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9장 불교 문화

2) 중단탱화 ① 신중탱화(神衆幀畵)

moksha 2017. 7. 5. 13:27

2) 중단탱화

불단의 좌・우측에 상단의 불법과 불교를 수호하는 호법신상을 그려서 거는 탱화로서 주로 신중(神衆)이나 호법신(護法神) 등을 그린 탱화이다.

 

   ① 신중탱화(神衆幀畵)


㉠ 대개 상단의 오른쪽 벽면에 그려진다.

㉡ 금강역사・사천왕・제석천・천룡팔부중 등 불법을 수호하는 선신(善神)들로서 39위에서 최고 104위까지 모신다.

㉢ 화엄회상에 많이 등장하기 때문에 화엄성중(華嚴聖衆)이라고도 한다.

㉣ 보통 상・중・하의 3단으로 이루어진다.

♣ 상단 : 8금강・4보살・10대 명왕 등 밀교적인 신들로 조성된다.

♣ 중단 : 범천・제석천・사천왕・팔부중 등 원시불교의 호법신과 태상노군과 자미대제 등 중국 도교의 신들이 주류를 이루어 조성된다.

♣ 하단 : 인도와 한국의 토속신들이 조성된다.

㉤ 신중탱화는 주로 위타천(韋陀天), 위태천신(韋汰天神)이라고도 불리는 동진보살(童眞菩薩)을 주존으로 하여 그려지지만 104위 신중탱화와 같이 규모가 큰 탱화는 예적금강(穢跡金剛)이나 마혜수라천왕(摩醯首羅天王)을 주존으로 하여 많이 조성된다.

 

동진보살(童眞菩薩)

봉익관(鳳翼冠) 즉 봉날개가 달린 투구를 쓰고 기다란 금강저를 지니고 있는데 측면 상을 그릴 경우에는 얼굴을 불단 쪽으로 향하게 그리는 것이 원칙이다.

 

예적금강(穢跡金剛)

예적금강(穢跡金剛)은 석가모니 부처가 화현(化現)한 모습으로 부정금강(不淨金剛)・화두금강(火頭金剛)이라고도 한다. 더러운 것을 없애므로 예적금강이라 하고, 온 몸에서 지혜의 불길을 내뿜기에 화두금강이라 한다.

 

마혜수라천왕(摩醯首羅天王)

산스크리트어 마케수라(Makeśra)의 음역으로 마혜수라천왕은 색계(色界)의 정상에 사는데 대천세계(大千世界)의 주인이며 대자재천(大自在天)이라고도 한다.

 

㉥ 예적금강(穢跡金剛)은 여래의 화신이라고 해서 탱화의 맨 윗부분에 배치되는데, 삼면삼목팔비(三面三目八臂)로 삼면의 얼굴에 각기 세 개씩의 눈을 가졌고 팔이 여덟 개이며 손에는 금강저나 칼과 같은 무기를 들고 있다. 또 독사를 팔과 몸에 감기도 하고 광배 대신 화염으로 몸을 감싸 아주 엄한 모습으로 표현하고 있다.

㉦ 탱화의 상단 좌측에는 대범천왕과 마혜수라천왕을 나타내고 우측에는 제석천과 자미대제를 그리는데 모두 광배를 두르고 있는 백면(白面)의 보살상으로 조성된다.

㉧ 마혜수라천왕은 삼목팔비의 형상으로 손에는 해와 달을 들기도 하고 연꽃과 무기 등의 지물을 들고 있으며 삼목(三目)만 그리고 팔비는 생략한 경우도 있으며 백면(白面)의 보살상으로 조성된다.

㉨ 그 외에 팔금강과 팔부신중이 조성되며 팔부중 가운데 아수라왕은 양손에 해와 달을 들고 있다. 금시조라 부르는 가루라왕은 독수리의 머리에 용을 쪼아 먹거나 움켜잡은 모습으로 묘사되며, 마후라왕은 머리 위에 뱀을 올려놓은 모습이다. 긴나라왕은 정수리에 한 개의 뿔이 돋아나 있다.

㉩ 그 외에 호계대신(護戒大神), 복덕대신(福德大神), 가람신(伽藍神), 도량신(道場神)과 같이 수행자를 지켜 주고 도량을 지키며 수호하는 신들이 등장한다. 또한 칠성이나28숙(宿), 일월천자(日月天子)와 같은 도교의 신들까지 등장시키고 있다.

 

☞ 39위 신중

①집금강신(執金剛神)・②신중신(身衆神)・③족행신(足行神)・④도량신(道場神)・⑤주성신(主城神)・⑥주지신(主地神)・⑦주산신(主山神)・⑧주림신(主林神)・⑨주약신(主藥神)・⑩주가신(主稼神)・⑪주하신(主河神)・⑫주해신(主海神)・⑬주수신(主水神)・⑭주화신(主火神)・⑮주풍신(主風神)・(16)주공신(主空神)・(17)주방신(主方神)・(18)주야신(主夜神)・(19)주주신(主晝神)・(20)아수라왕(阿修羅王)・(21)가루라왕(迦樓羅王)・(22)긴나라왕(緊那羅王)・(23)마후라가왕(摩喉羅伽王)・(24)야차왕(夜叉王)・(25)대용왕(大龍王)・(26)구반다왕(鳩槃茶王)・(27)건달바왕(乾撻婆王) 욕계(欲界)의 (28)월천자(月天子)・(29)일천자(日天子)・(30)제석천왕(帝釋天王)・(31)야마천왕(夜摩天王)・(32)도솔천왕(兜率天)・(33)화락천왕(化樂天王)・(34)타화자재천왕(他化自在天王) 색계(色界)의 (35)대범천왕(大梵天王)・(36)무량광천왕(無量光天王) 혹은 광음천왕(光音天王)・(37)변정천왕(偏淨天王)・(38)광과천왕(廣果天王)・(39)대자재천왕(大自在天王) 등이다.

이들 신중은 화엄법회에 동참하여 불법에 귀의함은 물론 불법의 호지(護持)를 서원함으로 해서 화엄신장・화엄성중・호법선신・옹호성중이라는 이름의 성중으로 불리게 되고 신앙의 대상으로 자리하게 된다. 39위 신중은 각종 선신과 천룡팔부와 사천왕 그리고 욕계・색계의 천왕들로 구성된 것이다.

 

☞104위 신중

의례를 집대성해 놓은 <석문의범(釋門儀範)>에 대예적금강을 중심으로 8금강・4보살・10명왕(明王)・범천・제석천・4천왕・월궁천자・일궁천자・마혜수라천・산지(散脂)대장・변재천・공덕천・위타천・지신・수신(樹神)・귀자모신・마리지천・사갈라용왕・염라왕・북극대제・13성군(星君)・아수라・가루라・긴나라・마후라가의 43호법선신(善神)으로 이루어졌다.


<신중탱화 (39위)>


<신중탱화 (104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