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3장 부처님의 가르침

제3장 부처님의 가르침 1. 부처님의 가르침 (9)사섭법(四攝法) (10)사무량심(四無量心)

moksha 2025. 3. 24. 22:32

(9) 사섭법(四攝法, Cattāri-Saṅgaha-vatthu) : 4가지 남들을 이롭게 하는 일

 

사섭법(四攝法)이란 고통세계의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보살이 중생을 섭수(攝受)하는 네 가지 방법을 말한다.

보시섭(布施攝) 재물이나 부처님의 가르침을 베풀어 줌.
애어섭(愛語攝) 항상 부드럽고 사랑스러운 말로 대함.
이행섭(利行攝) 남을 이롭게 하는 이타행을 함.
동사섭(同事攝) 더불어 함께 일하고 서로 협력하는 것.

 

보시(布施, dāna) : 법보시가 으뜸이다. : 보시하는 것 가운데 최상의 것은 가르침의 보시이다.(Etadaggaṃ bhikkhave, dānānaṃ yadidaṃ dhammadānaṃ)

애어(愛語, peyyavajja) : 귀를 기울인 자에게 거듭거듭 법을 설하는 것이다.

이행(利行, atthacariyā) : 믿음이 없는 자에게 믿음을 가지도록 격려하고, 믿음에 머물게 하고, 확고하게 굳히도록 하며, 계행이 나쁜 자에게 계행을 지키도록 격려하고, 계에 머물게 하고, .....

동사(同事, Samānattatā) : 동등한 배려(Samānattatāya)

 

힘에 의한 섭수의 경(balasaṅghavatthusutta, A9:5) : 힘에 의한 섭수의 경(balasaṅghavatthusutta, A9:5)

 

힘에 의한 섭수의 경(balasaṅghavatthusutta, A9:5)

힘에 의한 섭수의 경(balasaṅghavatthusutta, A9:5) 한 때 세존께서 싸밧티 시에 계셨다. [세존]“수행승들이여, 이와 같은 네 가지 힘이 있다. 네 가지란 무엇인가? 수행승들이여, 지혜의 힘, 정진의 힘,

cloudwater.tistory.com

 

(10) 사무량심(四無量心, 네 가지 청정한 삶, cattāro brahma­vihāra)

 

사무량심이란 보살이 중생들을 향하여 갖는 네 가지 마음으로, 이 마음이 끝이 없기에 무량심(無量心)이라고 한다. 개인적인 해탈을 중시하는 수행적 측면이 강하다. 사범주(四梵住, cattaro brahma­vihāra)라고도 한다.

 

사무량심(四無量心, 네 가지 청정한 삶) : 개인적인 해탈을 중시하는 수행적 측면이 강하다. : 수행

사섭법(四攝法) : 중생을 이롭게 하는 이타적인 측면이 강하다. : 중생제도

자무량심(慈無量心) : 자애(, mettā) 남에게 즐거움을 주려는 마음.
비무량심(悲無量心) : 연민(, karuṇā) 남의 슬픔이나 고통을 덜어 주려는 마음.
희무량심(喜無量心) : 기뻐함(, muditā) 남의 잘됨을 보고 같이 기뻐해주는 마음.
사무량심(捨無量心) : 평정(, upekkhā) 모든 것을 보고 흔들리지 않는 마음.
평등하게 보는 마음.

 

ㆍ 자애(mettā) : 어머니가 외동아들을 사랑하는 것처럼 어떤 차별도 없이 중생을 사랑하는 보편적이며 무한한 사랑을 실천한다.

ㆍ 연민(karuṇā) : 근심과 번뇌로 괴로워하는 모든 중생에 대한 연민(憐憫, 불쌍하고 가엾게 여김)의 태도를 갖는다.

ㆍ 기쁨(muditā) : 다른 사람의 성공, 복지, 행복을 축하하고 그것에 공감한다.

ㆍ 평정(upekkhā) : 인생의 모든 파란과 곡절에서 침착과 평정을 유지한다.

 

MN. 1. 38에 따르면, 수행할 때에는 자애의 마음으로 동쪽 방향을 가득 채우고, 자애의 마음으로 남쪽 방향을 가득 채우고, 자애의 마음으로 서쪽 방향을 가득 채우고, 자애의 마음으로 북쪽 방향을 가득 채우고, 자애의 마음으로 위와 아래와 옆과 모든 곳을 빠짐없이 가득 채워서, 광대하고 멀리 미치고 한량없고 원한 없고 악의 없는 자애의 마음으로 일체의 세계를 가득 채운다.’ 이와 같이 해서 다른 연민의 마음, 기쁨의 마음, 평정의 마음을 일체의 세계에 가득 채워야 한다.

 

 사범주(四梵住, cattaro brahma­vihāra)

ㆍ자애(mettā, lovingkindness)<--->성냄(악의, byāpāda)

ㆍ연민(karuṇā, compassion)<--->잔인함ㆍ상해(vihesā)

ㆍ기뻐함(muditā, Altruistic joy)<--->불쾌함(arati)

ㆍ평정(upekkhā, Equanimity)<--->혐오ㆍ대립(paṭig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