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보살(菩薩)의 행원
1) 보살의 의미
①보살(菩薩)은 산스크리트어 보디사트바(Bodhisattva)의 음역인 보리살타(菩提薩埵)의 준말이다.
②보디(Bodhi:보리菩提)는 깨달음, 사트바(Sattva:살타薩埵)는 유정(有情)의 뜻이다. 그래서 각유정(覺有情)이라 의역한다.
③보살은 말 그대로 깨달은 중생・깨달을 중생・깨우치게 해주는 중생・깨달음을 추구하는 중생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④보리심을 발해 성불을 향한 수행도상에서 자리이타행(自利利他行)을 하는 각성된 수행자를 의미한다.
⑤존재의 공성(空性)을 사무치게 깨달은 반야행자(般若行者)를 의미한다.
⑥ <금강경>에는 아상(我相)ㆍ인상(人相)ㆍ중생상(衆生相)ㆍ수자상(壽者相)의 사상(四相)이 없는 사람을 말한다.
⑦대승불교가 지향하는 가장 완벽하고 이상적인 인간상을 가리키는 것이다.
⑧원래 성불(成佛)하기 이전의 붓다를 가르키는 말이었으나, 불교에 귀의한 모든 사람을 가르키는 말이기도 하다.
☞발보리심(發菩提心) : 자리이타의 보살행을 하며 부처가 되고자 원을 세우는 것.
2) 보살(菩薩)의 행(行)
①‘상구보리 하화중생’(上求菩提 下化衆生) 즉 위로는 깨달음을 추구하고 아래로는 중생들을 구제하고 교화
② <유마경>의 말씀
‘중생이 병들어 보살이 앓는다.’는 말처럼 중생들과 자기를 한 몸으로 생각하는 동체대비(同體大悲)를 실천
③ 삼천위의(三千威儀)와 팔만세행(八萬細行)을 닦는 끝없는 보살의 길인 보살행은 사무량심, 사섭법, 육바라밀 등에 잘 드러나 있다.
☞동체대비(同體大悲)
온 세상의 일체 존재는 연기적 존재로서 한 몸이라는 사실을 아는 깨달음에 이어 그에 합당한 실천을 가리키는 가장 위대한 자비(慈悲)를 말한다.
3) 보살(菩薩)의 원(願)
광대무변한 보살(菩薩)의 원은 사홍서원(四弘誓願)에 집약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중생무변서원도 (衆生無邊誓願度) |
중생이 끝없지만 기어이 건지오리다. |
번뇌무진서원단 (煩惱無盡誓願斷) |
번뇌가 끝없지만 기어이 끊으오리다. |
법문무량서원학 (法門無量誓願學) |
법문이 한량없지만 기어이 배우오리다. |
불도무상서원성 (佛道無上誓願成) |
불도가 위없지만 기어이 이루오리다. |
세세생생(世世生生) 모든 중생들을 구제하겠다는 것이 불보살의 본원력(本願力)이자 비원(悲願)이다. 결론적으로 지혜와 자비를 수레의 두바퀴로 하여 깨달음을 향하여 물러섬이 없는 신심과 허공계가 다하도록 싫증냄이 없이 모든 중생들을 제도하겠다는 큰 원력을 가진 사람이 바로 보살(菩薩)이다.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 > 제3장 부처님의 가르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장 부처님의 가르침 1. 부처님의 가르침 (9)사섭법(四攝法) (10)사무량심(四無量心) (0) | 2025.03.24 |
---|---|
제3장 부처님의 가르침 1. 부처님의 가르침 (7)십이연기(十二緣起) (0) | 2025.03.11 |
제3장 부처님의 가르침 1. 부처님의 가르침 (6) 팔정도(八正道) (0) | 2025.03.09 |
제3장 부처님의 가르침 1. 부처님의 가르침 (5) 사성제(四聖諦) (0) | 2025.03.09 |
제3장 부처님의 가르침 1. 부처님의 가르침 (4) 삼법인(三法印)ㆍ사법인(四法印) (0)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