 |
7회 포교사고시 기출문제 (0) | 2014.06.25 |
6회 포교사고시 기출문제 (0) | 2014.06.25 |
5회 포교사고시 기출문제(미국문제) (0) | 2014.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