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9장 불교 문화

(2) 부도(浮屠)

moksha 2017. 6. 19. 13:09

(2) 부도(浮屠) = 승탑(僧塔)

  

  ① 부도의 의미

     고승의 사리탑(대선사가 입적하면 불교식 화장법인 다비식을 거쳐 수습된 사리를 모신 것)

  ② 기원

     통일신라말 9산선문이라는 선종의 발달과 함께 탄생한 조형물

  ③ 위치

     보통 사찰에 들어가는 입구나 절 뒷편에 자리잡아 그 절의 역사를 무언으로 웅변하고 있음

  ④ 형식

♣8각원당형:부도탑의 대표적 양식으로 신라에서 고려에 걸쳐 하나의 전형으로 유행

    ♣석종형: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유행

  ⑤ 대표적인 예


전흥법사염거화상탑 (傳興法寺廉居和尙塔) (국보 제104호)

♣ 통일신라 말의 승려 염거화상의 사리탑이다.

♣ 염거화상(?∼844)은 도의선사의 제자로, 선(禪)에 대한 이해가 거의 없었던 당시 주로 설악산 억성사에 머물며 선을 널리 알리는데 힘썼다.

♣ 체징에게 그 맥을 전하여 터전을 마련한 뒤 문성왕 6년(844)에 입적하였다.

♣ 통일신라 문성왕 6년(844)에 세워 진 것으로 사리탑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규모는 그리 크지 않으나 단아한 기품과 깨끗한 솜씨가 잘 어우러져 있다.

♣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져 있다.

     

 진전사지부도 (陳田寺址浮屠) (보물 제439호)

♣ 이 탑은 진전사를 창건한 도의선사의 묘탑으로 추정된다.

♣ 도의는 선덕왕 5년(784)에 당에서 선종을 이어받고 821년에 귀국하여 설법을 시작하였으나 당시는 교종만을 중요시하던 때라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이 절로 들어와 40년 동안 수도하다가 입적하였다.

♣ 도의선사의 묘탑으로 볼 때 우리나라 석조부도의 첫 출발점이 되며 세워진 시기는 9세기 중반쯤으로 추정한다.


                                                     

                                          <전흥법사 염거화상탑>       <진전사지부도>


쌍봉사 철감선사탑 (雙峰寺 澈鑒禪師塔) (국보 제57호)

♣ 쌍봉사(雙峰寺)에 세워져 있는 철감선사의 부도이다.

♣ 철감선사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로, 28세 때 중국 당나라로 들어가 불교를 공부하였다.

♣ 문성왕 9년(847) 범일국사(梵日國師)와 함께 돌아와 풍악산에 머무르면서 도를 닦았으며, 경문왕대에 이 곳 화순지역의 아름다운 산수에 이끌려 절을 짓게 되는데, ‘쌍봉’인 그의 호를 따서 ‘쌍봉사’라 이름하였다.

♣ 경문왕 8년(868) 71세로 이 절에서 입적하니, 왕은 ‘철감’이라는 시호를 내리어 탑과 비를 세우도록 하였다.

♣ 탑을 만든 시기는 선사가 입적한 해인 경문왕 8년(868) 즈음일 것으로 추정된다.

♣ 당시에 만들어진 부도 가운데 최대의 걸작품이라 할 수 있다.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神勒寺 普濟尊者石鐘) (보물 제228호)

  ♣ 보제존자 나옹스님의 사리탑으로 널찍하게 마련된 1층 기단(基壇)위에 2단의 받침을 둔 후 종모양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 고려 우왕 5년(1379)에 세운 것으로 나옹이 양주 회암사 주지로 있다가 왕의 명으로 밀양에 가던 도중

    이곳 신륵사에서 입적하니 그 제자들이 절 뒤에 터를 마련하여 이 탑을 세웠다.

  ♣ 탑신은 아무런 꾸밈이 없고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불꽃무늬를 새긴 큼직한 보주(寶珠:연꽃봉오리

    모양의 장식)가 솟아 있다.

  ♣ 고려 후기의 석종형 부도 양식을 보여주는 좋은 작품이다.


                                                     

                         <쌍봉사 철감선사탑>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그 밖에 지리산 연곡사 동부도, 해남 대둔사 부도전과 달마산 미황사 부도전, 월정사 부도전 등이 있다.


<부도 각부의 명칭>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 > 제9장 불교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석등(石燈)  (0) 2017.06.20
(3) 탑비(塔碑)  (0) 2017.06.20
3. 불교 조형물 (1) 탑(塔) (Ⅱ)  (0) 2017.06.17
3. 불교 조형물 (1) 탑(塔) (Ⅰ)  (0) 2017.06.17
(4) 불이문(不二門)  (0) 2017.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