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12장 포교방법론

5. 경전상의 포교 방법

moksha 2017. 8. 12. 22:44

5. 경전상의 포교 방법

 

 (1) 대기설법(對機說法):응병여약(應病與藥)

    

①교화 받을 대상의 능력과 소질, 그리고 수준과 관심 사항 등을 고려하고 거기에 부합한 소재를 선택하

   여 설법하는 설법 방식이다.

②근기(根機)를 보아 교화, 설법하므로 자연스러운 설법으로 순발력이 있고 시간의 절약 효과도 있다.

③수기설법(隨機說法) 또는 방편설법(方便說法)이라고도 한다.

 

  (2) 대기설법(對機說法)의 구체적 형식 (구분)

 

인연법

불변의 진리(인과법)를 적용하여 설법

비유법

사례나 우화 등을 들어 설법

수기법

미래세에 성불할 것을 예언하는 설법

우회법

직접적 대답을 회피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의 설법

반어법

역설적으로 질문함으로써 도리어 질문자를 교화하는 설법

대비법

정반대되는 상황이나 용어를 견주어 활용함으로써 설법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설법

문답법

질의와 응답을 반복적으로 시도하고, 그 반복적 문답을 통하여 자연히 결론에 도달하는 설법

고조법

똑같은 표현방식에서 그 핵심 문구만을 달리하여 반복함으로써 질문자의 감정과 이성을 함께 고조시키는 설법

위의법

몸과 입, 그리고 마음가짐을 단정히 가다듬어 위의를 갖추고 하는 설법

 

1) 비유법(比喩法)의 형식

 

순유(順諭)

사물의 발생 순서에 따라 설하는 비유

역유(逆諭)

말하고자 하는 사항에 거꾸로 된 일로 비유하는 것

현유(現諭)

현재에 있는 것이나 사실을 가지고 비유

비유(比諭)

무슨 일을 가정해서 비유하는 것

선유(先諭)

먼저 비유를 말하고 뒤에 법을 말하여 비유와 법을 합치함

후유(後諭)

먼저 법을 말하고 뒤에 비유를 인용하는 것

선후유(先後諭)

먼저 비유를 인용하고 법을 말하고 나서 다시 후에 비유를 인용하는 것

변유(遍諭)

비유의 모든 내용이 비유될 상황에 그대로 적용되는 것

 

 

2) 법화칠유(法華七喩)

 

화택유

(火宅喩)

ㆍ불타는 집에 비유한 내용

ㆍ세 가지의 수레(삼승(三乘), 즉 성문․독성․보살)

궁자유

(窮子喩)

ㆍ가출한 아들을 비유한 내용

ㆍ아들은 이승의 사람이며, 재산은 대승임을 비유

약초유

(藥草喩)

ㆍ같은 수분을 취하면서도 약초가 크고 작은 것이 있으며, 나 무도 작은 것 큰 것이 있다는 내용

ㆍ각자의 노력에 달려 있음을 비유

화성유

(化城喩)

ㆍ어떤 지도자가 사람들을 이끌고 길을 가다 힘든 길을 지나 가게 되자 환상의 성(城)을 만들어 고달픔을 잊게 한 뒤 진 짜 목적지에 도달한다는 내용

의주유

(衣珠喩)

ㆍ친한 친구가 취했을 때 옷 속에 귀한 보물을 넣었으나 친구 는 그것을 깨닫지 못하고 계속 가난하게 산다는 내용

계주유

(髻珠喩)

ㆍ전륜성왕의 상투 속에 있는 보석은 누구에게도 주어지지 않 는다는 이야기로 곧 세상 사람이 다 믿지 않음을 비유

의자유

(醫子喩)

ㆍ독이 든 음식을 먹고 괴로워하는 아이에게 약을 마시게 하 는 방편을 비유

ㆍ자신이 죽었다고 알리게 하여 아이가 마음을 바로잡아 약을 마시고 되살아나게 한다는 내용

 

3) 문답법의 형식

 

일향기

(一向記)

상대방의 질문이 적절할 때 그대로 수긍 및 긍정

분별기

(分別記)

질문이 이치에 맞는지 분별하고 그에 알맞게 대함

반힐기

(反詰記)

질문을 받고 곧 바로 대답하지 않고 반문하여 잘못을 깨달게 함

사치기

(捨置記)

질문이 이치에 맞는지 분별하고 이치에 합당하지 않거나 쓸모 없을 때 침묵

*詰(물을 힐) *捨(버릴 사)

 

  (3) 차제설법(次第說法)

①사다리나 계단을 오르듯이 낮은 단계에서 높은 단계로 점차적으로 수준을 높여 이어가는 설법 방식이다.

②과정적 설법이라고도 한다.

③화의사교(化儀四敎)의 점교(漸敎)에 해당한다. *漸(점점, 차차 점)

   

…… 목건련아, 만일 비구가 욕심을 떠나고, 악하고 착하지 않은 법을 떠나 제사선(第四禪)을 성취하여 노닐게 되면, 목건련아, 여래는 모든 젊은 비구들을 위하여 많은 이익을 준 것이니, 곧 가르치고 훈계한 것이다. 목건련아, 만일 비구로서 장로․상존이 오랫동안 법행을 닦았으면, 여래는 더 나아가 가르친다. 곧 구경하여 마치면 일체의 번뇌가 다한다.고 하리라. <중아함경> 산수목건련경

 


시론(施論) 계론(戒論)생천론(生天論) → 제욕(諸欲)의 과환(過患) → 출리(出離)의 공덕 → 사제(四諦)를 순서에 따라 설하셨던 것을 말한다.

 

과환(過患)

과환이란 과구(過咎)와 재환(災患)을 줄여서 하는 말이다.

 

출리(出離)

생사(生死)・윤회(輪廻)에서 벗어나는 것을 말하는데 도(道)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출리심(出離心) 즉 삼계(三界)를 벗어나서 열반을 희구하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

 

(4) 비판적 설법

무한한 대자비심을 바탕으로 현실에 대한 통렬한 비판을 통해 궁극적 해답을 찾아내도록 하는 설법 방식이다.

 

(5) 상호설법(相互說法)

위의교화(威儀敎化)이라고도 하며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우러나오는 인격, 심덕(心德)으로 상대방에게 감화를 주고 마음을 깨우치게 하는 방법을 말한다.

 

(6) 천태의 삼종지관과 삼주설

천태 지의는 중생의 근기에 입각한 부처님의 교화 방법을 화의사교(化儀四敎)로써 정의하였다.

 

1) 삼종지관(三種止觀)

중생의 근기 차별에 상응한 대기설법을 전제하는 것으로 ‘세 가지 근성을 위한 세 가지 법문’으로 설명하고 있다.

      

2) 삼주설(三周說)

일승묘법을 이해하는 정도에 따라 상ㆍ중ㆍ하의 세 가지로 배열하였다.

 

삼종지관 실천수행법

삼종교상

중생의 근기 차별

원돈지관

원(돈)교

상근기

부정지관

부정교(비밀교)

중근기

점차지관

점교

하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