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포교사고시 공부방/포교사고시 기출문제

6회 포교사고시 기출문제

moksha 2014. 6. 25. 16:24

 

제6회 포교사고시(불기2544년)

 

<객관식>

1. 오늘날 사용하고 있는 불기(佛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1956년을 불기 2500년으로 정하여 올해는 불기 2544년이다.

② 현재 사용하는 불기는 세계승가회에서 결정한 것이다.

③ 부처님이 탄생하신 연도는 서기전 624년으로 정하였다.

④ 부처님이 돌아가신 서기전 544년을 불기 1년으로 정하였다.

 

2. 마가다국의 수도인 라자가하에 있으며 가란타장자가 부처님께 바친 동산에 빔비사라왕이 건물을 지어 최초의 절이 된 곳은 어디인가?

① 녹야원             ② 죽림정사           ③ 기원정사          ④ 급고독원

 

3. 다음 부처님의 10대 제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목건련 - 신통제일        ② 아나율 - 천안제일

③ 아난다 - 다문제일        ④ 가전연 - 해공제일

 

4. 다음 <아함경>에 나오는 부처님의 가르침은 언제 설하신 것인가?

다음 : 자기 자신에게 귀의하고 법에 귀의하며 남에게 귀의하지 말라. 자신을 등불로 삼고 법을 등불로 삼으며 남을 등불로 삼지 말라.

① 성도하신 직후에 ② 초전법륜 때 ③ 제자들에게 전도를 권유할 때 ④ 열반에 드실 때

 

5. 우리나라 불교 명절 가운데 음력 날짜가 맞지 않는 것은?

① 탄신일 - 4월8일             ② 성도절 - 12월8일

③ 열반절 - 2월8일             ④ 우란분절 - 7월15일

 

6. 여래십호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① 응공 : 아라한과 같은 말로서 존경받고 공양받을 자격이 있는 이라는 뜻

② 정변지 : 음역으로는 삼먁삼불타라 하며 바르고 완전하게 깨친 분이라는 뜻

③ 명행족 : 삼명과 삼업을 원만히 다 갖추신 분이라는 뜻

④ 세간해 : 세간의 바다처럼 모든 것을 다 받아들이는 분이라는 뜻

 

7. 십이연기의 가르침과 거리가 것은?

① 십이연기를 관찰하는 방법으로는 유전연기법과 무전연기법이 있다.

② 삶과 죽음을 거듭하며 업에 따라 윤회하는 근본 원인을 밝게 깨닫지 못한 것에 두고 있다.

③ 중생들의 괴로움은 모두 원인이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면 극복할 수 있음을 보인다.

④ 부처님께서 처음 설하신 불교만의 독특한 교리이다.

 

8. 십이처(十二處)란 무엇을 말하는가?

① 십이연기의 12지  ② 육근과 육식  ③ 육근과 육경  ④ 육식과 육경

9. 다음 중 37조도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사념처    ② 오정심관    ③ 칠각분    ④ 팔정도

 

10. 불교의 업(業)설에 관한 설명 중 바른 것은?

① 권선징악을 위해 사실을 과장한 방편설이다.

② 일종의 숙명론으로서 분수에 맞게 체념하고 달관할 것을 가르친다.

③ 바른 견해와 노력에 의한 주체적 노력을 강조한다.

④ 사성제설과는 직접적 연관이 없다.

 

11. 회삼귀일(會三歸一), 일불승(一佛乘), 제법실상(諸法實相) 등의 교리를 설하고 있는 대승경전은 무엇인가?

① 반야경         ② 유마경         ③ 법화경         ④ 화엄경

 

12. 다음 중 원효 스님의 저술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

① 대승기신론     ② 법화경종요     ③ 금강삼매경론   ④ 발심수행장

 

13. 해동 화엄의 초조라 불리며 <화엄일승법계도>로 유명한 신라의 고승은?

① 원효(元曉)     ② 의상(義湘)     ③ 명랑(明朗)     ④ 진표(眞表)

 

14. 다음 중 신라의 선종(禪宗)이 발전하는 데 기여한 스님은?

① 원효(元曉)와 의상(義湘)    ② 자장(慈藏)과 겸익(謙益)

③ 신행(神行)과 도의(道義)    ④ 의천(義天)과 제관(諦觀)

 

15. 고려시대의 불교행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① 무차대회 : 승속, 남녀, 귀천의 구별 없이 평등하게 잔치를 베풀며 물품을 나누어주는 법회

② 인왕백고좌도량 :‘인왕호국반야경’을 읽으면서 국가와 백성의 안녕을 기원하는 법회

③ 연등회 : 1, 2월에 전국적으로 등불을 밝히고 다과를 베풀며 군신이 함께 가무를 즐기던 행사

④ 팔관회 : 매년 1월15일에 개경과 서경에서 개최되는 제전

 

16. 다음 중 고려 시대에 성립된 종파로 이루어진 짝을 고르시오.

① 삼론종과 법상종   ② 조계종과 천태종   ③ 오교와 구산   ④ 화엄종과 법성종

 

17. 제1차 결집에 대한 다음 설명 가운데 빈 칸에 들어갈 내용의 짝으로 옳은 것은?

다음: 제 1차 결집은 부처님이 입적하신 직후 제자 500명이 ( )에 모인 가운데 이루어졌는데, 아난은 교법을 외우고 ( )는(은) 율을 송출하였다고 한다.

① 기원정사 - 가섭 ② 칠엽굴 - 우팔리 ③ 기원정사 - 우팔리 ④ 칠엽굴 - 가섭

 

18. 불교가 인도 전역에 급속도로 전파하는 데 큰 공적을 세운 아육왕의 행적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불교를 전 인도로 전파하기 위해 성전(聖戰)도 불사하였다.

② 불사리를 공양하고 8만4천기의 탑을 각지에 세웠다.

③ 왕이 새긴 법칙이 지금도 일부 남아있다.

④ 서기전 270년 경에 즉위하여 약 36년간을 왕위에 있었다.

 

19. <구사론>에서는 5위75법이라 하여 모든 법을 5부류 75가지로 나눈다. 이 다섯 부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유위법           ② 심법            ③ 색법            ④ 심불상응행법

 

20. 다음은 대승과 소승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것은?

① 대승은 큰 수레, 소승은 작은 수레라는 뜻이다.

② 소승에는 성문승과 연각승이 있다.

③ 대승은 중관불교의 편협한 사상을 비판하면서 흥기하였다

④ 대승불교는 불탑신앙을 중심으로 일어났다.

 

21. 일체의 분별망상이 비롯되는 인간의 의식 자체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그것의 전환을 통해 진여와 열반의 성취를 목적으로 하는 이론으로서 3-4세기 무렵 출현한 무착과 세친에 의해 전개된 사상은?

① 중관사상           ② 탄트리즘          ③ 유식사상         ④ 정토사상

 

22. 다음 중 밀교에 대한 설명으로서 가장 거리가 것은?

① 부처님의 깨달음을 다라니, 진언, 만다라 등의 상징으로 나타낸다.

② 의례를 중심으로 하는 불교라고 할 수 있다.

③ 아비달마 불교처럼 현학적이고 번쇄하다.

④ 바라문교, 힌두교, 민간신앙 등을 폭넓게 수용하였다.

 

23. 중국에 있어서 삼무일종(三武一宗)의 법난?이라고 불리는 폐불사건과 관계가 없는 왕은?

① 북위(北魏) 태무제               ② 양(梁) 무제

③ 당(唐) 무종                     ④ 후주(後周) 세종

 

24. 후한시대에 중국에 건너온 최초의 외국인 역경승 가운데 한 사람으로서 주로 소승경전을 번역한 스님은 누구인가?

① 지루가참(支婁迦讖)               ② 지겸(支謙)

③ 안세고(安世高)                   ④ 지량(支亮)

 

25. 다음 중 천태종의 대표적 교설이라고 불 수 없는 것은?

① 일념삼천(一念三千)           ② 일심삼관(一心三觀)

③ 삼제원융(三諦圓融)           ④ 육상원융(六相圓融)

 

26. 중국의 삼론종은 용수와 제바의 세 가지 논서를 중심으로 하여 승랑(僧郞), 승전(僧詮), 법랑(法郞)을 거쳐 길장(吉藏)에 의해서 세워진 종파이다. 다음 중 삼론종의 소의논전이 된 세 가지 논서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십이문론(十二門論)                         ② 중론(中論)

③ 백론(百論)                                 ④ 대지도론(大智度論)

 

27. 지승(智昇)이 편찬한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에 의거하여 1,076부 5,048권의 <대장경>을 12년간 조판하여 인쇄한 시대는 언제인가?

① 수(隋)대             ② 당(唐)대            ③ 송(宋)대             ④ 명(明)대

 

28. 다음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인도구법여행기이다. 여행자와 여행기가 올바르게 짝지워진 것은?

① 법현 - 불국기                ② 현장 - 역유천축기

③ 의정 - 대당서역기            ④ 혜원 - 남해기귀전

 

29.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

*우리나라 현존하는 석탑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목조형식의 탑에서 석조탑으로 넘어가는 양식을 지니고 있다.

*백제무왕과 관련이 있는 곳에 있다.

① 감은사지 석탑                  ② 정림사지 석탑

③ 미륵사지 석탑                  ④ 용장사지 석탑

 

30. 우리나라의 가람배치에서 볼 때 해인사의 경우처럼 화엄종 사찰은 비로자나불을 주존으로 모신다. 이때 비로자나불을 주존불로 모신 금당에 걸리는 현판의 명칭은 일반적으로 무엇이라고 쓰여 있는가?

① 대웅전            ② 무량수전          ③ 미타전           ④ 대적광전

 

31. 다음은 만다라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것은?

① 밀교에서는 깨달음을 얻는 장소라는 도량의 의미를 갖는다.

② 아미타 여래를 중심으로 하는 태장계 만다라와 금강계 만다라가 있다.

③ 넓은 의미에서 보면 우주 전체가 만다라이다.

④ 만다라는 윤원구족(輪圓具足)이라고 한역되기도 한다.

 

32. 경전의 내용 또는 불교설화를 그림으로 그린 것은?

① 심우도(尋牛圖)            ② 감로도(甘露圖)

③ 괘불(掛佛)                ④ 변상도(變相圖)

 

33. 아래 설명과 가장 관련이 깊은 종교유형은?

그 공동체의 법과 관심은 신성불가침한 것으로 여기고 거기에서 벗어난다는 것은 절대 불가능한 것으로 여기게 된다. 그래서 부족의 도덕률과 그것을 지키는 초자연적인 존재의 막강한 힘이 공동체의 각 구성원에 스며든다. 이에 대해 반항을 하는 것은 자연을 거역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① 애니미즘        ② 샤마니즘        ③ 마나이즘        ④ 토테미즘

 

34. 다음 설법 환경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것은?

① 설법의 때가 오전인지 오후인지 저녁인지 알아야 한다.

② 연단은 높이는 장소의 넓이에 대해 반비례하는 것이 좋다.

③ 청중의 지적 수준이나 관심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다.

④ 탁자의 위치는 연단의 중앙과 전면이라야 한다.

 

35. 부처님은 중생교화를 위해 다양한 방편을 사용하셨다. 본연부의 <백유경>이나 <법화경>의 ?법화칠유?는 다음 중 어느 것에 해당되는가?

① 인연법            ② 비유법          ③ 문답법          ④ 반어법

 

36. <양고승전(梁高僧傳)>을 보면 전법자가 갖추어야 할 조건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그 내용이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다음: (가): 대중을 감동시킬 만한 목소리를 가져야 한다.

(나): 때와 장소에 적합한 말로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어야 한다.

(다): 임기응변의 재주가 있어야 한다.

(라): 박학다식하여 세상의 많은 일들을 살펴보는 지식과 지혜가 있어야 한다.

① 성(聲)ㆍ변(辯)ㆍ재(才)ㆍ박(博)     ② 성(聲)ㆍ변(辯)ㆍ기(幾)ㆍ박(博)

③ 성(聲)ㆍ변(辯)ㆍ기(幾)ㆍ학(學)     ④ 성(聲)ㆍ변(辯)ㆍ재(才)ㆍ학(學)

 

37. 육법공양(六法供養)에서 육법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① 향, 초, 꽃, 과일, 차, 떡            ② 향, 초, 꽃, 과일, 경전, 공양미

③ 향, 초, 꽃, 과일, 차, 공양미        ④ 향, 초, 꽃, 과일, 차, 경전

 

38. 선법(善法)은 더욱 자라게 하고, 악법(惡法)은 멀리 여의려고 부지런히 쉬지 않고 수행한다는 뜻으로, 염불과 같이 한마음 한뜻으로 보살님의 지혜와 공덕을 찬탄하면서 그 명호를 부르며 정진하는 수행방법은?

① 정근            ② 간경            ③ 통알          ④ 입정

 

39. 교단 구성원의 생활이 실제로 계율에 입각하여 바르게 행해져서 청정성이 유지되도록하기 위하여 구성원들이 모여서 자신의 행위를 반성하고 죄가 있으면 고백 참회하는 행사는?

① 안거            ② 탁발            ③ 포살           ④ 인가

 

40. 다음 중 화두를 들어 참선하는 수행자가 지녀야 할 세 가지 마음이 바르게 나열된 것은?

① 큰 신심, 큰 발심, 큰 하심          ② 큰 신심, 큰 분심, 큰 의심

③ 큰 신심, 큰 하심, 큰 의심          ④ 큰 신심, 큰 발심, 큰 분심

 

41. 다음은 법당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옳은 것은?

① 불보살님을 모신 중앙을 중단(中壇)이라고도 한다.

② 영가를 모신 곳을 신중들의 보살핌을 바라고자 신중단이라고 한다.

③ 불법을 수호하는 호법 선신들을 모신 곳을 어간이라 한다.

④ 상단에는 후불탱화 대신 경전을 목각이나 주조로 모시기도 한다.

 

42. 다음 중 우리나라 5대 적멸보궁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통도사, 상원사, 봉정암, 정암사, 법흥사

② 통도사, 부석사, 봉정암, 보문사, 법흥사

③ 통도사, 상원사, 봉정암, 보문사, 건봉사

④ 통도사, 상원사, 봉정암, 부석사, 건봉사

 

43. 다음 중 현 조계종 종정 혜암 스님의 교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무차화합     ② 지계청정     ③ 종풍선양     ④ 전법도생

 

44. 현 종단에서는 신도들의 정기적인 신행활동과 조직화를 위해 여러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그 방안과 관계가 없는 것은?

① 재적사찰 갖기와 신도등록           ② 전법도량 지정

③ 교구 종회 결성                     ④ 사찰운영위원회 구성

 

45. 다음 중 1988년 제정ㆍ공포되어 현재 시행되고 있는 불교관계법은?

① 사찰령                     ② 불교재산관리법

③ 전통사찰보존법             ④ 문화재보호법

 

46. 다음 중 불문에 입문하는 자가 보게 되는 <초발심자경문>의 내용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발심수행장      ② 자경문      ③ 계초심학인문       ④ 수심결

 

47. 대한불교조계종의 종헌을 제정하고 통합종단이 출범하게 된 해는?

① 1945년       ② 1950년      ③ 1956년      ④ 1962년

 

48. 다음 중 대한불교조계종 포교법에 명시된, 포교사의 사명이 아닌 것은?

① 삼보를 호지한다.        ② 정법을 홍포한다.

③ 보살도를 실천한다.      ④ 포교당을 운영한다.

 

49. 다음 중 대한불교조계종 신도법에 의한, 신도의 의무가 아닌 것은?

① 포교사 자격을 갖출 의무

② 보시 및 지계의 의무

③ 교무금을 납부할 의무

④ 상구보리하화중생의 서원을 세우고 수행할 의무

 

50. 대한불교조계종 사찰운영위원회법에 명시된, 사찰운영위원회의 협의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사찰운영위원회 위원장 추천에 관한 사항

② 사찰의 예산, 결산에 관한 사항

③ 사찰의 각종 불사와 사업에 관한 사항

④ 사찰재산 처분에 관한 사항

 

[단답형 문항] (1문항당 2점)

1. 다음에 해당되는 타종교에 대한 태도를 무슨 주의라고 하는가?

모든 종교에는 나름대로 구원의 길이 있고 그것은 동일하다는 태도이다.

그러나 이는 구원이든 깨달음이든 종국에 가서는 만날 수 있으므로 종교간 대화의 필요성이 없다는 태도로 귀결되기 쉽다.

(정답) 병렬주의

 

2. 종합 수행도량인 총림(叢林)을 대표하며 그 지도감독권을 갖는 이를 칭하는 말은?

(정답) 방장(方丈)

 

3. 부처님의 육신통을 모두 쓰시오.

(정답) 천안통, 천이통, 타심통, 숙명통, 신족통(여의통), 누진통

 

4. 《증일아함경》에 의하면, 부처님께서 세상에 출현하실 때에 반드시 다섯 가지 일을 하신다고 한다. 그 첫째는 무엇인가?

“여래가 세상에 출현할 때는 반드시 다섯 가지 일을 한다. 첫째는 ( ? ), 둘째는 부모를 제도하는 일이며, 셋째는 믿음이 없는 사람을 믿음의 땅에 세우는 일이요, 넷째는 보살의 뜻을 내지 않는 사람에게 보살의 마음을 일으키도록 하는 일이요, 다섯째는 장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를 주는 일이다. 만일 여래가 이 세상에 출현할 때는 반드시 이 다섯 가지 일을 한다.…”

(정답) 법륜을 굴리는 일

 

5. 내년(불기2545년)에 이 스님의 탄신 700년주년이 되는 해이다. 조계종의 중흥조로 추앙받는 이 스님은 누구인가? (정답) 태고 보우

 

 

6. 일체의 유정(有情)이 생사를 거듭하며 윤회하는 과정은 보통 사유(四有)라하여 네 가지 단계로 나눈다. 그 중 죽은 다음 생으로 태어나기 직전까지의 존재를 무엇이라 하는가?

(정답) 중유(中有), 중음, 중온, 중음신

 

7. 사리불의 친구로서 전통적인 바라문교에 만족할 수 없어 회의론자인 산자야의 문하에 들어갔다가 부처님의 제가가 된 마가다의 바라문은 누구인가?

(정답) 목건련, 목련존자, 목갈라나존자

 

8. 진리를 깨닫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세 가지 불교수행(三學)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정답) 계율(戒), 선정(定), 지혜(慧)

 

9. 모든 중생의 번뇌 속에 내재하여 있는 본래 청정한 여래의 법신을 말하며, 번뇌 속에 있어도 번뇌에 더럽혀지지 않고 절대 청정하며 영원히 변함없는 깨달음의 본성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정답) 여래장(如來藏)

 

10."차라리 계를 지키며 하루를 살다가 죽을지언정 계를 버리고 백 년을 살지는 않겠다."며 왕의 부름을 끝내 물리친 신라의 고승은 누구인가?

(정답) 자장(慈藏), 자장율사

 

11. 공(空) 등 생소한 불교 개념을 노장(老莊) 등의 고유사상을 통해 이해하려는 방법으로서 서진(西晋) 말부터 동진(東晉)시대까지 유행하던 풍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정답) 격의(格義)불교

 

12. 다음의 빈 칸에 각각 들어갈 역경가를 쓰시오.

다음: 서역출신인 ( )은(는) 당대의 ( )과(와) 더불어 중국 최고의 역승으로 인정받고 있는데 이들은 각각 구역과 신역을 대표하는 일이다. (정답) 구마라집, 현장

 

 

13. 이곳은 5세기 쿠마라굽타 1세가 건립한 사원으로 중국의 현장 스님이나 의정(義淨) 스님을 비롯한 많은 티벳스님들도 유학하였다. 힌두 계통의 학문도 가르쳐 종합적인 대학의 기능을 수행하였던 사원은? (정답) 날란다(나란다) 사원(대학)

 

14. 명부전에서 볼 수 있는 법구로서, 죽은 사람이 명부에 가서 심판을 받을 때 스스로 지은 죄업이 비친다는 이 법구의 이름은 무엇인가? (정답) 업경대

 

 

15, 이것은 사다리나 계단을 오르듯이 낮은 단계에서 높은 단계로 점차적으로 수준을 높여 나아가는 포교 방법이다. 예를 들면 부처님은 시론(施論) - 계론(戒論) - 생천론(生天論) - 제욕(諸欲)의 과환(過患) - 출리(出離)의 공덕 - 사제(四諦) 등을 순서에 따라 설법하셨다. 이러한 교화 방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정답) 차제설법(次第說法)

 

 

16. 대중들이 많이 모이는 결제 또는 불사 때에 모든 사람이 잘 볼 수 있는 곳에 붙여 놓고 숙지토록 해 규칙적인 생활과 일의 원활한 추진을 도모하고자 대중의 소임을 적은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정답) 용상방(龍象榜)

 

 

17. 불교신앙의 대상이 불상, 불화 등에 생명력을 불어넣어 귀의의 대상으로 모시는 의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정답) 점안식(點眼式), 개안식(開眼式)

 

 

18. 구산선문 가운데 한 곳으로, 올해(불기2544년) 진제스님이 조실로 추대된 대한불교조계종의 특별선원인 태고선원이 위치한 사찰은? (정답) 봉암사

 

 

19. 과거부터 꾸준히 제기되어 왔던 대한불교조계종의 3대사업은? (정답) 포교, 역경, 도제양성

 

 

20. 종정 추대권, 선출된 총무원장에 대한 인준권 등의 권한을 지닌 곳으로, 올해(불기2544년) 법전스님이 의장 소임을 맡게 된 대한불교조계종의 기구는? (정답) 원로회의

 

 

[서술형 문항]

1. 초기불교의 중도사상을 설명하고 사성제와의 연관성을 서술하시오.(10점)

2. 경전의 육성취(六成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10점)

3. 삼륜 청정의 보시에 대하여 현실에 비추어 간략히 기술하시오.(5점)

4. 남북 평화와 화해의 시대에 즈음하여 불자의 역할에 대하여 기술하시오.(5점)

 

[서술형 모범답안]

1. 중도는 부처님이 성도하신 직후 5명의 수행자를 찾아갔을 때 처음으로 설하신 내용이다. 이 때 부처님은 "수행자들아! 나는 양 극단을 떠나 중도를 깨달았다."라고 선포하고 계신다. 이것은 중도가 불교에서 어떤 교학적 위치를 점하는 가를 말해준다. 이 때 이루어진 초전법륜에서 부처님은 중도와 사성제, 오온 무아를 설하셨다고 한다. 중도는 사성제 가운데 8정도로 다시 언급되기 때문에 중도(中道)는 정도(正道)라고 할 수 있다.

중도는 양 극단을 떠나 올바른 것을 찾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정형의 교의가 있는 것은 아니다. 중도를 8정도라고도 하고 연기(緣起)라고도 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그러나 부처님 당시 중도와 대승불교에서의 중도의 설명은 그 극단으로 대립하는 대상의 차이로 인해 설명이 다르다. 초기불교의 중도는 크게 고락중도(苦樂中道), 단상중도(斷常中道), 유무중도(有無中道)설로 구분된다. 이것은 부처님 당시에 횡행하던 극단적 사상과 사조를 말한다. 고락중도란 고행주의(苦行主義)와 쾌락주의(快樂主義)의 대립을 말한다. 고행주의와 쾌락주의의 극단을 떠난 바른 길은 즉 팔정도이다. 고락중도가 실천적 성격을 띠는 것에 비해 단상중도와 유무중도는 견해의 문제이다. 단상중도는 당시 사상계에 횡행하던 단견(斷見)과 상견(常見)의 잘못된 견해를 떠난 것을 말한다. 단견은 단멸론을 말하고, 상견은 상주론을 말한다.

유무중도 역시 세계와 우주의 끝, 영혼 등의 존재에 대한 논의의 대립을 말한다. 단상중도에서 연기법이 제시되고 유무중도에서는 무기(無記)의 입장이 나타난다.

사성제는 부처님께서 5비구를 대상으로 설하신 초전법륜의 주요 내용이다. 부처님이 이들에게 연기의 법칙을 직접 설하시기보다 사성제와 중도를 설하신 것은 연기의 이치를 이해하기 쉽도록 현실에 맞게 응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사성제란 괴로움(苦)과 괴로움의 원인(集)과 괴로움의 소멸(滅)과 괴로움의 소멸 방법(道)에 대한 가르침이다. 존재하는 것의 현실은 항상 불만족과 고통의 연속(苦)이다. 이런 현상의 원인은 바로 집착이다. 무상(無常)한 현실에서 영원한 것을 찾고, 고정된 실체나 본래의 자기 것이 없는데도(無我) 헛되이 집착함(集)으로 말미암아 고통을 낳는 것이다.

그러면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는 방법과 극복된 상황은 무엇인가? 고의 원인이 되는 집착을 제거하는 방법이 바로 도(道)이며 그 도의 내용인 8가지 올바른 실천(八正道)을 통해 얻어지는 평안의 경지가 바로 멸(滅)의 상태이다. 이 팔정도가 중도의 실천이며 그릇된 견해 극단의 견해를 떠난 바른 견해와 실천을 제시하는 불교의 중요한 가르침이다.

이와 같이 현실과 그 원인, 현실의 극복의 길과 그 결과 등 4가지가 모두 원인과 결과를 이루면서 서로 인과관계를 이루고 있으니 이는 부처님이 깨달으신 연기의 이치를 중생의 현실에 맞추어 알기 쉽게 설하신 것이라고 할 것이다.

 

2. 경전의 서두에는 경이 설해진 때와 장소, 청중 등을 기록한 부분이 있다. 보통 여섯 가지 항목으로 이루어진다. 그 내용은 ⑴믿음을 나타내는 부분, 신성취(如是) ⑵들었음을 나타내는 부분, 문성취(我聞) ⑶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때를 나타내는 부분, 시성취(一時) ⑷말씀하신 분을 나타내는 부분, 주성취(佛) ⑸말씀의 장소를 나타내는 부분, 처성취(在王舍城 등) ⑹청중을 나타내는 부분, 중성취(비구 5백인 등) 가 바로 그것이다. 이 여섯 가지를 육성취라고 한다.

 

3. 신도로서 믿음은 있으나 계율이 없으면 완전하지 못하다. 그러므로 계율을 잘 지켜야 한다. 그러나 믿음과 계율이 있으나 보시하지 않으면 이 또한 완전하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부지런히 베풀어 공덕을 닦아 나가야 한다. 《잡아함경》 〈일체사경〉

다른 사람에게 베푸는 것을 보시라고 한다. 보시에는 재물을 베풀어주는 재시(財施), 두려움을 없애 주는 무외시(無畏施), 그리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해 주는 법시(法施)가 있다. 또한 재물이 없이도 베풀 수 있는 일곱 가지 보시로 무재칠시(無財七施)가 있으니 부드러운 눈으로 사람을 대하는 안시(眼施), 부드럽고 미소띤 얼굴로 사람을 대하는 화안열색시(和顔悅色施), 좋은 말로 사람을 대하는 언사시(言辭施), 예의 바르게 사람을 대하는 심시(心施), 다른 이의 수고로움을 덜어주는 신시(身施), 다른 이에게 자리를 양보하는 상좌시(床座施), 사람을 재워주는 방사시(房舍施)가 그것이다.

자기 것에 집착하는 사람들에게 자신이 가진 것을 다른 이에게 주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소유에 대한 집착과 욕심으로부터 벗어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보시는 이러한 집착을 끊을 수 있는 중요한 수행의 방편으로 기쁜 마음으로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것을 베풀어주는 것이다. 보시를 할 때는 주었다는 생각이나 그에 따른 복덕도 생각하지 않는 것이 참된 보시이니 이것을 무주상보시라고 한다. 또한 주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 주는 물건이 모두 부정하지 않은 청정한 것이어야 하니 이 세 가지가 모두 청정한 것을 삼륜청정(三輪淸淨)의 보시라고 한다.

최근 들어 사회 문제가 되는 각종 의혹사건과 로비 사건은 주고 받는 사람의 마음과 그 물건 자체가 청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탄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무주상 보시와 삼륜청정의 보시를 실천함으로 인해 우리는 집착과 그로 인해 생긴 모든 번뇌를 벗어나게 된다.

 

4. 남북분단이 가져오는 민족의 고통과 고통의 해결을 지향하는 불교의 가르침에 따라 통일을 위해 불자의 한사람으로서, 민족의 일원으로서 통일과 민족화합을 위해 매진해야 한다는 생각을 정리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