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포교사고시 공부방/포교사고시 기출문제

10회 포교사고시 기출문제

moksha 2014. 7. 1. 22:01

 

제10회 포교사고시

 

[제 1 교시]

1. 다음의 보기는 새벽 예불 시간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도량석, 축원, 칠정례, 반야심경, 종성

① 도량석 - 축원 - 칠정례 - 반야심경 - 종성

② 종성 - 축원 - 칠정례 - 반야심경 - 도량석

도량석 - 종성 - 칠정례 - 축원 - 반야심경

④ 종성 - 칠정례 - 반야심경 - 축원 - 도량석

 

2. 부처님과 법의 관계를 삼신설로 설명할 수 있다. 다음 중 삼신에 해당하는 부처님과 관계가 없는 것은?

① 비로자나불          ② 노사나불         ③ 석가모니불          약사여래불

 

3. 대중들이 동참하여 기도하는 6재일과 10재일의 날짜와 해당재일의 불보살님의 명호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매월 음력 1일-석가모니불                ② 매월 음력 8일-지장보살님

매월 음력 15일-아미타불                 ④ 매월 음력 23일-약왕보살님

 

4. 다음은 <유마경>에 나오는 말씀이다. 이 글에 나타난 비유를 설명한 것으로 잘못된 것은?

어떤 사람이 조용한 광야를 걷고 있었다. 그 때 갑자기 뒤에서 성난 코끼리가 달려왔다. 그는 코끼리를 피하기 위해 마구 달리기 시작했다. 한참 달리다 보니, 몸을 피할 작은 우물이 있어 급한 나머지 그 속으로 들어갔다. 우물에슨 마침 칡넝쿨이 있어 그것을 타고 밑으로 내려갔다. 한참 내려가다가 정신을 차리고 아래를 내려다 보니 밑에는 다시 무서운 독사가 입을 벌리고 있었다. 그래서 다시 위를 쳐다보니 코끼리가 아직도 우물 밖에서 성난 표정으로 서 있었다. 그는 할 수 없이 칡넝쿨에만 매달려 목숨을 부지하고 있는데 어디선가 달그락 달그락 소리가 나서 주위를 살펴보니 위에서 흰쥐와 검은 쥐가 번갈아 가며 칡넝쿨을 갉아먹고 있는 것이 아닌가. 뿐만 아니라 우물 중간에서는 작은 뱀들이 왔다 갔다 하면서 사람을 노리고 있지 않은가. 온 몸에 땀이 날 정도로 두려움에 떨며 칡넝쿨을 잡고 위만 쳐다보고 있는데 마침 어디선가 벌 다섯 마리가 나타나 칡넝쿨에 집을 지었다. 그러면서 꿀을 한방울씩 떨어뜨려 주는데 그는 꿀맛에 취해 왜 꿀을 더 많이 떨어뜨려 주지 않나하는 생각에 빠져 자신의 위급한 상황을 잊고 말았다.

① 어떤 사람은 범부를, 코끼리는 무상하게 흘러가는 세월을 의미한다.

칡넝쿨은 생명, 검은 쥐와 흰 쥐는 선과 악을 의미한다.

③ 작은 뱀들은 사대(四大) 즉 몸이 아픈 것, 독사는 죽음을 의미한다.

④ 벌 다섯 마리는 인간의 나쁜 생각과 견해인 오욕락을 의미한다.

 

5. 승가는 화합의 공동체라 한다. 전통적으로 화합승단을 유지하기 위한 원칙을 육화합(六和合)이라고 하는데 다음 중 육화합의 원칙과 가장 거리가 것은?

① 몸으로 화합함이니 함께 살라

② 뜻으로 화합함이니 서로 어긋나지 말라

③ 계로 화합함이니 같이 수행하라

이익으로 화합함이니 차별적으로 나누라

 

6. 다음 중 5계를 범했을 때 끊어지는 선근 종자로 잘못 짝지어진 것은?

① 살생 - 자비종자           투도 - 부자종자

③ 음행 - 청정종자          ④ 망어 - 진실종자

 

7. 다음 중 부처님 재세시 최초의 여성 출가자는 어느 분인가?

마하파자파티    ② 야소다라    ③ 수자타    ④ 승만부인

 

8. 8재계의 계목이 아닌 것은?

①꽃다발이나 장신구(瓔珞)로 몸을 꾸미지 않고 그리고 향수 등으로 화장을 하지 않겠습니다.

②높고 좋은 침상이나 와구(臥具)를 쓰지 않으며 또한 노래하고 춤추고 기악(器樂)하는 것을 보고 듣지도 않겠습니다.

③때가 아닌 때에 먹지 않겠습니다.

금이나 은이나 다른 보물을 가지지 않겠습니다.

 

9. 다음 중 대한불교조계종의 소의경전은 무엇인가?

금강경, 전등법어     ② 화엄경, 전등법어

③ 금강경, 육조단경     ④ 법화경, 전등법어

 

10. 공양을 올리는 것은 재가불자의 기본이다. 다음 중 육법공양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① 차 공양    ② 꽃 공양    옷 공양    ④ 향 공양

 

11. 다음 중 불교의 4대 명절에 해당되는 날로 잘못 나열된 것은?

① 부처님 탄신일 - 음력 4월 8일

② 부처님 출가일 - 음력 2월 8일

부처님 열반일 - 음력 3월 8일

④ 부처님 성도일 - 음력 12월 8일

 

12. 다음 중 천수경에서 나오는 진언이 아닌 것은?

① 참회진언    ② 호신진언    광명진언    ④ 준제진언

 

13. 다음은 누구와 누구를 말하는 것인가?

“부처님의 제자 가운데 두 사람이 있었다. 두 사람은 한 스승 밑에서 수행하던 친구였다. 좋은 스승을 만나면 서로 연락해 주기로 약속을 하고 살다가 어느 날 부처님을 만나게 되었다. 그러자 그들은 함께 부처님의 제자가 되어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① 문수보살과 보현보살               ② 사리불과 목건련

③ 아난과 가섭                       ④ 라훌라와 혜공

 

14. 다음 가르침의 내용과 거리가 것은?

“수행자여, 이 세상 사람들은 두 가지 극단으로 치우치는 길이 있느니라. 그 하나는 육체의 요구대로자신을 내맡기는 쾌락의 길이고, 또 하나는 육체를 너무 지나치게 괴롭히는 고행의 길이다.

수행자는 이 두 극단을 버리고 중도(中道)를 배워야 한다.

나는 바로 중도를 깨달았으며, 그 길에 의하여 생로병사의 온갖 괴로움을 버리고 평화로운 해탈의 기쁨을 얻었느니라.”

① 녹야원에서 다섯 수행자에게 설한 것이다.

중도와 육바라밀을 설하였다.

③ 이때 최초의 승가공동체가 성립되었다.

④ 최초의 설법으로 흔히 ‘초전법륜’이라고 한다.

 

15. 팔정도의 첫 덕목인 정견(正見)의 의미를 설명한 것으로 거리가 것은?

① 모든 것의 옳고 그름을 바로 보는 것이다.

모든 사물을 분별해서 보는 것이다.

③ 모든 것을 연기의 입장에서 보는 것이다.

④ 모든 것을 무아의 입장에서 보는 것이다.

 

16.『육조단경』에 “보리는 본래 나무가 없고, 밝은 거울 또한 받침대가 없네. 부처의 성품은 항상 깨끗하니, 어느 곳에 티끌과 먼지가 있으리오.”라는 구절과 관련된 것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북종 - 점수선적 가풍 - 신수

② 북종 - 돈오선적 가풍 - 혜능

남종 - 돈오선적 가풍 - 혜능

④ 남종 - 점수선적 가풍 - 신수

 

17. 다음 중 불자의 신행자세(정근, 간경, 염불, 참선, 법회 등)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① 몸을 흔들거나 경거망동하지 말아야 한다.

② 정근할 때에는 일념으로 한다.

부처님의 가피만을 생각하며 염불한다.

④ 다른 사람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18. 불교에서 깨달음에 장애가 되는 근본적인 세 가지의 번뇌를 말하는 것은 무엇인가?

① 삼업(三業)    ② 삼심(三心)    ③ 삼악(三惡)    삼독심(三毒心)

 

19. 부처님께 예불을 드릴 때 항상 봉송하는 『반야심경』의 핵심 내용은 무엇인가?

① 지계 바라밀                  ② 선정 바라밀

③ 보시 바라밀                  지혜 바라밀

 

20. 대한불교조계종 신도의 교육과 조직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것은?

종단을 구분하지 말고 불자를 양성해야 한다.

② 재가신도에 대한 직분에 따라 위계를 세워야 한다.

③ 도심포교당을 중심으로 한 도시지역에 대한 포교열기의 확산 등이 필요하다.

④ 종단 차원에서 재가신도의 교육 방침을 확정하여 전국 본․말사가 통일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21. 다음은 천수경에 나오는 진언이다. 바르게 연결된 것은?

참회진언- 옴 살바 못자 모지 사다야 사바하

②개법장진언- 옴 자례 주례 준제 사바하 부림

③호신진언- 옴 아라남 아라다

④정법계진언-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22. 다음 중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사의 사명과 가장 거리가 것은?

①보살도 실천    ② 삼보 호지    수계     ④ 정법 홍포

 

23. 대한불교조계종 「신도법」상 신도의 의무가 아닌 것은?

① 교무금 납부    성지순례    ③ 삼보호지    ④ 종단 법규준수

 

24. 다음 중 종법이 정하는 사찰신도회장의 자격으로 맞는 것은?

① 연령 30세 이상, 오계 수지 자

연령 30세 이상, 보살계 수지 자

③ 연령 35세 이상, 오계 수지 자

④ 연령 35세 이상, 보살계 수지 자

 

25. 다음 중 부처님 십대제자와 그 능력을 짝 지은 것으로 거리가 것은?

① 아난다 - 다문제일             ② 목건련 - 신통제일

③ 부루나 - 설법제일             우팔리 - 해공제일

 

26. 다음 중 주불로 모신 부처님과 법당의 이름을 짝 지은 것 으로 틀린 것은?

① 석가모니불 - 대웅전

② 비로자나불 - 대적광전

③ 아미타불 - 무량수

미륵불 - 원통전

 

27. 다음 중 지장보살상의 특징과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① 삭발한 스님의 모습을 하고 있다.

② 주로 명부전에 모셔져 있다.

손에는 약병을 들고 있다.

④ 육환장을 들고 있기도 하다.

 

28. 연기법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① 연기법은 인연법(因緣法) 또는 인과법(因果法)이라고도 한다.

모든 것은 독자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관계속에서 존재한다는 진리이다.

연기법에 의하면 우리의 고통과 슬픔은 독자적으로 우연히 일어난 것이다.

④ 부처님께서 깨달은 진리의 내용이다.

 

29. 법당에는 통상 상단, 중단, 하단의 삼단 구조로 되어 있는데, 각 단에 모셔진 분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상단 - 위패, 중단 - 제석천과 팔부신장, 하단 - 부처님과 보살상

② 상단 - 제석천과 팔부신장, 중단 - 부처님과 보살상, 하단 - 위패

③ 상단 - 부처님과 보살상, 중단 - 위패, 하단 - 제석천과 팔부신장

상단 - 부처님과 보살상, 중단 - 제석천과 팔부신장, 하단 - 위패

 

30. 다음 중 대한불교조계종의 중앙종무행정기관이 아닌 것은?

① 총무원        중앙종회        ③ 교육원          ④ 포교원

 

(단답형)

1. 다음은 대한불교조계종 종헌의 제1조이다. 빈 칸을 채우시오.

 

제 1조 본종은 대한불교조계종이라 칭한다. 본종은 신라 (도의국사)가 창수한 가지산문에서 기원하여 고려 (보조국사)의 중천을 거쳐 (태고 보우국사)의 제종포섭으로서 조계종이라 공칭하여 이후 그 종맥이 면면불절한 것이다.

 

2. 위법망구(爲法忘軀)의 바른 뜻을 한글로 쓰시오.

올바른 법을 지키기 위하여 심신의 안위를 버린다. 혹은 깨달음을 위해 몸을 잊어 버림

 

3. 다음은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법회의 진행순서이다. 빈 칸을 채우시오

삼귀의 - (반야심경) - 청법가 - 입정 - (법문) - 발원 - (사홍서원) - 산회가

 

4. 다음은 부처님의 일대기를 표현한 팔상성도의 일부를 나열한 것이다. 나머지 빈 칸을 채우시오.

 

도솔래의상(兜率來儀相)

비람강생상(毘藍降生相)

(사문유관상)

유성출가상(踰城出家相)

(설산수도상)

수하항마상(樹下降魔相)

(녹원전법상)

쌍림열반상(雙林涅槃相)

 

 

5. 대한불교조계종 종헌에서 밝히고 있는 종단의 구성원인 사부대중은 무엇으로 이루어 지는지 각각의 명칭을 각각 쓰시오.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

 

 

6. 보시할 때에는 삼륜(三輪)이 청정하여야 한다고 한다. 여기서 청정해야 할 세 가지는 무엇인지 쓰시오. 베푸는 자, 받는 자, 보시한 물건

 

 

7. 다음은 ‘보현행원’이라는 찬불가의 가사 1절 이다. 빈 칸을 채우시오

내 이제 두손 모아 청하옵나니

(시방세계) 부처님 우주대광명

두 눈 어둔 이내몸 굽어 살필사

위없는 (대법문)을 널리 여소서

(허공계) (중생계)가 다할지라도

오늘 세운 이 (서원)은 끝없사오리

 

8. 보살의 한량없는 마음을 무량한 마음이라 한다. 보살이 갖추어야 할 네가지의 무량한 마음인 4무량심이 무엇인지 쓰시오. 자, 비, 희, 사

 

9. 다음은 반야심경의 전문이다 빈 칸을 채우시오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 시 (조견오온개공도일체고액)

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 사리자 (시제법공상)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시고

공중무색 무수상행식 (무안이비설신의) 무색성향미촉법 무안계내지

무의식계 무무명 역무무명진 내지 무노사역무노사진 무고집멸도

무지 역무득 이무소득고 보리살타 의반야바라밀다 고심무가애

무가애고 무유공포 (원리전도몽상) 구경열반 삼세제불

의반야바라밀다 고득아뇩다라 삼먁삼보리 고지반야바라밀다

시대신주 시대명주 시무상주 시무등등주 능제일체고 진실불허고

설반야바라밀다주 즉설주왈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3번)

 

10. 다음은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5대 총림의 사찰명을 나열한 것이다. 빈칸에 알맞은 총림의 명칭을 채우시오.

통도사 - (영축)총림, 해인사 - (해인)총림, 송광사 - (조계)총림

수덕사 - (덕숭)총림, 백양사 - (고불)총림,

 

(서술형) 불교란 무엇인지를 약술하시오.

 

(봉축표어 및 노래가사) 불기2549(2005)년도 봉축 표어 및 창작 가사를 쓰시오.

 

[제 2 교시]

1. 다음 중 과거칠불이 아닌 부처님은?

① 비바시불     ② 비사부불     ③ 가섭불     아촉불

 

2. 다음 중 불교의 4대성지로서 서로 짝이 맞지 않는 것은?

① 설법지 - 사르나트          ② 열반지 - 구시나가르

성도지 - 바라나시          ④ 탄생지 - 룸비니

 

3. 부처님께서는 열 가지 지혜의 힘을 가지고 계신다. 이것을 우리는 십력(十力)이라고 한다. 다음 중 십력이 아닌 것은?

① 도리와 도리가 아닌 것을 분명히 분별하신다.

② 각 중생은 깨달음에 대해 저마다 다른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분명히 아신다.

최고의 깨달음을 얻었다고 분명히 말씀하시는 데 조금도 의심이 없다.

④ 중생들의 번뇌가 다하면 깨달음을 얻을 것이라고 분명히 아신다.

 

4. 경전에서 부처님이 지닌 덕성을 십팔불공법이라 하는데, 이에 해당하는 것이 아닌 것은?

① 십력         사무량심        ③ 삼념주          ④ 대자비심

 

5. 불교의 핵심사상인 연기법의 실상을 잘 설명해 주고 있는 것으로서 진리라고 인증하는 이 진리는 부처님께서 발견하셨으므로 부처님의 교법이라 하며 불교를 다른 종교나 사상과 구별하기 위한 기준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을 삼법인이라고 하는데 다음 중 삼법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일체의 삼라만상이 끊임없이 변해가며 모든 것이 무상하다고 가르친 것은 참다운 삶, 가치 있는 삶을 얻게 하기 위한 실천적 의미가 담겨 있다.

② 모든 것은 변화하면서 팽팽한 갈등과 충돌의 불안정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가 몸과 마음에서 지속될 때 이것을 고통이라고 한다.

③ 시간이 흐르면서 이 모습, 이 세포는 그대로 있지 않고 끊임없이 ‘나의 모습’은 변한다. 내 느낌, 생각, 가치관 등에서 ‘나’라는 실체를 찾아낼 수 없다.

모든 중생들이 생사의 괴로움을 알지 못하고 미혹을 일으키고 업을 지어 삼계에 유전(流轉)한다. 이 때문에 부처님께서 중생은 생사의 괴로움을 벗어날 수 없음을 타이르시는 열반의 법을 설하셨다.

 

6. 다음 용어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법(法) - 원어는 다르마(Dharma)이며, ‘변화를 나타내는 뜻이다.

② 업(業) - 원어는 까르마(Karma)이며, ‘의도를 가진 행동’이란 뜻이다.

③ 계(戒) - 원어는 실라(Sila)이며, 넓은 뜻으로 불교인의 생활방식을 뜻한다.

④ 율(律) - 원어는 비나야(Vinaya)이며, 교단유지 등에 필요한 적극적인 행위규범이다.

 

7. 다음은 오온(五蘊)을 설명한 것이다. 그 연결이 바르지 못한 것은?

수(受) - 눈, 귀, 코 등의 감각기관

② 상(相) - 느낌을 이미 축적된 개념과 연관지어 개념화한 정신작용

③ 행(行) - 마음의 상태, 마음의 인식작용

④ 식(識) - 나누어서 아는 것, 분별, 판단, 인식작용

 

8. 팔정도의 각 덕목을 계정혜 삼학의 구조 속에서 살펴볼 때 서로 바르게 연결한 것은?

① 계(戒):정명, 정정진

② 계(戒):정념, 정정

③ 정(定):정어, 정업

혜(慧):정견, 정사유

 

9. 부처님은 중생의 소질을 의미하는 근기가 여러 종류이므로 거기에 맞춘 설법과 모든 가르침의 목적은 중생을 부처가 되게 하는 데 있으므로 그와 상응해서 그 가르침을 말씀하시는 부처님도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고 그 가르침이 일승이어서 그 가르침을 듣는 중생도 모두 부처가 된다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경전은 어느 것인가?

① 금강경            ② 화엄경            법화경            ④ 능엄경

 

10. 대승불교 경전과 그 선사상(禪思想)의 연결이 바르지 못한 것은?

① 금강경 - 응무소주 이생기심

② 화엄경 - 일즉다 다즉일

③ 유마경 - 번뇌 즉 보리

아함경 - 생사 즉 열반

 

11. 다음 중 석가모니 부처님의 수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선정인    지권인    ③ 항마인    ④ 천지인

 

12. 한국에 선이 본격적으로 전래된 시기는?

① 신라 초기              신라 말

③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  ④ 고려 말

 

13. 제1차 결집에 대한 설명으로서 바른 것은?

① 최초의 결집은 부처님 재세시에 이루어졌다.

500명의 제자들이 라자그라하(왕사성)에 모여서 결집을 완성했다.

③ 붓다의 가르침이 우수함을 증명하기 위하여 결집하게 되었다.

④ 700명의 아라한들이 한데 모여서 경장, 율장, 논장을 편찬하였다.

 

14. 대승불교의 이상적 인간형인 보살의 의미를 설명한 것으로 거리가 것은?

①보살은 성불하기 이전의 인행의 붓다를 가리킨 말이다

②현재는 불교에 귀의하고 입문한 모든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사찰에서 신도회 활동을 하면서 불사에 많은 시주를 한 사람만을 말한다.

④보디삿트바(Bodhisattva)라는 말의 음역으로, 깨달음을 추구하는 중생이라는 뜻이다.

 

15. 불교사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근본불교란 석가모니부처님이 생존해 있던 당시의 불교를 말한다.

② 부파불교란 근본불교시대 이후로부터 대승불교가 성행하기 전까지를 말한다.

대중부는 근본분열 이후로 100년 사이에 총 20회의 분열을 거듭하였다.

④ 상좌부와 대중부 가운데 먼저 분열되기 시작한 쪽은 대중부였다.

 

16. 사성제(四聖諦)의 실천구조는 의사가 환자의 병을 치료하는 원리에 비유할 수 있다, 그 비유가 올바르지 않는 것은?

①고(苦)-앓고 있는 병의 증상                 ②집(集)- 발병의 원인

③멸(滅)-병이 완치된 건강한 상태             도(道)- 목숨이 끊어진 상태

 

17. 중국불교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① 불교가 처음 중국에 전래된 것은 후한(後漢)시대이다.

② 구마라집에 의해 중국인들은 격의불교(隔意佛敎)의 체계를 확립할 수 있었다.

③ 현장(玄奘)의 번역을 구마라집의 번역과 비교하여 신역(新譯)이라고 한다.

④ 중국불교의 특징은 교상판석(敎相判釋)에 있다.

 

18. 중국 선종의 중흥의 제일공로자로서 140여명의 대 선지식을 제자로 양성하였으며 그 중 88명이 조계 혜능의 조사선을 천하에 전파하였다고 일컬어지는 스님은 누구인가?

마조        ② 임제        ③ 백장        ④ 신회

 

19. 다음 중 9산선문의 가지산문 법맥과 관련이 있는 스님이 아닌 분은?

① 염거        무염        ③ 체징         ④ 도의

 

20. 발우공양시 게송 구절중 오관게(五觀揭)의 구절은 어느 것인가?

① 如來應量器 我今得敷展 (여래응량기 아금득부전)

② 若受食時 當願衆生 (약수식시 당원중생)

計功多少量彼來處 (계공다소량피래처)

④ 飯食已訖色力充 (반사이흘색력충)

 

21. 다음 중 정혜결사(수선사)와 관련 있는 스님은 누구인가?

① 의천       ② 요세       지눌       ④ 체관

 

22. 고려 고종 24년(1237년) 재조(再雕)대장경 즉 해인사 팔만대장경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① 재조대장경은 모두 1,496종 6,568권의 불경이 포함되어 있다.

대장경의 재조 작업은 고종 38년 (1251년)에 최종적으로 완료되었다.

③ 고종을 대신하여 당시의 문장가였던 이규보가 <대장각판군신기고문>을 썼다.

대장경의 판각작업은 해인사내 대장도감의 본사에서 이루어져 장경각에 바로 모셨다.

 

23. 다음 중 고려시대 창건되어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조선조 사찰 억불정책 이후 4대문 안 첫 사찰로서 조선불교도의 염원을 모아 만해 한용운 스님 등에 의해 중창된 사찰은 어디인가?

① 선학원       ② 원각사      각황사        ④ 봉원사

 

24. 법당에는 일반적으로 삼존불을 모신다. 본존불과 좌우 배치되는 불보살이 잘못된 것은?

① 석가모니불 - 문수보살, 보현보살

② 아미타불 - 관음보살, 대세지보살

③ 약사여래 - 일광보살, 월광보살

미륵보살 - 관음보살, 지장보살

 

25. 불상이 조성되기 이전인 기원전 6세기에서 기원전 1세기 전후까지를 무불상 시대라고 한다. 이 시대의 예배의 대상 중 부처님을 상징하는 표현 가운데 바르지 않은 것은?

탄생 - 코끼리              ② 성도 - 보리수

③ 전법 - 법륜                ④ 열반 - 탑

 

26. 다음 중 보살상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머리와 손에는 화관과 지물이 있다.

② 몸에는 장신구를 걸치고 옷은 천의를 입고 있다.

32상 80종호를 갖추고 있다.

④ 대승불교의 특징인 보디삿트바를 도상화한 상이다.

 

27. 조선시대 때 시행된 승려의 도성출입금지가 해제된 시기는 언제인가?

① 서기 1890년                서기 1895년

③ 서기 1900년                ④ 서기 1905년

 

28. 현재 불교문화권에서 사용하는 불교기는 1950년 세계불교도 우의회에서 제정한 것이다. 다음 중 불교기의 형태와 색상이 옳게 그려진 것은?

주황

주황

 

주황

주황

 

주황

 

29. 다음 중 법화경 법사품에 나오는 법사의 자세로 올바른 것은?

대비심      ② 대신심       ③ 대의심       ④ 대분심

 

30. 「양고승전」에서는 전법자의 4대 조건을 성(聲), 변(辯), 재(才), 박(博) 의 네 가지로 들고 있다. 이 가운데 때와 장소에 맞는 말이 인심을 휘어잡을 수 있다는 것을 말하는 항목은 무엇인가?

① 성(聲)      변(辯)       ③ 재(才)        ④ 박(博)

 

(단답형)

1. 8고를 쓰시오.

생, 노, 병, 사, 애별리고, 원증회고, 구부득고, 오음성고

 

2. 우주 만유의 낱낱 법이 자성을 가지고 각자의 영역을 지키며 조화를 이루는 것을 말하는 화엄교학의 중심사상을 쓰시오. 법계연기

 

3. 대한불교조계종의 25개의 교구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제1교구는 총무원의 직할교구로 별도의 본사를 두고 있지 않다. 제1교구를 제외한 나머지 24개 교구본사의 사찰명을 쓰시오.

2-용주사, 3-신흥사, 4-월정사, 5-법주사, 6-마곡사, 7-수덕사, 8-직지사, 9-동화사, 10-은해사, 11-불국사, 12-해인사, 13-쌍계사, 14-범어사, 15-통도사, 16-고운사, 17-금산사, 18-백양사, 19-화엄사, 20-선암사, 21-송광사, 22-대흥사, 23-관음사, 24-선운사, 25-봉선사

 

4. 다음은 천수경 중 관세음보살님의 십대원이다. 빈 칸에 알맞은 단어를 쓰시오.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속지일체법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조득(지혜안)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속도(일체중)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조득선방편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속승반야선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조득월고해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속득(계정도)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조등(원적산)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속회무위사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조동(법성신)

 

5. 다음은 발우공양시 전발의 모습이다. 각 발우에 여법하게 받아야 하는 것들을 쓰시오.

(단, ③번이 어시발우이다.)      반찬   청수(물) ③밥  ④국

 

 

6. 선종에서는 부처님께서 삼처전심을 통해 마하가섭에 법을 전하였다고 한다. 삼처전심이 무엇인지 쓰시오.

영산회상중 염화미소 / 다자탑전 분반좌 / 사라쌍수하 곽시쌍부

 

7. 다음 관음정근의 빈 칸에 알맞은 단어를 쓰시오.

나무 보문시현 (원력홍심) (대자대비) 구고구난 관세음보살

< 정 근 >

구족신통력 (광수지방편) 시방제국토 (무찰불현신) 고아일심 귀명정례

 

8. 당나라의 시인 백거이(白居易)와 도림(道林)의 일화에서 잘 알려진, 과거 비바시불로부터 석가모니불에 이르기까지 과거칠불의 공통된 훈계인 칠불통게를 쓰시오.

 

모든 악을 짓지 말고(제악막작) 모든 선을 힘써 행해(중선봉행)

스스로 그 마음을 깨끗이 하라(자정기의) 이것이 모든 부처님의 가르침이다(시제불교)

 

9. 다음의 빈칸을 채우시오.

① 종정(          ) 예하

② 원로의장(          ) 대종사

③ 재적사찰의 본사는 제(    )교구 (        )사 주지 (         )스님

④ 재적사찰은 (        )사 주지 (          )스님

⑤ 재적사찰의 신도회장은 (             )

(해설) 스님의 경우에는 법호와 법명을 함께 기재하는 것이 좋다. 신도회장의 경우에도 법명과 이름을 함게 기재하는 것이 좋다.

10. 본인이 재적사찰에서 기여할 수 있는 일 5가지를 쓰시오.

 

(서술형)

현대사회에서 선수행이 필요한 이유에 대하여 논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