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포교사고시 공부방/포교사고시 기출문제

12회 포교사고시 기출문제

moksha 2014. 7. 11. 21:36

12회 포교사 자격고시

 

[1교시]

1. 다음 중 불교의 종교적 특성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① 불교는 깨침의 종교이다

② 불교는 지혜와 자비의 종교이다.

③ 불교는 자아발견을 중시하는 종교이다.

불교는 절대자의 구원을 중시하는 종교이다.

 

2. 다음은 고대 인도사회를 특징짓고 있는 특별한 신분 제도인 사성계급(四姓階級)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지배계급의 혈통 보존이라는 필요에서 출발한 직업에 따른 신분제도였다.

신에게 제사를 지내고 종교의식을 담당하는 크샤트리아(Ksatriya)계급은 신적인 지위를 누렸다.

③ 기원전 1,500년 경 유목 민족인 아리안 족이 침입하면서 자연스럽게 사성 계급제도가 형성되었다.

④ 사성은 "피부색의 차이로" 대체로 흰색의 아리아인이 상위의 세 계급을 차지하고 검은색의 원주민이 하위의 계급을 이루었다.

 

3. 다음 중 설명이 틀린 것은?

부처님(Buddha) : 영원한 진리를 깨우치신 신비로운 존재란 뜻이다.

② 싯다르타(Siddhārtha) : 모든 일이 뜻대로 이루어진다는 뜻이다.

③ 석가모니(Sakyamuni) : 석가족 출신의 성자(聖者)란 뜻이다.

④ 고타마(Gotama) : 최상의 소라는 뜻이다.

 

4. 다음은 고타마 싯다르타의 탄생과 관련한 설명이다. 거리가 것은?

① 기원전 624년 지금의 네팔국 타라이 지방인 카필라 국에서 탄생했다.

② 카필라국은 농업 국가였으나 비교적 풍요롭고 평화로웠다.

③ 사캬족의 정반왕과 마야왕비 사이에서 태어났다.

도리천에서 천인들의 간청을 받아들여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탄생했다.

 

5. 부처님의 생애 가운데서 성스러운 일이 일어났던 장소를 불교에서는 4대 성지라고 하는데, 다음 중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얻은 장소는?

① 룸비니 동산                    ② 바라나시

③ 붓다가야                       ④ 쿠시나가라

 

6. 다음 중 부처님의 십대제자들의 특징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다문제일 - 가섭                ② 천안제일 - 수보리

③ 지혜제일 - 사리불              ④ 밀행제일 - 아난

 

7. 수행자 고타마가 보리수 아래에 앉아 성도할 때 마왕에게 항복받으신 장면을 나타낸 수인(手印)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오른 손을 어깨 높이까지 들어 올리어 손가락을 펴서 손바닥을 보이는 모양이다.

왼손은 가부좌한 발 위에 올려놓고 오른 손은 무릎 위에서 아래로 땅을 향하고 있다.

③ 왼손을 배꼽부근에서 손바닥을 위로 향하고 그 위에 오른손을 겹쳐 두 엄지를 맞대는 모양을 하고 있다.

④ 두 손을 가슴 앞에 모아서 각각의 엄지손가락을 손바닥으로 감추고 다른 손가락들로 감싸 주먹을 쥔 모양을 하고 있다.

 

8. 다음 중 인도와 중국, 한국에 세워진 최초의 사찰들이 순서대로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죽림정사 - 백마사 - 초문사                ② 죽림정사 - 대자은사 - 도리사

③ 기원정사 - 소림사 - 조계사                ④ 기원정사 - 향산사 - 이불란사

 

9. 다음 중 올바른 사찰 예절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법당 문에 들어갈 때에는 가운데 문으로 다니지 않는다.

② 일주문이나 천왕문, 부도 앞을 지날 때에는 항상 합장 반배한다.

③ 탑을 도는 경우에는 자기의 오른쪽에 탑이 위치하도록 하고 주위를 돈다.

법당에 들어서면 하단, 중단, 상단의 순서로 예배한다.

10. 다음 중 스님에 대한 예절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① 길에서 스님을 만나면 존경의 마음으로 항상 합장 반배해야 한다.

② 스님을 모실 때에는 스님과 마주 서거나 스님보다 높은데 서면 안 된다.

③ 큰스님을 찾아뵙고 가르침을 받고자 할 때에는 먼저 시자(侍者)를 통하여 허락을 받아야 한다.

④ 평소 자신과 친분관계가 있는 스님인 경우에는 예의를 지키기 보다는 자연스럽게 행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1. 다음은 대한불교조계종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것은?

① 우리나라에 선법을 최초로 들여온 도의국사를 종조로 모시고 있다.

② 조계종의 소의경전은 『금강경』과 ‘전등법어’이다.

대한불교조계종의 명칭은 1940년 31본산 주지회의에서부터 시작되었다.

④ 조계라는 명칭은 혜능선사가 주석하던 중국 소주(韶州)의 조계산에서 비롯되었다.

 

12. 마음을 다해 바치는 정성스러운 공양은 삼륜(三輪)이 청정할 때, 크나큰 공덕이 뒤따른다고 한다. 여기서 청정해야 할 세 가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주는 자                       ② 받는 자

③ 주고받는 장소                 ④ 주고받는 물건

 

13. 다음 중 현세중생의 모든 재난과 질병을 없애주고 고통에서 구제해주는 약사여래부처님을 모신 법당이 아닌 것은?

① 만월보전(萬月寶殿)             ② 원통전(圓通殿)

③ 유리광전(瑠璃光殿)             ④ 보광전((普光殿)

 

14. 우리나라 불자들이 누구나 참배하고 싶어 하는 5대 적멸보궁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은?

① 영축산 통도사                  ② 사자산 법흥사

③ 태백산 정암사                  ④ 오대산 상원사

 

15. 다음 중 석가모니 부처님의 좌보처로서 사찰에 모실 때는 손에 칼을 들고 있거나 사자를 타고 있는 형상을 한 경우가 많은데, 지혜의 상징으로 대표되는 보살은?

① 미륵보살                       ② 보현보살

③ 지장보살                       ④ 문수보살

 

16. 보살상은 대체로 머리에 보관(寶冠)을 쓰고 있는데, 관세음보살의 정수리와 지장보살이 들고 있는 육환장(六環杖)의 정수리 부분에 모셔진 부처님상은?

① 석가모니불의 화현              ② 아미타불의 화현

③ 비로자나불의 화현              ④ 미륵불의 화현

 

17. 다음 법구 중에서 그 설명이 틀린 것은?

법고 - 땅속의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② 범종 - 천상과 지옥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③ 목어 - 물속에 사는 모든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④ 운판 - 공중을 날아다니는 중생과 허공을 떠도는 영혼을 제도하기 위하여

 

18. 다음 중 불교의 교리를 설명한 것으로 거리가 것은?

부처님의 가르침인 법은 불교에만 한정되지 않는 보편적인 진리이다.

② 모든 것은 독자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상호 관계 속에서 존재한다.

③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중도의 가르침이다.

엄격한 고행을 통해서만 우주의 존재자인 브라만과 아트만이 합일할 수 있다.

 

19. 불교에서는 인간과 그 밖의 모든 존재를 우리의 인식관계로 파악한 열여덟 가지 범주를 십팔계(十八界)라고 하는데, 다음 중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육근(六根)           ②육경(六境)           ③육도(六道)           ④육식(六識)

 

20. 다음 중 중국 선종의 발달사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① 달마, 혜가, 승찬, 도신, 홍인을 거쳐 발전하였다.

② 홍인 이후 신수와 혜능에 의해 북종과 남종으로 나누어졌다.

북종은 돈오선, 남종은 점수선을 각각 선양하였다.

④ 남종 계통인 마조의 홍주종에 이르러 조사선의 생활종교로 발전하였다.

 

21. 다음 중 대승불교의 이상적 인간형인 보살의 의미를 설명한 것으로 거리가 것은?

① 보살은 원래 성불하기 이전의 붓다를 가리킨 말이다.

② 현재는 불교에 귀의하고 입문한 모든 사람들의 가리키는 말이다.

사찰에서 신도회 활동을 하면서 불사에 많은 시주를 한 사람만을 말한다.

④ 보디사트바(bodhisattva)라는 말의 음역으로, 깨달음을 추구하는 중생이란 뜻이다.

 

22. 다음은 대승불교의 붓다관을 설명한 것이다. 거리가 것은?

① 시방삼세에 수많은 부처님이 존재한다고 믿는다.

다불(多佛)사상보다는 일불(一佛)사상을 강조하면서, 자기형성에 중점을 둔다.

③ 신앙의 대상인 붓다의 본원(本願)과 정토(淨土)를 설하고 자비를 찬탄한다.

④ 진리 그 자체로서의 붓다, 즉 법신(法身)과 중생제도를 위한 붓다의 시현, 즉 색신(色身)을 강조한다.

 

23. 다음 중 재가불자가 수지해야 할 십선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모든 생명 있는 자의 목숨을 끊지 말라.

② 모든 중생에게 이간시키는 거짓말을 하지 말라.

③ 언제나 정도에 머물러 어떠한 삿된 견해도 갖지 말라.

모든 사람들에게 술과 고기를 권하지도 말고 먹지도 말라.

 

24. 다음은 불교의 각종 재의식을 설명한 것이다. 설명이 잘못된 것은?

예수재(豫修齋)란 망자가 죽어서 행복하기를 바라는 살아있는 자들의 재의식이다.

② 49재란 망자가 죽은 날로부터 7일마다 한 번씩 모두 일곱 번의 재를 올리는 것을 말한다.

③ 수륙재(水陸齋)란 물이나 육지에 있는 외로운 귀신이나 배고파 굶주리는 아귀에게 공양하는 법회이다.

④ 영산재(靈山齋)란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영축산에서 법화경을 설하실 때의 모습을 이 세상에 재현한 것이다.

 

25. 다음은 불교의 업설(業說)에 대한 관한 설명이다. 가장 올바른 것은?

① 권선징악을 위한 통속적인 교화방편설이다.

선의지(善意志)에 바탕한 창조적 노력을 강조한다.

③ 일종의 숙명론으로서 체념과 달관을 강조한다

④ 삼세업보설(三世業報說)로서 육도(六道)윤회설과 무관하다.

 

26. 다음 중 독묻은 화살의 비유로 유명한 전유경(箭喩經)이 결국 우리에게 말해주려고 하는 내용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인간의 언어와 이성에는 한계가 있다.

② 참다운 인생의 길을 찾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불교는 맹신만을 강조한다.

④ 불교는 인간의 괴로움을 없애주는 가르침이다.

27. 다음 보기가 의미하는 바를 설명한 것으로 거리가 것은?

“그 사람의 지금 모습을 보면 전생을 알 수 있고, 그 사람의 현재 행위를 보면 내생을 알 수 있다.” <삼세인과경>

 

① 부처님은 절대자의 섭리나 정해진 운명을 부정하였다.

② 모든 것은 인간의 의지와 행동에 따라 성립한다.

③ 모든 삶의 결과는 자신의 책임이다.

업(業)은 헤어날 수 없는 인생의 굴레이다.

 

28. 불교에서는 매달 같은 날이나 같은 요일에 실시되는 정기법회가 있는데, 다음 중 일반 대중이 동참하여 기도하는 재일의 연결이 틀린 것은?

① 지장재일 - 음력 18일                ② 관음재일 - 음력 24일

③ 약사재일 - 음력 8일                 ④ 미타재일 - 음력 5일

 

29. 다음 중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불자의 바람직한 태도라고 할 수 없는 것은?

① 나부터 바뀌면 세계가 바뀐다는 적극적인 생명관을 갖는다.

인간의 행복을 위해 자연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정책을 추진한다.

모든 것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연기적 세계관을 갖는다.

④ 인간 생활의 기본적인 요소인 의식주 생활에서부터 근검절약을 생활화 한다.

 

30. 다음은 우리나라 사찰에서의 스님의 소임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① 회주(會主) : 법회를 주관하는 법사, 또는 하나의 회(會, 一家)를 이끌어 가는 큰 어른스님을 말한다.

② 조실(祖室) : 선(禪)으로 일가를 이루어서 한 파의 정신적 지도자로 모셔진 스님을 말한다.

주지(住持) : 사찰의 일을 주관하는 스님을 말하는 선종의 용어이다.

방장(方丈) : 모든 교구본사 사찰의 조실스님을 말한다.

 

31. “모든 나쁜 짓을 하지 말고 온갖 착한 일들을 받들어 행하여 스스로 그 마음을 깨끗이 하라. 이것이 부처님의 가르침이다.”라고 하여 과거의 비바시 부처님으로부터 현재 석가모니 부처님에 이르기까지 일곱 부처님이 모두 공통으로 전승하여 온 함축된 계목을 무엇이라 하는가?(3점)

칠불통계(七佛通戒)

 

32. 우주의 존재 실상을 나타내는 불교의 세 가지 근본 교의인 삼법인을 쓰시오.(3점)

제행무상(諸行無常),제법무아(諸法無我),일체개고(一切階苦)

 

33. 석가모니의 부촉을 받아, 그가 입멸한 뒤 미래불인 미륵불(彌勒佛)이 출현하기까지의 무불(無佛)시대에 중생을 교화·구제한다는 보살로 지옥에서 고통 받고 있는 모든 중생을 제도하기 전에는 결코 성불하지 않겠다고 서원을 세운 보살은?(3점) 지장보살(地藏菩薩)

 

34. 불교는 수행을 중심으로 하면서 자력과 타력의 조화를 통한 깨달음을 추구한다. 불교의 다양한 기도 수행방법을 세 가지 이상 쓰시오.(3점)

염불, 주력, 간경 (절, 사경, 사불, 간화선, 조사선, 묵조선, 위빠사나 등

 

35. 비단이나 삼베에다 불보살의 모습이나 경전 내용을 그려 벽 등에 걸 수 있게 만든 그림을 무엇이라 하는가? 2자로 쓰시오.(3점) 탱화

 

36. 부처님에 대한 지극한 마음을 더욱 더 간절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예배의 마지막 끝에 머리를 조아려 무수히 예경하고픈 간절한 심정의 아쉬움을 표하는 예법을 무엇이라 하는가?(3점) 고두례(叩頭禮)

 

37. 다음은 태자의 앞날에 대해서 예언한 아시타 선인의 예언 내용이다. ( )속에 들어갈 말을 차례대로 쓰시오.(3점)

“왕자님은 보통 사람으로서는 가질 수 없는 훌륭한 상호를 갖추고 태어났습니다. 왕자님은 훗날 성장하셔서 전 인도를 통일하여 덕으로써 다스리는 이상적인 제왕인 ( ㉠ )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만약 ( ㉡ )하여 수행자의 길을 걸으시면 진리를 깨달아 중생을 제도하는 ( ㉢ )이 될 것입니다.

 

㉠전륜성왕 ㉡출가 ㉢부처님

38. 불교에서 깨달음에 장애가 되는 근본적인 세 가지의 번뇌를 말하는 것으로, 열 가지의 악업 중 뜻으로 짓는 세 가지의 의업(意業), 즉 삼독(三毒)의 종류를 쓰시오.(3점)    탐, 진, 치

 

39.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등 북방 불교권에서 선종의 공안이나 화두를 통해서 수행자로 하여금 큰 의심을 일으키고 스스로 그 의심을 해결하여 깨달음을 얻게 하는 불교의 수행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3점)     간화선(看話禪)

 

40. 불교에서는 계를 받는 마음의 굳은 약속의 징표로서 향불로 자기의 팔을 태우는 의식, 즉 연비 의식을 하는데, 이때 계를 받는 사람은 억겁세월동안 지은 악업과 죄업을 참회하기 위해 참회진언(懺悔眞言)을 연비가 끝날 때까지 계속하게 된다. 참회진언을 쓰시오.(3점) 옴 살바 못자 모지 사다야 사바하

 

41. 다음은 오분향 예불문이다. 빈칸에 알맞은 말을 차례대로 쓰시오.(5점)

계향 정향 혜향 ( ) 해탈지견향

광명운대 주변법계 공양시방 무량불법승

헌향진언 옴 바아라 도비야 훔 (세 번)

지심귀명례 삼계도사 사생자부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불타야중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 )

지심귀명례 대지문수사리보살 대행( ) 대비관세음보살 대원본존지장보살 마하살

지심귀명례 영산당시 수불부촉 십대제자 십육성 오백성 독수성 내지 천이백 제대( ) 무량자비성중

지심귀명례 서건동진 급아해동 역대전등 제대조사 천하종사 일체미진수 제대( )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승가야중

유원 무진삼보 대자대비 수아정례 명훈가피력 원공법계제중생 자타일시 성불도

해탈향, 달마야중, 보현보살, 아라한, 선지식

 

42. 세상사에는 희노애락이 있어 괴로움만 있는 것이 아닌데, 왜 불교에서는 모든 것을 고통이라고 하는지 다음의 용어를 사용하여 100자 내외로 쓰시오.(5점)

희노애락, 영원한 것, 일시적인 것, 오온, 무상, 생노병사, 고통

 

(희노애락, 즉 기쁨과 즐거움 등은 영원한 것이 아닌 일시적인 것이다. 왜냐하면 인간을 구성하는 오온 자체가 고이고 무상하기 때문이며, 모든 것은 변하여 고정불변하는 실체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생노병사 등 생의 모든 것이 고통이라고 할 수 있다.)

 

[2교시]

1. 다음 중 불교적 가치관에 해당하는 것은?

① 우연론 - 모든 것은 우연의 소산이다.

② 신의설(神意說) - 모든 것은 초월자의 뜻에 따라 결정된다.

의지행위설 - 모든 것은 자신의 의지와 행위에 의해 결정된다.

④ 숙명론 - 모든 것은 자신의 과거나 태어난 연월일시에 따라 좌우된다.

 

2. 부처님께서 최초로 설파하신 진리가 사성제라면,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진리는 무엇인가?

① 윤회설                         ② 연기법

③ 삼법인                         ④ 업설

 

3. 다음 중 생활 속의 연기법 수행과 거리가 것은?

① 공경과 감사의 생활

② 기쁨 가득한 공존의 생활

③ 분별과 집착을 떠난 자유로운 생활

모든 것을 잊고 내면의 침묵에 잠기는 생활

 

4. 다음 중 오온설의 의미를 설명한 것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① 인간존재는 물질현상과 정신현상의 일시적 결합체일 뿐 고정불변의 실체는 없다는 뜻이다.

② 나라고 할 만한 고정불변의 실체는 없으므로 나를 위한 이기심에서 벗어나라는 의미다.

육신보다는 영혼, 정신, 마음, 자성 등이 오온의 주체로서 가장 중요하다는 뜻이다.

④ 나라고 할 만한 실체는 없으므로 나의 것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라는 의미이다.

 

5. 다음 중 대승불교의 성격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① 부처님의 진정한 정신을 실천적으로 되살리려는 불교 개혁운동으로 시작되었다.

② 자신의 행복보다는 타인의 행복을 위해 자신을 헌신하려는 신행이다.

중생과 함께 하는 대중성과 사회성을 강조하는 생활불교이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학문적으로 다양하고 심도 있게 재해석하는 태도이다.

 

6. 유식학에서는 일체 현상을 세가지 성격으로 조망하였다.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민절무기성(泯絶無寄性)            ② 원성실성(圓成實性)

③ 의타기성(依他起性)                ④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

 

7. 현상적으로 보면 개개의 사물들이 서로 무관한 듯 보이나, 실상은 일체 존재가 서로 밀접한 상관관계 속에 얽혀 있음을 갈파한 화엄사상은?

① 사법계(事法界)                     ② 이법계(理法界)

③ 이사무애법계(理事無碍法界)         ④ 사사무애법계(事事無碍法界)

 

8.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주로 실천하셨으며 동남아시아의 테라바다 불교권에서 대중화되어 있는 선수행법으로서, 지금 있는 그대로의 자기를 응시하여 자신의 몸과 마음이 무상하며, 고(苦)이고, 무아(無我)임을 체험적으로 이해토록 하는 수행법은?

① 간화선                             ② 위빠사나

③ 묵조선                             ④ 단학

 

9. 다음 중 욕심과 발원의 차이점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① 결과 중심 - 과정 중심          ② 공동체적 - 개인적

③ 현재 중심 - 미래 중심          ④ 이기적 - 이타적

 

10. 다음 중 다른 바라밀의 근본이 되는 동시에『반야심경』의 주제가 되는 것은 무엇인가?

① 보시바라밀                     ② 선정바라밀

③ 정진바라밀                     ④ 지혜바라밀

 

11.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근본불교란 붓다가 생존해 있던 당시의 불교를 가리키는 말이다.

② 부파불교란 기원전 300년경부터 기원전 100년경까지이며, 아비달마 불교라고도 한다.

밀교는 인도불교의 최초 발전단계에서 나타난 힌두교의 변형된 형태이다.

④ 대승불교는 신앙적 실천의 주체로서의 보살을 강조한다.

 

12. 다음 중 불멸 후 100년경, 아난다의 제자였던 야사비구의 주도로 바이샬리에서 이루어졌으며, 주로 계율에 대한 해석상의 차이를 문제 삼았던 결집은?

① 1차 결집                     ② 2차 결집

③ 3차 결집                     ④ 4차 결집

 

13. 1956년 “지혜와 자비, 그리고 평등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기에 저는 불교를 사랑합니다. 이 원리들은 선하고 행복한 삶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조건들입니다.”라고 하면서 불교로 개종한 인도 불가촉천민의 해방자이자, 현대 인도불교의 중흥자로 칭송받는 사람은 누구인가?

① 암베드카르                    ② 슐락 시바락사

③ 마하 고사난다                 ④ 틱낫한

 

14. 다음 중 백제 문화의 전성기인 25대 무령왕과 26대 성왕 때의 스님으로, 최초로 불교의 계율에 관한 경전을 인도로부터 직접 전해와 번역하여 백제 율종의 기원을 이룩한 분은?

① 겸익             ② 관륵          ③ 혜총            ④ 담욱

 

15. 다음 중 고려 전기의 숭불 정책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① 왕실에서는 승려들을 초청하여 재(齋)를 여는 반승(飯僧)행사를 자주 거행하였다.

② 지역단위로 불교신앙공동체인 향도(香徒)를 만들어 사찰의 건립과 보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③ 왕실의 불교에 대한 귀의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역대 국왕들의 원찰과 진전(眞殿)사원들이 있었다.

승려의 과거제도인 승과를 실시하여 승계체계를 정비하였으며, 승려들을 국가체제로부터 완전 독립시켜 주었다.

 

16. 다음은 고려시대 대각국사 의천이 천태종을 개창한 이유를 설명한 것이다.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왕실의 후원에 보답하기 위해서

당시 교학을 등한시하는 선종의 개혁을 위해서

③ 독자적인 종파를 성립시켜 국정을 주도하기 위해서

④ 당시 교학을 위주로 하는 화엄종의 종책을 지키기 위해서

 

17. 전 국민의 95%가 불교도인 이 나라는 신체 건강한 자로서 20세가 넘으면 누구나 짧게는 5일에서 길게는 3개월간 절에 들어가 단기 출가하여 불교 교육을 받을 정도로 온 국민의 불심이 깊은 것으로 정평이 나 있으며, ‘교단 통치법’이라는 실정법을 통해서 불교 교단의 활동을 규제하고 있는 남방불교 국가는?

① 스리랑카          ② 미얀마         ③ 타이          ④ 캄보디아

 

18. 다음은 불상과 무드라(인계)의 관계이다. 올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① 석가모니불 -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② 아미타불 - 구품인(九品印)

비로자나불 - 시무외여원인(施無畏與願印)

④ 약사불 - 약기인(藥器印)

 

19. 다음 중 지장보살상의 도상적 특징을 설명한 것과 가장 거리가 것은?

① 화려한 보관 대신 삭발한 스님의 모양을 하고 있다.

② 머리에 두건을 쓰고 있다.

③ 석장과 보주를 들고 있다.

보관에 화불이 있고, 손에 연꽃가지나 연봉, 또는 정병을 들기도 한다.

 

20. 팔부신중의 하나로 제석천의 음악을 관장하는 신이다. 향을 먹고 산다 하여 식향(食香)이라고도 하는 이 신의 이름은?

① 가루라(迦樓羅)                       ② 아수라 (阿修羅)

③ 건달바(乾闥婆)                       ④ 긴나라(緊那羅)

 

21. 다음 중 불전에 봉안된 존상과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① 대광명전 - 미륵불              ② 대웅전 - 석가모니불

③ 무량수전 - 아미타불            ④ 대적광전 - 비로자나불

 

22. 다음 중 승탑(부도)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스님의 신골을 봉안한 묘탑이다.

② 덕망 높은 스님들이 열반에 들면 승탑과 탑비를 세웠다.

③ 인도에서 사리불, 목건련 등 부처님 제자들의 묘탑으로 처음 조성되기 시작했다.

절의 중심지역인 법당 앞에 세우기도 한다.

 

23. 원효 스님이 널리 알린 『화엄경』의 ‘일체무애인 일도출생사(一切無碍人 一道出生死)’란 구절에서 따왔다고 하는 이 노래의 제목은?

① 회심곡            ② 왕생가            ③ 무애가            ④ 백발가

 

24. 다음 중 순수 한글로 이루어진 사설형식의 가사를 개개인의 독특한 음성으로 부르는 범패의 종류는?

① 안채비            ② 화청           ③ 바같채비           ④ 아니리

 

25.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는 어떤 탑에서 발견되었는가?

① 불국사 석가탑             ② 불국사 다보탑

③ 감은사지탑                ④ 분황사모전석탑

 

26. 다음 중 포교사의 사명이 아닌 것은?

① 삼보를 호지한다.    ② 법명을 부여한다.

③ 보살도를 실천한다.  ④ 정법을 홍보한다.

 

27. 다음 중 우리 종단의 신도교육체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기초교육                   ② 기본교육

③ 전문교육                   ④ 재교육

 

28. 다음 중 법회의 일반적 순서를 ‘결정심, 환희심, 회향심’으로 구분할 때 회향심에 해당하는 것은?

① 찬불가            ② 반야심경            ③ 설법             ④ 사홍서원

 

29. 다음 중 대기설법과 가장 거리가 방법은 무엇인가?

① 차제법                        ② 인연법

③ 비유법                        ④ 문답법

 

30. 다음 중 포교프로그램의 평가 지표라 할 수 있는 ‘믿음, 이해, 수행, 실천, 공동체’ 중 실천 영역의 내용과 가장 거리가 것은?

① 봉사활동                        ② 계율준수

③ 입교의식                        ④ 일상생활과 종교의 일치도

 

31. 온 세상의 일체 존재는 연기적 존재로서 한 몸이라는 사실을 아는 깨달음에 이어, 그에 합당한 실천을 가리키는 가장 위대한 자비를 무엇이라 하는가?(4자로 쓰시오)(3점)

동체대비(同體大悲)

 

32. 인도여행기인 대당서역기를 저술하였으며, 17년에 걸친 구법여행 끝에 인도로부터 범어경전 657부를 가지고 들어와 당 태종(太宗)의 후원을 받아 무려 75부 1,335권의 경전을 번역 편찬한 중국 당나라 시대 스님은?(3점)    현장(玄奘)스님 혹은 삼장법사 현장

33. 아미타불이 법장보살(法藏菩薩:법장비구)이라 불릴 때, 모든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세자재왕불(世自在王佛)의 처소에서 48서원을 수행으로 성취함으로써 아미타불이 되어 서방에 정토를 마련하였으며, 중생은 누구나 ‘나무아미타불’이라는 6자 명호를 진심으로 열심히 부르면 구제된다고 기록된 경전은?(3점)     무량수경

34.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담겨 있는 부처님의 두 가지 이름을 여래십호(여래, 응공, 정변지, 명행족, 선서, 세간해, 무상사, 조어장부, 천인사, 불세존) 중에서 차례로 쓰시오.(3점)

무상사, 정변지

 

35. 천태교학에서 미혹과 깨달음의 정신적 경지를 분류한 것을 십법계(十法界)라고 하는데, 윤회의 세계인 6도(六道), 즉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하늘, 그리고 불(佛 ) 이 외에 세 개를 쓰시오.(3점)    성문, 연각, 보살

36. 불멸 후 인도에서 불교가 가장 성행하고 불교문화가 발달했던 시기의 왕으로, 불교를 인도 전역으로 급속하게 확산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아직도 한자 문화권에서 아육왕(阿育王)으로 불리면서 많은 불교도들에 의해 불교적 전륜성왕의 이상적 군주로 추앙받고 있는 왕은?(3점) 아쇼카왕

37. 중국에 유학하여 마조의 제자인 서당 지장(735~814년)의 문하에서 수학 한 후 법맥을 전수받고 신라에 귀국하여 남종선을 처음으로 전한 스님은?(3점)    도의, 도의선사, 도의국사

 

38. 사찰의 삼성각에 진영을 모셔 둔 곳이 있을 정도로 이름난, 고려 말 선풍을 떨친 대선사인 한국불교계의 삼화상(三和尙)은 누구인가?(3점)   지공, 나옹, 무학

 

39. 부석사 무량수전의 기둥 양식으로 기둥의 중간부가 두툼한 기둥 양식을 무슨 기둥이라 하는가?

배흘림기둥

 

40. 다음 ( )에 들어갈 말을 차례로 쓰시오.(3점)

일반적으로 선원에서의 정진형태는 보통 세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일상적으로 행하는 하루 8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가부좌를 틀고 참선하는 일반정진 이외에 정진에 더욱 박차를 가하여 가일층 노력한다는 의미로 12시간 내지 14시간 정진하는 ( ㉠ )정진과, 주야간 24시간 잠을 자지않고 정진하는 것으로 보통 18시간 이상 참선을 하는( ㉡ )정진이 있다.

이러한 정진 외에도 3개월 동안, 내지는 그 이상의 기간을 정해 놓고 눕지 않고 좌선에 드는 장좌불와(長坐不臥)가 있으며 혼자만이 기거할 수 있는 독방에 문을 걸어 잠근 채 일절 문밖을 나가지 않고 홀로 참선 정진하는 ( ㉢ ) 수행도 있다.

㉠ 가행정진, ㉡ 용맹정진, ㉢ 무문관

41. 신라시대 원광법사는 청도의 운문산 가서사에 머물 때에 가르침을 구하러 찾아온 귀산과 취항 등의 청년들에게 보살계 대신 속세의 사람들이 지켜야 할 계율로서 세속5계를 제시했는데, 4자성어로 된 다섯 가지의 계를 열거하고 그 뜻을 각각 쓰시오.(5점)

① 사군이충(事君以忠:충성으로서 임금을 섬긴다)

② 사친이효(事親以孝:효도로써 어버이를 섬긴다)

③ 교우이신(交友以信:믿음으로서 벗을 사귄다)

④ 임전무퇴(臨戰無退:싸움에 임해서는 물러남이 없다)

⑤ 살생유택(殺生有擇:산 것을 죽임에는 가림이 있다)

 

42. 연기법과 함께 불교의 최대 핵심 교설인 무아(無我)의 실천적 의미를 150자 내외로 쓰시오.(5점)

(모든 것은 인과 연을 따라 모이고 흩어지므로 아트만처럼 나라고 할 만한 고정불변의 실체가 없음을 깨달아 아집에 사로잡힌 자기중심적 사고와 이기심에서 벗어나 네가 곧 나의 존재근거임을 깨닫는다. 그리고 너와 나는 동일운명체로서의 자타불이임을 깨달아 행복과 불행을 온 세상의 모든 존재와 함께 나누는 동체대비의 생활을 실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