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일원상(一圓相)
① 기원 : 중국의 남양 혜충국사(?~775)가 최초로 그렸다고 전해진다.
② 의미
❶일심(一心)의 원융무애(圓融無碍), 원만 평등함과 무시무종(無始無終)이라는 불교적 시간의 영원
성을 내포
❷부모미생전(父母未生前) 본래면목(本來面目)
❸이름과 모양을 초월한 진여와 깨달음의 세계
❹언어도단(言語道斷) 심행처멸(心行處滅)의 공의 세계
❺마음의 근본자리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❻우주의 절대진리를 상징한다.
❼선화(禪畵)의 가장 보편적인 소재로 쓰인다.
⇒ 곽암선사는 심우도의 여덟 번째 그림인 ‘인우구망’을 이 일원상으로 표현하고 있다.
(5) 원이삼점(圓伊三點) = 원이삼보(圓而三寶) = 삼보륜(三寶輪)
①구성과 의미
동그란 큰 원 | 안에 위치한 세 점 |
♣우주법계(法界) ♣원융(圓融) | ♣불・법・승(佛・法・僧) 삼보(三寶) ♣삼법인(三法印)을 상징 ♣법신(法身)・보신(報身)・화신(化身)의 삼신불의 삼위일체(三位一體)를 상징 ♣마혜수라(摩醯首羅:Makeśura) 곧 대자재천왕(大自在天王)의 눈 모양을 본뜬 것이라고 하여 자재를 의미 ♣열반 3덕인 법신・해탈・반야가 서로 상즉불리(相卽不離)의 관계에 있는 것을 상징 |
☞ 원융(圓融)
원융(圓融)이란 걸리고 편벽(偏僻)됨이 없이 모든 것에 가득하고 만족하며, 완전히 일체가 되어서 서로 융합(融合)하므로 방해(妨害)됨이 없는 것을 뜻하고 사물본성의 평등상에 있어서의 무차별 절대를 의미한다.
② 그려지는 위치
보통 사찰의 대웅전이나 각종 전각의 지붕 합각벽(合閣壁)
<원이삼점 문양> <대한불교조계종 문장(紋章)>
☞ 대한불교조계종 문장(紋章)
문장의 삼보륜(三寶輪)이 상징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선정(禪定)과 법륜(法輪)을 상징하는 일원상 안에 불・법・승(佛・法・僧) 삼보(三寶)와 계・정・혜(戒・定・慧) 삼학(三學)을 상징하는 3개의 점이 찍혀 있는 형상이라고 설명한다.
☞ 합각벽(合閣壁)
박공(牔栱) 머리의 세모꼴로 된 벽을 말한다.
<불국사 대웅전의 합각벽 (卍문양과 원이삼점 문양)>
☞ 박공(牔栱)
뱃집(=맞배지붕집) 양편에 팔(八)자 모양으로 붙인 두꺼운 널을 말하는데, 이 중 박공지붕은 지붕면이 양쪽 방향으로 경사진 지붕을 말하며, 박공벽은 박공지붕의 측면에 생기는 삼각형 벽인 합각벽을 말한다.
(6) 연꽃
①상징성
❶부처님의 탄생과 불교의 이상을 함축적으로 나타내 주는 꽃
❷비록 더러운 진흙탕에 뿌리를 내리지만 그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처염상정(處染常淨)의 꽃으로 보리
심・무구청정한 불성을 상징한다.
❸아름다운 꽃과 열매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는 모든 중생이 태어남과 동시에 불성을 갖추고 있음을
상징하며 인과의 도리에 계합하고 있다.
❹고통이 가득 찬 세속에서 수행하여 해탈을 추구하는 대승불교의 보살(菩薩)정신을 상징한다.
❺연은 색에 따라 백련・청련・홍련・황련으로 나누는데 <화엄경>에서는 이를 각각 분다리화・우발라화・
파두마화・구불두화라 부른다. 분다리화는 부처님을 뜻하고 우발라화는 부처님의 눈, 파두마화는 부
처님의 손과 발을 나타내기도 한다.
②사용
앙련(仰蓮), 복련(覆蓮)으로 석등을 장식하거나 연화대・연등 등 각종 장엄물로 사용되고 있다.
(7) 보리수(菩提樹)
①상징
❶불교의 생명선인 깨달음(=성도)을 상징
❷자각각타(自覺覺他), 각행원만(覺行圓滿)을 나타냄.
②유래
❶본래는 핍팔라수인데,
❷부처님이 그 아래에서 성도하였으므로 보리수(菩提樹), 즉 깨달음의 나무로 자리잡음.
❸부처님이 깨달음을 얻은 인도 붓다가야는 성지중의 성지로 여기고 있는 금강좌(金剛座)와 보리수는
항상 예배하는 순례자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음.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 > 제9장 불교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절에서 쓰는 법구(法具) (1) 범종(梵鐘) (0) | 2019.09.29 |
---|---|
10. 불교 상징물 (1) 불교기 (2) 卍 (3) 법륜(法輪) (0) | 2017.07.08 |
(5) 목탁(木鐸) (6) 죽비(竹篦) (7) 요령(搖鈴) (8) 염주(念珠) (0) | 2017.07.08 |
(2) 법고(法鼓) (3) 운판(雲板) (4) 목어(木魚) (0) | 2017.07.08 |
⑨ 한・중・일 종의 특징 : 한・중・일 삼국의 종의 모양 비교 (0) | 2017.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