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포교사고시 공부방/포교사고시 기출문제

15회 포교사고시 기출문제

moksha 2014. 8. 13. 14:12

제15회 포교사 자격고시

 

[제1교시]

1. 다음은 종교(宗敎)의 일반적 정의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는 것은?

① 종교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교주와 교리, 그리고 교도가 있어야 한다.

② 종교란 한자 뜻 그대로 최고의 가르침, 인생과 세상에 대한 궁극적인 가르침이다

③ 종교는 인간의 삶 그 자체를 문제 삼으며 그것을 몸소 해결하여 평화롭고 행복하게 살고자 하는 가르침이다.

④ 모든 종교에서 인간은 신의 피조물이므로 절대적인 복종과 절대자의 품 안에서만 인간의 가치를 구현할 수 있다.

 

2. 다음 중 올바른 법당예절에 해당하는 것은?

① 좌복은 신속하게 한 손으로 던져 놓고 나중에 정렬한다.

② 법당에 맨 처음 들어온 사람은 어간에 좌복을 놓고 조용히 앉는다.

촛불을 끌 때에는 입으로 불어 끄지 않고 촛불 끄는 도구를 사용해서 끈다.

④ 다른 사람이 올린 향과 초는 빼고 지극한 마음으로 자신이 준비한 것으로 교체한다.

 

3. 다음은 재가불자끼리의 호칭이다. 옳은 것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 법우님

② ○○ 거사님, ○○ 보살님

③ 법명이 있을 경우에는 이름 앞에 법명을 붙여 부른다.

친근한 사이일 경우에는 ○○ 형님, ○○ 선배님 등으로 부른다.

 

4. 석가모니 부처님의 제자 중 아라한과를 성취한 성인, 즉 나한을 모신 곳을 나한전이라 한다. 다음 중 나한전의 다른 이름으로서 진리와 완전히 합치한 분들을 모셨다는 의미에 서 부르는 명칭은 무엇인가?

① 응진전          ② 관음전         ③ 원통전          ④ 자비전

 

5. 법당 안에 제석천이나 사천왕, 대범천 등의 천상의 성중과 천, 용, 야차, 건달바, 아수라, 긴나라, 가루라, 마후라가 등 팔부신장을 모신 단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신중단          ② 영단            ③ 상단            ④ 하단

 

6. 다음 중 탁발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것은?

① 다른 이에게 복을 지을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다.

② 자기 자신을 낮추어 해탈을 향해 정진하기 위해서였다.

③ 부처님도 탁발을 하여 사시(巳時)에 하루 한 끼 공양을 하셨다.

④ 현재 대한불교조계종에서는 수행법의 일환으로 탁발을 장려하고 있다.

 

7. “불교를 믿기로 결심한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어떤 일을 하기로 마음먹었던 것을 잃지 않고 정진해 나가는 일이다. 올바른 믿음을 가지고 하루하루 나태하지 말고 바르게 신행해야 한다. 이것이 ( )의 참다운 모습이다.”

다음 중 ( )안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불심(佛心)       ② 하심(下心)       ③ 발심(發心)      ④ 신심(信心)

 

8. 다음은 부처님의 생애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부처님은 카필라국의 정반왕과 마야 부인 사이에서 왕자로 태어났으며, 이름은 고타마싯달타이다.

② 부왕인 정반왕이 왕자의 결혼을 서두르자 이를 알게 된 왕자는 결혼을 하기 전에 서둘러 출가를 단행하였다.

③ 출가 직후 처음 수행할 때에는 기존의 출가 수행자들의 방식을 따라 인도 전통의 요가수행과 고행을 치열하게 수행하였다.

④ 출가 수행한지 6년, 35세 되던 해 음력 12월 8일 새벽에 깨달음을 이루시어 사실상 불교가 시작되었다.

 

9. 싯달타 왕자의 청년시절, 사문유관(四門遊觀)의 내용 중 북문에서 만난 사람은 누구인가?

① 병자             ② 노인              ③ 수행자            ④ 죽은 자

 

10. 우리나라에서는 부처님의 열반하신 날을 음력 며칠로 정하고 있는가?

① 2월 8일          ② 2월 15일          4월 8일           ④ 7월 15일

 

11. 다음은 부처님의 10대 제자와 그 특징을 연결한 것이다. 틀린 것은?

① 우팔리 - 지계제일                     ② 부루나 - 설법제일

③ 목건련 - 신통제일                     ④ 라훌라 - 천안제일

 

12. 다음 중 부처님 당시에 정립되었던 승가(僧伽)의 정신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승가의 최고 덕목은 화합이었다.

승가의 의견 수렴 방식은 최고 연장자의 결정에 순종하는 것이다.

③ 승가에는 엄격한 계율이 적용되나 부처님은 상황에 따라 매우 탄력적으로 대응하셨다.

④ 승가구성원들의 자율성과 자발성을 중요하게 여겨 열반에 드실 때에도 후계자를 두지 않았다.

 

13. 부처님은 성도 이후 45년간 교화행적을 남기셨는데, 부처님의 일생은 순탄치만은 않아서 슬픈 일도 많이 있었다. 다음 중 말년에 부처님이 겪으신 슬픈 일과 거리가 것은?

① 부처님의 고향인 카필라국이 코살라국의 유리왕에 의해서 멸망되었던 일

② 부처님의 소중한 제자 사리불과 목련존자가 부처님보다 먼저 세상을 떠난 일

③ 부처님의 사촌 동생인 데바닷다가 교단을 분열시키고 부처님을 해치려 한 일

부처님의 시자 아난다가 여인의 유혹을 견디지 못하고 파계하여 교단의 위상을 실추시킨 일

 

14. 불교 교단에는 불자들이 지켜야할 계율이 있다. 다음 중 계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① 계(戒)와 율(律)은 불교도의 생활윤리, 또는 삶과 수행의 규범으로 승가를 구성하는 사부대중이 준수해야 할 삶의 방식과 규율이다.

계와 율은 엄밀하게 말하면 그 뜻이 다르다. 계는 승가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타율적인 행위규범이며, 율은 불교 수행자가 자발적으로 지켜야 하는 길잡이 이다.

③ 불교 교단에서 계율을 지키는 일을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행사가 자자(自恣)와 포살(布薩)이다.

④ 불교의 계율은 살생을 금하는 것이 근본이지만 더 큰 살생을 막기 위하여 계율을 열기도 하고 닫기도 할 수 있는데, 이를 지범개차(持犯開遮) 또는 개차법(開遮法)이라 한다.

 

15. 오정심관(五停心觀) 중 들숨과 날숨을 관찰하는 수행법으로서 집중력이 필요한 학생이나 마음이 산란한 사람에게 알맞은 관법은?

① 수식관             ② 자비관            ③ 인연관            ④ 부정관

 

16. 재가자들도 화두를 들고 일상생활을 활기 있게 해나갈 수 있다. 간화선 수행을 하는 방법과 거리가 것은?

① 가장 안정적인 결가부좌나 반가부좌를 하는 것이 좋다.

반드시 부처님이 모셔진 법당이나 선방에서만 해야 한다.

③ 매일 일정한 시간에 화두를 들고 정진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④ 방선(放禪) 또는 경행(經行)을 할 때에도 화두를 잊고 잡생각을 해서는 안 된다.

 

17. 물이나 육지에 있는 외로운 귀신이나 배고파 굶주리는 아귀에 공양하는 법회로 중국 양무제가 당시 지공선사에게 부탁하여 행한 것이 시초가 된 것은?

① 사십구재          ② 예수재           ③ 영산재             ④ 수륙재

 

18. 다음은 대한불교조계종에 대한 설명이다. 바르지 못한 것은?

① 조계종(曹溪宗)이라는 명칭은 혜능 선사가 주석하던 중국 소주(韶州) 조계산(曹溪山)에서 비롯된 것이다.

② 1940년 31본산 주지회의에서 정해진 ‘조선불교조계종’이 1954년 정화운동을 통하여 정비되고, 1962년 통합종단 ‘대한불교조계종’으로 출범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한불교조계종은 중국선불교와는 전혀 새롭게 인도불교의 전통을 직접 받아들여 승보사찰 조계산 송광사에서 출범한 한국의 독창적 불교종단이다.

④ 대한불교조계종은 도의국사(道義國師)를 종조로 모시고, 보조지눌 국사를 중천조(中闡祖)로, 태고보우 국사를 중흥조(中興祖)로 받들고 있다.

 

19. 다음은 불교신도가 지녀야 할 근본적인 생활 자세를 설명한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자세라고 할 수 있는 것은?

① 가정에서도 반드시 발우를 이용하여 공양한다.

② 직장에서도 절에서와 같이 하루에 네 번 꼭 기도한다.

③ 특별한 일이 있을 때에만 포교당이나 사찰을 참배한다.

삼보를 굳게 믿고 생활 속에서 자리행과 이타행을 실천한다.

 

20. 다음은 『대지도론』의 육바라밀에 대한 설명이다.( )에 알맞은 말은 무엇인가?

“( )바라밀이 없이는 다섯 가지 바라밀은 바라밀로 불리지 못한다. 마치 전륜성왕이 윤보(輪寶)가 없을 때에는 전륜성왕이라는 이름을 갖지 못하는 것과 같다.”

① 반야             ② 보시           ③ 지계            ④ 인욕

 

21. 초기불전에는 현겁의 부처님이신 석가모니 부처님을 포함하여 과거칠불이 계셨다고 한다. 과거칠불에 해당하지 않는 부처님은?

① 가섭불           ② 유리왕불        ③ 시기불          ④ 구나함모니불

 

22. 인생길에서 세계관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만큼 중요하다. 이러한 세계관이란 불교에서 말하는 바른 견해이자 지혜라고 할 수 있다. 지혜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다음의 글은 누가 어디에서 한 말씀인가?

“지혜가 있는 사람이 행하는 바는 쌀을 쪄서 밥을 짓는 것이며,

지혜가 없는 사람이 행하는 바는 모래를 쪄서 밥을 짓는 것이다.”

(有智人所行, 蒸米作飯, 無智人所行, 蒸沙作飯)

 

① 지눌 - 『계초심학인문』                ② 야운 - 『자경문』

③ 의상 - 『법계도』                      ④ 원효 - 『발심수행장』

 

23. 불교의 진리관을 대표하는 삼법인(三法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상락아정          ② 제법무아       ③ 일체개고         ④ 제행무상

 

24. 『반야경』을 소의경전으로 지어진 용수보살의 『중론』은 공(空)사상을 천명하면서도 다음과 같은 말씀을 하였다. 이 게송에서 말하고 있는 <공이 있다는 견해를 갖는 것>을 전통적으로 무엇이라고 하는가?

“부처님께서는 온갖 사견에서 벗어나게 하시려고 공의 진리를 말씀하셨다. 그러나 만일공이 있다는 견해를 다시 갖는 자가 있다면 어떤 부처님께서도 그런 자를 구제하지 못 하신다.”

① 공역공(空亦空)        ② 견유공(見有空)      ③ 악취공(惡取空)      ④ 진속공(眞俗空)

 

25. 다음 중 유식사상을 담고 있는 문헌이 아닌 것은?

①『해심밀경(解深密經)』       ②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③『불유교경(佛遺敎經)』       ④ 『성유식론(成唯識論)』

 

26. 한국불교의 가장 큰 사상적 바탕이 되고 있는 화엄사상은 법계연기설(法界緣起說)로 유명하다. 법계연기는 우주 만유의 낱낱 법이 자성을 가지고 각자의 영역을 지키며 조화를 이루는 것을 말하는데, 다음 사법계(四法界)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사법계(事法界) : 모든 현상적이고 차별적인 것을 떠난 세계

② 이법계(理法界) : 사법계를 성립시키는 본체적이고 평등한 세계

③ 이사무애법계(理事無碍法界) : 이와 사, 즉 본체와 현상이 둘이 아닌 세계

④ 사사무애법계(事事無碍法界) : 현상계가 그대로 절대적인 진리의 세계

 

27. 불교에서는 중생들이 삼계(三界) 육도(六道)에서 윤회한다고 한다. 삼계는 선정의 단계와도 관계가 깊은데, 다음 중 삼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욕계(欲界)          ② 색계(色界)           ③ 무색계(無色界)         ④ 무상계(無想界)

 

28. 다음 〈보기〉에서 정토종의 핵심경전인 정토삼부경만을 바르게 묶은 것은?

ㄱ. 관무량수경 ㄴ. 금강반야바라밀경 ㄷ. 무량수경

ㄹ. 아미타경 ㅁ. 묘법연화경

① ㄱ, ㄷ, ㄹ         ② ㄴ, ㄷ, ㅁ       ③ ㄱ, ㄹ, ㅁ        ④ ㄴ, ㄷ, ㄹ

 

29. 다음은 밀교의 교리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밀교의 교리를 담고 있는 경전은 『대일경(大日經)』이다.

② 밀교의 교리는 반야사상이나 열반사상과는 정면으로 대치된다.

③ 세간과 출세간을 분리하지 않고 열반과 생사가 하나라는 사상에 입각해 있다.

밀교 수행의 이상적 성취자는 금강살타(金剛薩埵)이며, 달리 집금강(執金剛)으로 불린다.

30. 다음〈보기〉중에서 업(業)에 대한 설명이 바르게 묶여진 것은?

ㄱ. 업은 산스크리트어 까르마(karma)를 번역한 말로 ‘무엇을 짓다’라는 의미다.

ㄴ. 우환이 닥쳤을 때 업보 때문이라고 말하는 것처럼 업은 악업만을 의미한다.

ㄷ. 업에는 반드시 원인이 있고 그에 상응하는 결과가 뒤따르게 된다.

ㄹ. 선행을 하면 선업을 받고, 악행을 하면 악업을 받는 것이 인과응보의 이치다.

ㅁ. 업은 자신의 행위에 대한 것을 말함으로 몸으로 짓는 것만을 업이라고 한다.

① ㄱ, ㄷ, ㄹ         ② ㄱ, ㄴ, ㅁ          ③ ㄴ, ㄷ, ㄹ          ④ ㄷ, ㄹ, ㅁ

 

31. 불교에서는 욕심을 다스리라고 하면서 발원(發願)을 중시한다. 욕심과 발원의 차이를 설명한 것으로 적절치 않는 것은?

① 욕심은 다분히 개인적이고 이기적인 바람이지만 발원은 공통적 바람이다.

② 욕심은 결과를 중시하지만 발원은 과정 그 자체를 중시한다.

욕심은 현재 중심적이지만 발원은 현재를 희생할 수 있다.

④ 욕심은 본능적이지만 발원은 능동적인 것이다.

 

32. 다음 중 윤회설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것은?

①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상의 육도에서 생사를 거듭하는 것을 말한다.

② 육도윤회는 인간의 업에 따라 결정됨으로 윤회의 원동력은 인간의 업이다.

선행을 행하여 천상(天上)에 태어나면 육도윤회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④ 현생에 우리가 짓는 업에 따라 내생의 세계가 결정된다.

 

33. 다음은 보시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가난한 사람들에게 물질적인 것을 베푸는 것을 재시(財施)라고 한다.

② 부처님의 법을 베풀어 진리를 알게 하는 것을 법시(法施)라고 한다.

③ 공포에 빠진 중생들에게 두려운 마음을 없애주는 것을 무외시(無畏施)라고 한다.

④ 수행법을 베풀어서 마음속의 번뇌를 잠재우는 것을 열반시(涅槃施)라고 한다.

 

34. 대한불교조계종 〈신도법〉에서 종단 신도로 인정받기 위해 반드시 취득하여야 할 신분증은 무엇인가?

① 사찰 신도증         ② 조계종 신도증         ③ 포교사증            ④ 수계증

 

35. 〈신도법〉에 명시된 신도수계에 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

신도는 그 성별에 따라 남성은 우바이, 여성은 우바새로 칭한다.

② 본종의 신도가 되고자 하는 자는 삼귀의계와 5계를 수지하여야 한다.

③ 본종의 신도는 삼귀의계, 5계를 수지한 후 보살계를 수지할 수 있다.

④ 5계는 사찰이나 단체별로 덕망 있는 본종 승려를 계사로 수계식을 한다.

 

36. 대한불교조계종에서는 신도전문교육기관 졸업자와 이에 준하는 신도들을 대상으로 일반포교사를 선발하고 있는데, 일반포교사들을 체계적으로 활동케 하기 위해 운영되는 포교원 설립 포교기구는 무엇인가?

① 포교팀            ② 포교사단          ③ 파라미타            ④ 국제포교사회

 

37. 다음 빈칸에 각각 알맞은 말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사의 사명은 ( ㉠ )을(를) 호지하고 정법을 홍포하며 ( ㉡ ) 실천으로 불국토를 건설함에 헌신한다.

① ㉠-승가 ㉡-이타행                      ② ㉠-삼보 ㉡-보살도

③ ㉠-불법 ㉡-육바라밀                    ④ ㉠-승가 ㉡-보살도

 

38. 대한불교조계종 종단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본종은 승려(비구, 비구니)와 신도(우바새, 우바이)로서 구성한다.

② 본종의 승려는 구족계와 보살계를 수지하고 수도 또는 교화에 전력하는 출가 독신자라야 한다.

③ 본종의 신도는 삼귀의계, 재가5계 및 보살계를 수지하고 삼보를 호지하며 본종의 종지를 신수 봉행하는 자라야 한다.

④ 본종의 승려는 상근 종무직을 절대로 겸직할 수 없다.

 

39. 대한불교조계종 〈종헌〉에 거론된 사찰에 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본종은 사찰 및 포교소를 창설 할 수 있다.

② 국외에 홍법원을 두고 그 관하에 사찰 및 포교소를 설치할 수 있다.

사찰의 경내는 법당을 기점(基点)으로 한 반경 500미터를 이내로 설정한다.

④ 사설사암의 창건주가 그 사찰(재산)을 종단에 등록 했을 때는 그 창건주의 재산관리권을 보장하며, 그 사암주지직의 사자상승(師資相承)함을 인정한다.

 

40.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장의 임기는?

임기는 4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② 임기는 4년으로 하며, 중임할 수 없다.

③ 임기는 5년으로 하며, 2차에 한하여 중임할 수 있다.

임기는 5년으로 하며, 1차에 한하여 중임할 수 있다.

 

41. 빔비사라왕이 부처님께 기증한 세계 최초의 사찰과 부처님께서 가장 오래 머무신 사찰 의 이름을 각각 쓰시오.[각2점]

(㉮ 세계 최초의 사찰 : 죽림정사 ) (㉯ 가장 오래 머무신 사찰 : 기원정사 )

 

42. 다음은 불자들의 기도 의식의 기본이 되는 『천수경(千手經)』 중에 ‘십악참회’ 부분이다. ( )의 빈 곳을 차례대로 쓰시오.[각1점]

십악참회

살생중죄금일참회   (㉮)중죄금일참회

사음중죄금일참회   (㉯)중죄금일참회

기어중죄금일참회   양설중죄금일참회

(㉰)중죄금일참회   탐애중죄금일참회

진에중죄금일참회   (㉱)중죄금일참회

(㉮ 투도 ), (㉯ 망어 ), (㉰ 악구 ), (㉱ 치암 )

 

43. 다음은 참회의 정신을 잘 표현한 조선시대 청허 휴정(休靜, 1520~1604)스님의 글이다. 이 글이 실린 이 책은 오늘날 불교수행의 개론서라 불리는데, 이 책의 이름은 무엇인가?[4점]

“허물이 있으면 참회하고 잘못된 일이 있으면 부끄러워할 줄 아는 데에 대장부의 기상이 있다. 그리고 허물을 고처 새롭게 되면 그 죄업도 마음 따라 없어질 것이다. 즉, 참회란 먼저 지은 허물을 뉘우치고, 다시는 짓지 않겠다고 맹세하는 일이다.”

( 선가귀감 )

 

44. 미혹의 세계와 깨달음의 세계의 인과(因果)를 설명하는 불교의 기본적인 교리 조직으로 네 가지의 성스러운 진리라 불리는 사성제(四聖諦)를 쓰시오.[각1점]

( 고성제, 진성, 멸성제, 도성제 )

 

45. 다음은 대한불교조계종의 〈종헌〉이다.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를 차례대로 쓰시오.[각2점]

제3조 : 본종의 소의경전은 (㉮ )과(와) (㉯ )로(으로) 한다. 기타 경전의 연구와 염불 주력 등은 제한치 아니한다.

(㉮ 금강경 ), (㉯ 전등법어 )

 

[제2교시]

1. 불상이 조성되기 이전인 기원전 6세기에서 기원전 1세기 전후까지를 무불상시대라고 한다. 이 시대의 예배의 대상 중, 부처님을 상징하는 표현들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① 탄생 - 보리수                        ② 성도 - 탑

③ 초전법륜 - 수레바퀴                  ④ 반열반 - 연꽃

 

2. 석가모니 부처님께서는 마왕 파순의 항복을 받기위하여 이미 “자신이 깨달았음을 증명해보이라”고 말하면서 손가락으로 가리킨 신(神)은 누구인가?

① 수신(水神)            ② 지신(地神)        ③ 목신(木神)          ④ 천신(天神)

 

3. 다음 중 석가모니 부처님이 짓는 수인(手印)과 거리가 것은?

① 천지인(天地印)   ② 전법륜인(轉法輪印)   ③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④ 지권인(智拳印)

 

4. 사찰의 불전에 봉안된 존상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대웅전 - 아미타불          ② 대적광전 - 약사불

③ 명부전 - 미륵보살          ④ 원통전 - 관음보살

 

5. 팔부신중의 하나로서 제석천의 음악을 관장하는 신이다. 수미산 남강굴에 사는 이 신은 언제나 향만을 먹고 허공을 날아다니며 노래를 즐기며 산다고 한다. 음악신이라고도 불리는 이 신의 이름은?

① 가루다             ② 건달바          ③ 나가           ④ 아수라

 

6. 다음은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불교 유적과 그 유적이 있는 나라를 연결한 것이다. 다음 중 연결이 틀린 것은?

① 인도 - 돈황석굴                       ② 인도네시아 - 보르부드르사원

③ 중국 - 용문석굴                       ④ 캄보디아 - 앙코르와트

 

7. 다음은 고려시대의 불화이다. 이 그림의 명칭으로 올바른 것은?

① 수월관음도                           ② 삼신불회도

③ 극락회상도                           ④ 십일면관음도

 

 

8. 다음은 우리나라 탑비(塔碑)의 문화사적 특징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것은?

① 역사적 사실의 기록으로 역사 및 불교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② 제작연대가 확실함으로 당시의 시대적 예술역량을 가늠하는 척도가 된다.

③ 우리나라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예술품으로 우리나라 독창성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스님의 사리가 봉안되어 있어 성스러운 곳으로 신앙되고 있다.

 

9.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은 고려시대 건축물로 오래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아름다움으로 찬사를 받고 있다. 무량수전 기둥의 형태는?

① 민흘림 기둥         ② 배흘림 기둥        ③ 원통형 기둥       ④ 사각형 기둥

 

10. 현재 프랑스 파리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옛날 책으로서 고려시대에 금속활자로 펴낸 책이름은 무엇인가?

① 자비도량참법                              ②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③ 남명천화상송증도가                        ④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11. 우리나라는 국토의 대부분이 산악으로 이루어져 산신 신앙이 발달 하였다. 산신각에 모셔진 산신은 심산유곡을 배경으로 백발노인의 모습으로 등장하는데 항상 이 동물과 함께 있다. 이 동물의 이름은?

① 사슴                 ② 학                ③ 호랑이             ④ 용

 

12. 우리나라 범종(梵鐘)의 모습은 다른 나라와는 달리 코리안 벨(KOREAN BELL)이라는 학명(學名)을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 범종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범종 표면에 사방 가사무늬가 있다.

② 용뉴에는 한 마리 용이 음통을 등에 짊어지고 있다.

③ 범종의 표면에 돌출된 연꽃 봉오리는 36개로 구성되어 있다.

④ 주악 비천상 또는 공양자상이 아름답게 표현되어 있다.

 

13. 다음은 우리나라 산지가람에 대한 설명이다. 설명이 틀린 것은?

① 산중에 터를 잡은 사찰로 가람의 질서를 존중하되, 산세의 기운을 거스르지 않으면서 그 안에 부속건물을 조성한다.

② 우리나라에는 산중의 이름난 가람을 이룬 사찰이 많으며, 그 중에서도 경주 황룡사지, 익산 미륵사지 등이 대표적인 산지가람이다.

③ 여러 단의 축대를 쌓아 높낮이가 서로 다르고, 일직선상에 일률적으로 건물을 배치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배치하는 경우가 많다.

④ 절 입구로부터 일주문, 천왕문, 문루 등을 거칠 때마다 새롭게 절 안의 광경이 자연스럽게 전개된다.

 

14. 현대적 포교방법을 논의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조건과 가장 거리가 것은?

① 다종교사회와 세계화

② 산업화와 과학기술의 발달

③ 특수계층과 특수 분야의 사회통합

④ 세대별 경험 차이와 종교욕구의 변화

 

15. 인간이 불성을 지닌 이상 남녀의 차별이 있을 수 없다는 강한 신념에서, 여성의 출가를 부처님께 세 번씩이나 천거해서 허락을 받아낸 부처님의 제자는?

① 가섭             ② 아난            ③ 부루나             ④ 가전연

 

16. 한국불교 포교전통의 특색을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교학연구를 중심으로 하는 종파불교(宗派佛敎)이다.

② 화해와 융합을 강조한 회통불교(會通佛敎)이다.

③ 교(敎)를 중심으로 선(禪)을 통합한 통불교(通佛敎)이다.

④ 초기불교의 수행법인 위빠사나를 계승하고 있다.

 

17. 신라시대 원광스님의 업적과 거리가 것은?

① 진평왕의 명을 받고 걸사표(乞師表)를 지어 나라의 안녕을 기원했다.

② 점찰보(占察寶)를 개설하여 계율을 지키고 참회생활을 하도록 하였다.

③ 화랑도의 실천덕목인 세속오계를 제정하여 신라의 삼국통일에 기여했다.

「백화도량발원문」,「화엄일승법계도」를 지어 불교를 알리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18. 다음 중 대한불교조계종 종단의 주요 집행기관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① 호계원           ② 총무원           ③ 교육원           ④ 포교원

 

19. 다음은 포교의 핵심적 주체인 재가불자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재가불자, 또는 불자(佛子)란 일반적으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믿고 따르며, 교단에 귀의하고, 불교도로서의 정체성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② 종도(宗徒)란 특정 종단에 귀속되어 신행활동을 하고, 그 종단에 소속감을 느끼며 정체성을 갖고 있는 불자를 말한다.

③ 신도(信徒)란 특정 사찰에 귀속하여 재적사찰로 삼고 신행활동을 하는 종도를 말한다.

④ 법사(法師)는 삼귀의계와 오계를 수지하고 삼보를 호지하며, 재가불자 중에서 포교사고시에 합격한 자를 말한다.

 

20. 포교대상자의 근기에 적합하게 법을 전 하듯이, 십바라밀 가운데에서 보살이 여러 형상을 나타내어 중생을 제도하는 일을 뜻하는 말은?

① 방편(方便)바라밀      ② 원(願)바라밀       ③ 역(力)바라밀        ④ 지(智)바라밀

 

21. 일승사상(一乘思想)의 가르침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중생들을 위해 불타는 집의 비유, 방탕한 자식의 비유, 초목의 비유, 주정뱅이의 비유 등 여러 가지 비유를 들어 설법하신 경전의 이름은?

① 금강경            ② 화엄경              ③ 법화경             ④ 열반경

 

22. 다음은 일반적으로 절에서 진행되는 법회의식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① 법회의식은 크게 법문의식과 헌공기도 및 천도의식으로 이루어진다.

② 일반적으로 예경ㆍ찬탄ㆍ기도ㆍ발원의 요소를 공통으로 갖추고 있다.

③ 법회의식은 불교 신행 형태의 순차적 발전과정을 잘 표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법회의식은 지나치게 선종적인 측면만을 중시하고 있다.

 

23. 부처님께서 초전법륜에서 다섯 비구를 교화시키는 것처럼, 단정한 몸가짐과 마음가짐으로 청중을 교화시키는 방법을 이르는 설법의 유형은?

① 우회법(迂廻法)          ② 위의법(威儀法)        ③ 고조법(高調法)        ④ 전의법(轉意法)

 

24. 포교의 대상을 연령별, 직장 직능별, 특수계층으로 분류할 때, 다음 중 특수 계층포교의 대상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① 어린이, 청소년 포교                             ② 군장병, 경찰 포교

③ 탈북자, 외국인 포교                             ④ 재소자, 환후 포교

 

25. 다음의 신도교육의 필요성을 설명한 것이다. 가장 거리가 것은?

① 종도로서의 정체성과 신념을 갖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다.

② 신도들이 보살행을 실천하도록 이끌어주기 위해 필요하다.

종단이 요구하는 전문 출가 수행자를 양성하기 위해 필요하다.

④ 신도로서 기본교리를 이해하고 지적수준을 높이기 위해 필요하다.

 

26. 다음은 포교 프로그램의 일반적인 개발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① 포교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계획, 설계, 실행, 평가의 네 단계를 거쳐 개발된다.

② 계획단계에서부터 실행 계획과 결과를 예측하고 평가계획까지 수립한다.

③ 실행단계에서는 도입, 전개, 정리 단계의 시간별 계획에 따라 구체적으로 작성한다.

④ 포교 프로그램의 네 단계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직선적인 관계이다.

 

27. 다음은 대승 불교에 대한 설명이다. 바른 것은?

① 대승(大乘)이란 본래 깨달음을 향해 가는 커다란 탈것이라는 뜻이다.

대승에서는 재가자의 경우에 아무리 노력해도 최상의 깨달음을 얻을 수는 없다고 한다.

③ 대승 불교는 서기 1세기경부터 시작된 새로운 불교 운동을 가리킨다.

④ 경전을 중시하던 부파 불교와는 달리 대승에서는 실천을 중요시했다.

 

28. 대승불교의 삼신불은 경전마다 다양한 쌍을 이루지만, 보편적으로 말하는 법신불ㆍ보신불ㆍ화신불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① 법신-아미타불, 보신-비로자나불, 화신-석가모니불

법신-비로자나불, 보신-아미타불, 화신-석가모니불

③ 법신-석가모니불, 보신-아미타불, 화신-비로자나불

④ 법신-비로자나불, 보신-석가모니불, 화신-아미타불

 

29. 다음은 밀교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밀교는 다른 종교, 특히 힌두교의 교리와 신앙을 배격한다.

② 밀교교단에서 출가비구는 주술사 내지 마법사의 역할도 수행하였다.

③ 밀교는 인도불교의 최종 발전 단계로서 대승불교의 인도적 변용이다.

④ 밀교의 교의는 금강(金剛)처럼 견고하고 최상의 진리라는 의미에서 금강승이라고 하였다.

 

30. 중국에 처음 불교가 전래하였다는 설화에 등장하는 사찰은?

① 천태사           ② 소림사          ③ 백마사         ④ 오대산사

 

31. 중국 선종의 초조는 달마이고, 그 법을 혜가가 계승하였다. 이후의 전래 과정을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3조 승찬 → 4조 도신 → 5조 홍인 → 6조 혜능

② 3조 도신 → 4조 승찬 → 5조 혜능 → 6조 홍인

③ 3조 혜능 → 4조 도신 → 5조 홍인 → 6조 승찬

④ 3조 승찬 → 4조 홍인 → 5조 도신 → 6조 혜능

 

32. 중국 선종에서 “하루 일하지 않으면, 하루 먹지 않는다.”라는 유명한 교훈을 남긴 인물은 누구인가?

① 임제 의현       ② 마조 도일        ③ 조계 혜능          ④ 백장 회해

 

33. 중국 근대불교는 경전과 논서의 발행 운동을 통해 부흥을 꾀하였다. 그 중심 단체가 불교연구회, 중국불교회 등이었는데 이러한 흐름을 이끌어간 불교를 통칭하는 개념이 무엇인가?

① 결사불교        ② 근본불교         ③ 거사불교           ④ 교학불교

 

34. 백제의 불교 수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① 침류왕 때의 일이다.

서기 299년에 불교를 공식적으로 수용하였다.

③ 서역 출신인 마라난타(摩羅難陀)가 전해 주었다.

④ 침류왕은 한산(漢山)에 절을 건립하고 열 명을 출가시켜 머물게 하였다.

 

35. 신라 왕실에서 전륜성왕의 이념과 더불어 채용했던 정치적 이론은 무엇인가?

① 계율 의식       ② 포살 의식       ③ 점찰 의식        ④ 진종(眞種) 의식

 

36. 중급 관료 집안 출신인 원효는 출가하여 불교학을 깊이 연구한 이후에 세간과 출세간의 걸림이 없음을 직접 실천하기 위하여 환속하였고, 그 후 소성(小姓)거사로 자처하면서 광대들의 놀이 도구를 가지고서 노래와 춤으로써 불법의 가르침을 전했다. 원효가 대중을 위해 교화를 펼칠 때 강조했던 주요 신앙은 무엇이었는가?

① 정토 신앙       ② 점찰 신앙       ③ 미륵 신앙        ④ 지장 신앙

 

37. 통일신라시대 고승과 그의 대표적인 사상을 연결한 것이다. 틀린 것은?

① 의상 - 화엄사상                    ② 태현 - 관음사상

③ 원측 - 유식사상                    ④ 원효 - 화쟁사상

 

38. 조선시대 간경도감(刊經都監)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훈민정음으로 불서를 번역, 간행하는 기관이었다.

② 효령대군, 김수온, 신미 등이 역경을 주도하였다.

③ 책임자는 정도전이었고, 이곳에서 『불씨잡변』을 간행하였다.

④ 『법화경』,『금강경』,『능엄경』 등과『수심결』 등의 선서를 간행하였다.

 

39. 동남아시아 즉, 스리랑카, 미얀마, 태국, 캄보디아, 라오스 지역의 불교를 가리키는 용어와 가장 거리가 것은?

① 남방불교        ② 재가불교        ③ 상좌부불교          ④ 테라바다(Theravāda)

 

40. 베트남 불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10세기 중엽 중국으로부터 독립하면서 불교는 황금시대를 맞았다.

② 베트남불교는 선(禪)과 정토의 교의를 중심으로 대승불교의 맥을 이었다.

③ 최근 틱낫한스님 등의 활약으로 베트남불교에 대한 재조명이 이루어지고 있다.

베트남불교 최대의 성지는 앙코르와트이다.

 

41. 명부전에 주로 설치되는 법구의 하나로 거울에 죄를 지은 현세에서의 모든 선악행위가 비춰진다고 한다. 받침대는 연꽃을 새긴 연화좌나 사자형의 상서로운 짐승의 형상을 새기고 있으며, 거울 면은 불꽃무늬로 테두리를 삼고 실제 동판으로 만든 거울을 끼우거나 아니면 나무판에 금칠을 하기도 한다. 이 법구의 명칭을 쓰시오.[4점] (업경대)

 

42. 불보사찰인 통도사에서 가장 성스러운 곳이며 통도사의 근본정신이 집결되어 있는 곳으로 부처님의 진신 사리를 봉안한 곳을 무엇이라 일컫는가?[4점] ( 금강계단 )

 

43. 티베트 불교의 가장 대표적인 종파인 겔룩파의 수장으로, 자비와 용서를 실천하여 미국과 유럽인들을 비롯한 전 세계인들의 존경을 받고 있는 티베트 민족의 정신적·정치적 지도자는 누구인가?[4점] ( 달라이 라마 )

 

44. 다음 〈보기〉의 내용이 설명하고 있는 불교 복지포교의 근본 사상을 2자로 쓰시오.[4점]

〈 보 기 〉

-. 이 사상은 존재론적 논리인 연기사상이 행위론적 차원에서 발현된 것이다.

-. 흔히 불교를 ( )의 종교라 하고, 종단을 ( )의 문중이라 한다.

-. 『대지도론』에서는 이것을 한 단어로 묶어 ‘발고여락(拔苦與樂)’으로 풀이하기도 한다.

 

( 자비 )

 

45. 다음은 부처님이 처음 행한 설법, 즉 초전법륜의 내용을 담고 있는 『잡아함경』말씀의 일부이다. ( )에 들어갈 말을 차례대로 쓰시오.[각1점]

“제자들아, 그대들은 두 ( )(으)로 달려가서는 안 되나니, 그 둘이란 무엇인가? 온갖 ( )에 깊이 집착함은 어리석고 추하다. 범부의 소행이어서 성스럽지 못하며 또 이로움이 없느니라. 또한 스스로 ( )을(를) 일삼으면 오직 괴로울 뿐이며, 역시 성스럽지 못하고 이로움이 없느니라. 나는 이 두 가지 ( )을(를) 버리고 ( )을(를) 깨달았으니, 그것은 눈을 뜨게 하고 지혜를 생기게 하며, 적정과 증지와 등각과 열반을 돕느니라.

㉮ ( 극단 ), ㉯ ( 욕망 ), ㉰ ( 고행 ), ㉱ ( 중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