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포교사고시 공부방/포교사고시 기출문제

21회 포교사고시 기출문제 [2교시] - 2016년 2월 20일 시행

moksha 2017. 6. 8. 15:33

21회 일반포교사 자격고시 문제지

 

[제2교시]

1. 불자의 대표적인 인사법인 합장(合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불보살님께 공경과 믿음의 마음을 표현하는 인사법이다.

② 부처와 중생, 너와 내가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뜻을 담고 있다.

③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 모든 불교국가의 공통적인 인사법이다.

절에서 부처님이나 스님께 하는 인사법으로 일반인에게는 하지 않는다.

 

2. 불교에서 말하는 공양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① 공양은 시물(施物)을 부처님께 바쳐 목마르고 배고픈 중생에게 회향하고, 중생의 고통을 여의게 해주는 것이다.

② 공양이란 원래 스님들에게 수행에 필요한 여러 가지 물건이나 음식을 드려 깨달음의 텃밭을 일구게 한다는 의미이다.

③ 부처님께서는 당시 수행 풍습대로 한 끼 공양을 하셨는데, 우리나라 사찰에서 올리는 사시불공은 여기에서 유래한 것이다.

불전에 올리는 공양물은 전통적으로 향, 초, 꽃, 떡, 과일, 현금을 육법공양이라 하여 중요시해 왔다.

 

3. 법당에는 통상 상단, 중단, 하단의 삼단 구조로 되어 있는데, 각 단에 모셔진 분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상단 - 위패, 중단- 제석천과 팔부신장, 하단 - 부처님과 보살상

② 상단 - 제석천과 팔부신장, 중단 - 부처님과 보살상, 하단 - 위패

③ 상단 - 부처님과 보살상, 중단 - 위패, 하단- 제석천과 팔부신장

상단 - 부처님과 보살상, 중단 - 제석천과 팔부신장, 하단 - 위패

 

4. 사찰의 전각은 안에 모셔진 불상에 따라 그 이름이 다르다. 다음 중 건물과 모셔진 부처님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① 대웅전(大雄殿)은 석가모니 부처님을 주불로 모신 법당으로 절의 중심이 되는 건물인데, 법력(法力)으로 세상을 밝히는 영웅을 모신 집이라는 뜻이다.

② 적멸보궁(寂滅寶宮)에는 불상을 따로 봉안하지 않고 불단만 있는데, 이는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탑이 있으므로 형상을 따로 모실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③ 대적광전(大寂光殿)의 본존은 비로자나불로 서 연화장 세계의 교주이시며, 연화장세계는 진리의 빛이 가득한 대적정의 세계이므로 대적광전이라 부른다.

원통전(圓通殿)은 극락세계의 주재자인 아미타불을 모신 법당이며, 아미타불은 수명이 한량없기에 무량수전이라고도 하고 미타전이라고도 한다.


5. 부처님의 덕을 나타내기 위하여 열 손가락으로 여러 가지 모양을 만들어 표현하는 것을 수인(手印)이라고 한다. 다음 중 수인(手印)의 명칭과 모양이 바르지 않은 것은?

항마촉지인 ②지권인 ③전법륜인 ④선정인

 

6. 불교의식에 쓰이는 불전사물(佛殿四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법고는 쇠가죽으로 만들며, 짐승세계의 중생들을 깨우치기 위하여 울린다.

운판은 대나무로 만들며, 공중을 날아다니는 중생의 영혼을 제도하기 위해서 친다.

③ 목어는 나무로 만들며, 물에 사는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 친다.

④ 범종은 청동으로 만들며, 천상과 지옥의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 친다.

 

7. 다음 중 사리장엄(舍利莊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사리장엄이란 부처님이나 스님의 사리를 봉안하면서 꾸민 조형물을 말한다.

② 사리장엄구에는 사리를 담는 사리병과 그것을 보호하는 합(盒)이 있다.

③ 사리병은 신라시대에는 유리와 수정, 고려시대에는 금속재가 많이 쓰였다.

사리는 반드시 탑에만 봉안하고 불교 경전이나 불화·불상 안에는 봉안할 수 없다.

 

8. 다음 중 불교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을 고르시오.

① 불교는 모르고 사는 삶을 알고 살아가는 삶으로 바꾸어주는 종교이다. 그래서 불교에서는 모르고 짓는 죄가 알고 짓는 죄보다 더 무겁다고 한다.

② 불교는 깨달음으로써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종교이므로 남으로부터 어떤 도움도 받아서는 안 되며 남을 도와주어서도 안 된다.

③ 불교의 수행이란 혹독한 시련으로 자신을 단련하는 고행과는 다르다. 진리를 깨치기 위해 탐욕에 찌든 자신의 잘못된 습관을 좋은 습성으로 바꾸어 마침내 깨닫는 과정이다.

④ 불교는 절대자에게 무조건 빌어 용서를 받고 그에게 귀속되어서 사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간 직하고 있는 불성을 깨워 내 주인공으로 사는 것이 참 모습이다.

 

9. 다음의 보기는 새벽 예불 시간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순서를 바르게 나열된 것은?

                <보기> : 도량석, 축원, 칠정례, 반야심경, 종성


① 도량석 - 축원 - 칠정례 - 반야심경 - 종성

② 종성 - 축원 - 칠정례 - 반야심경 - 도량석

도량석 - 종성 - 칠정례 - 축원 - 반야심경

④ 종성 - 칠정례 - 반야심경 - 축원 - 도량석

 

10. 다음은 천수경에 나오는 진언이다. 바르게 연결된 것은?

참회진언 : 옴 살바 못자 모지 사다야 사바하

② 개법장진언 : 옴 자례 주례 준제 사바하 부림

③ 정법계진언 :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④ 호신진언: 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도로도로 지미 사바하

 

11. 다음은 전통적으로 사찰에서 불자들이 지켜야 할 10재일이다.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8일 - 미타(彌陀)재일

② 15일 - 약사(藥師)재일

24일 - 관음(觀音)재일

④ 30일 - 지장(地藏)재일

 

12. 부처님이나 보살님의 명호와 모습을 끊임없이 마음에 집중함으로써 번뇌와 망상을 없애 깨달음을 이루고 불국정토에 왕생하는 불교의 수행방법은 무엇인가?

① 참선(參禪) ② 염불(念佛) ③ 간경(看經) ④ 주력(呪力)

 

13. 불자들은 불교의 기념일을 잘 지키고 경건한 마음으로 축하해야 한다. 다음 중 우리나라의 불교 기념일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출가재일 - 음력 2월 8일

② 성도재일 - 음력 4월 8일

③ 우란분절 - 음력 12월 15일

④ 열반재일 - 음력 7월 15일

 

14. 다음 중, 원효대사와 관계 없는 것은?

①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의 도리를 깨닫고 유학길을 포기하였다.

② 노래하고 춤을 추며 부처님 법을 일반서민들에게 전하였다.

『금강삼매경』과 「법성게」등을 지었다.

④ 화쟁사상(和諍思想)을 정립했다.

 

15. 통일신라시대 의상 스님의 업적과 거리가 것은?

당나라 현장스님의 영향을 받아 신라에 유식학을 발전시켰다.

② 영주 부석사를 창건하였으며, 신앙적이고 실천적인 측면을 중시하였다.

③ 낙산사에서 백화도량발원문을 쓰는 등 관음신앙의 터전을 마련하였다.

④ 삼국유민들의 융합을 위해 통합과 화합을 강조하는 불교사상을 강조하였다.

 

16. 고려 왕실의 지원을 받아 가장 늦게 성립된 구산선문으로 황해도 해주 광조사에서 개창된 산문은?

① 봉림산문(鳳林山門)

② 성주산문(聖住山門)

③ 동리산문(桐裡山門)

수미산문(須彌山門)

 

17. 고려시대 불교건축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부석사 무량수전 - 수덕사 대웅전

② 경주 불국사 - 석굴암

③ 봉정사 대웅전 - 통도사 금강계단

④ 전등사 대웅전 - 법주사 팔상전

 

18. 다음은 조선 전기 불교에 대해 설명한 글이다. 틀린 것은?

① 태종은 불교계가 보유하고 있던 사원전 3~4만결과 노비 8만 명 정도를 몰수하였다.

② 세종 30년에 최초의 한글 불서인 석보상절이 간행되었다.

세조는 교장도감을 설치하여 법화경ㆍ금강경ㆍ능엄경 등의 불서를 훈민정음으로 번역하여 간행하였다.

④ 왕실에서 자주 수륙재를 설행하였고, 상례와 장례 등은 여전히 불교적으로 거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19. 조계종의 연원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전라남도 순천의 조계산의 산 이름에서 나온 것이다.

② 신라 말 고려 초에 형성된 구산선문(九山禪門)에 기원한다.

③ 혜능과 그의 법을 이어받은 남종선을 상징하는 의미이다.

④ 중국에서 찾아 볼 수 없는 한국불교의 고유한 종명이다.

 

20. 우리나라에 선법(禪法)을 처음 전한 도의국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혜능이 설한 육조단경의 설법처인 보단사(寶壇寺)에서 비구계를 받다.

② 강서 개원사(開元寺)에서 서당 지장(西堂智藏)의 법맥을 이어받다.

③ 백장산의 백장 회해(百丈懷海) 선사를 찾아 법요(法要)를 전해 받다.

당나라에서 귀국 후 남원 실상사에 머물며 실상산문을 형성하였다.

 

21. 한국불교 근현대사에서 교단 명칭의 변화 과정이 바르게 정리된 것은?

원종 - 조선불교선교양종 - 조선불교조계종 - 대한불교조계종

② 대한불교조계종 - 조계종 - 조선불교 - 대한 불교조계종

③ 조계종 - 선불교 - 조선불교조계종 - 대한 불교조계종

④ 조선불교조계종 - 조선불교 - 조계종 - 대한 불교조계종

 

22. 다양한 수행 방법 중 조계종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 수행법은?

① 염불 수행      ② 간경 수행      ③ 주력 수행      ④ 간화선 수행

 

23. 신도법에서 대한불교조계종의 신도등록 시기는 언제인가?

① 사찰에 축원 카드를 작성한 후

② 사찰의 정기법회에 참석한 후

③ 성지순례를 다녀온 후

삼귀의와 오계 수계를 받은 후

 

24. 대한불교조계종의 신도교육과정을 바르게 열거한 것은?

입교교육 - 기본교육 - 전문교육 - 지도자교육

② 기본교육 - 입교교육 - 전문교육 - 지도자교육

③ 입교교육 - 기본교육 - 지도자교육 - 전문교육

④ 기본교육 - 입교교육 - 지도자교육 - 전문교육

 

25. 불교에서 규정하고 있는 다섯 가지 계(戒)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고르세요.

① 불살생(不殺生)

불소유(不所有)

③ 불망어(不妄語)

④ 불음주(不飮酒)

 

26. 제법무아의 의미를 비유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촛불이 계속 타고 있는 것은 지속되는 불의 씨앗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② 어제의 나와 오늘의 나는 다르다. 연속적인 행위는 있지만 고정된 나의 실체는 없다.

③ 모든 존재는 홀로 존재하지 않고 고정된 실체가 아닌 서로 관계를 맺으며 생겨나고 사라지

는 것이다.

④ ‘책상’이라는 이름과 기능이 있지만 책상이라는 실체는 없다. 목재, 철, 페인트, 플라스틱 등의 재료들이 결합된 것일 뿐이며, 걸터앉으면 의자가 되고, 누우면 침대가 되며, 밥을 먹으면 밥상도 된다.

 

27. 다음 중 연기법(緣起法)과 거리가 것은?

① 이것이 있기 때문에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김으로써 저것이 생긴다.

② 이것이 없기 때문에 저것이 없고, 이것이 사라짐으로써 저것이 사라진다.

사물은 원인과 주변 조건에 따라 서로 의지하면서 생성되고 머물다가 인연이 다하면 영원히 사라지고 또 다시 생겨나는 일이 없다.

④ 모든 존재는 홀로 우연히 생기는 것이 아니라 인연 따라 일어난다. 인연은 부처님이 만들어 주시는 것은 아니라, 자신의 의지와 노력이 조건과 결합함에 따라 일어나는 원리이다.

 

28. 중도(中道)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중도는 양극단을 떠나 조화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고, 조화로운 관계는 곧 연기에 입각한 관계이다.

② 중도의 가르침은 고행주의와 쾌락주의의 양극단을 버리는 가르침으로 적절한 고통과 즐거움을 경험하는 것이 좋다.

③ 중도는 중간(中間)과 같은 의미로서, 흑백논리의 경우 양 쪽 주장의 가장 중립적 위치를 찾아서 자신의 자리를 정하는 것이다.

④ 중도는 고락(苦樂), 유무(有無), 단상(斷常)의 양극단을 버리기 위해 옳고 그름이나 착하고

악함에 대한 일체의 판단을 하지 않는 것이다.

 

29. 무상(無常)의 의미를 가장 적극적인 방향으로 이해하며, 삶에 바람직하게 적용하고 있는 불자는?

① 세뱃돈을 받은 어린이 불자: 영원한 것이 없으니 세뱃돈도 없어질 것이니까, 없어지기 전에 맛있는 음식을 사먹는다.

② 사업에 어려움을 겪는 거사님: 덧없음을 느끼고 사업을 정리한 후 조용한 시골로 낙향하여 홀로 칩거 생활에 들어간다.

③ 지갑을 잃어버린 보살님: 가진 물건은 언젠가는 망가지거나 잃어버릴 것이니 이제부터는 아예 지갑을 사용하지 않기로 하였다.

친구와 헤어진 청소년 불자: 헤어져서 아쉽지만 그동안 친구와의 만남에 감사하고, 현재의 친구들과 잘 지내도록 노력하면서 새로운 친구를 사귀는데도 노력한다.

 

30. 팔정도(八正道)의 항목과 설명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① 정명(正命): 부처님의 가르침과 계율을 목숨을 바쳐 지키면서 살아가는 바른 삶을 뜻한다.

② 정정(正定): 움직임과 느낌에 대하여 마음을 챙겨 바로 깨어있는 것으로 바른 알아차림이라 고 할 수 있다.

③ 정념(正念): 마음 챙김과 집중을 통하여 마음이 바른 삼매의 상태에 들어가 고요한 평정과 기쁨에 머무는 것이다.

정업(正業):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바른 행위로서 오계를 비롯한 계율을 지키는 것이 바 른 행위의 그 구체적 방법이다.

 

31. 다음 안의 글을 통해서 불자들이 배울 수 있는 삶의 태도와 거리가 것은?

독화살을 맞은 사람은 무엇보다 먼저 독화살을 빼고 상처를 치료해야 한다. 그런데 어리석은 사람이 독의 성분과 화살이 날아온 방향 등을 알아야한다며, 독화살을 빼는 것을 늦춘다면 이 얼마나 위험한 일인가?

① 팔정도를 통해 중도를 실천함으로써 깨달음에 다다라야 한다.

② 형이상학적인 논의에 얽매이기보다 중도의 실천을 통해 해탈의 길을 찾아야 한다.

고통의 원인을 알아내는 것은 무의미하며, 현재 닥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최선이다.

④ 옳고 그름을 가리거나 선악을 따지는데 힘을 쏟기 보다는 교단의 화합과 공동의 이익을 찾아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32. 부파불교 수행론의 아라한, 보살, 부처님에 대한 견해로서 나머지 셋과 주장이 다른 것은?

① 역사적 인물로서의 부처님은 초월적 존재인 법신의 화현이다.

② 부처님의 모습은 세상 곳곳에 화현해 계시며, 온 우주에 가득 차서 어디를 가든 존재한다.

수행은 수다원, 사다함, 아나함, 아라한의 4단계이며 이중 아라한과가 최고의 완성 단계이다.

④ 아라한은 다른 이의 도움에 의해 깨달음을 얻으며, 소리를 지르고 기뻐하며 개달음에 이른다.

 

33. 대승 불교가 성립되고 발전되는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서 올바른 것은?

① 소승부는 강력한 논리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대승 불교를 이끌 수 있었다.

② 일승부는 거대한 힘으로 모든 부파를 아울러 하나로 합쳐서 대승을 이끌었다.

가장 영향력이 컸던 부파는 대중부였고, 그들이 대승 운동을 주도했다.

④ 설일체유부는 새로운 철학적 이론을 만들어서 대승 운동을 뒷받침했다.

 

34. 대승불교의 연원과 깊은 관련이 있는 내용으로 짝지어진 것을 고르시오.

① 자이나교, 힌두교, 비구승가

대중부, 불탑신앙, 보살가나

③ 이슬람교, 기독교, 비구니승가

④ 부파불교, 설일체유부, 비구승가

 

35. 용수보살의 이제설(二諦說)의 의미를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속제(俗諦)는 이익을 추구하는 세속적 욕망에 근거하는 삶의 태도이다.

② 진제(眞諦)는 모든 것이 공(空)하다는 허무주의적 공견(空見)을 말한다.

③ 이제설(二諦說)은 속제(俗諦)는 버리고 진제(眞諦)를 실천하자는 논리이다.

이제설(二諦說)은 진제(眞諦)와 속제(俗諦)를 균등하게 실천하는 중도의 논리이다.

 

36. 분별만 일삼는 우리들의 의식을 정화하여 모든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는 유식의 4가지 종류의 지혜 가운데, 제 6 의식을 전환하여 드러나는 지혜는 무엇인가?

① 대원경지(大圓鏡智) ② 묘관찰지(妙觀察智)

③ 성소작지(成所作智) ④ 평등성지(平等性智)

 

37. 선(禪)의 기원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산스끄리뜨어 드야나(dhyāna)에서 온 말이다.

② 드야나는 정려(靜慮) 혹은 사유수(思惟修)를 뜻한다.

어떤 사태에 직면해서 그것을 분석적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④ 나와 대상이 온전히 하나가 된 상태인 삼매 (三昧)의 경지를 말한다.

 

38. 위빠사나와 사마타 수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위빠사나는 지혜의 눈으로 모든 것이 무아, 무상임을 꿰뚫어보고 체험하는 수행이다.

② 사마타는 한 곳에 마음을 집중해서 번뇌와 망상, 분별작용을 그치게 하는 수행이다.

위빠사나[觀] 수행은 사마타[止] 수행을 위한 준비 단계이자 전제조건이다.

④ 지관법(止觀法)은 마음의 동요가 없는 상태에서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본다는 것이다.

 

39. 효율적인 포교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계획-설계-실행-평가 단계」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다음 중 각 단계별 목표를 바르게 기술하고 있는 것은?

① 계획 단계 ; 언제 어디서 누가 어떤 일을 해야 하고, 어떤 방법으로 진행해야 하는가를 적절한 순서로 배열하면서 세밀하게 기술한다.

② 설계 단계 ; 관련된 자료와 정보를 수집하고, 포교 프로그램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다.

③ 실행 단계 ; 구체적인 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도입, 전개, 정리 단계의 시간별 계획에 따라 구체적으로 작성한다.

평가 단계 ; 계획의 타당성, 설계의 적절성, 실행의 효율성 등 프로그램의 모든 과정을 분석하고 해석하여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40. 다음은 불교의 진리, 즉 법(法)에 대하여 설한 『잡아함경』말씀이다. □ 안에 각각 들어갈 말이 차례로 바르게 연결된 것은?

“법은 세존에 의해 잘 설해졌나이다. 이 법은 □에서 밝혀진 것이며, 머지않아 □이 (가) 있는 것이며, 와서 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며, □로(으로) 잘 인도하는 것이며, 또 지혜 있는 이가 저마다 스스로 알 수 있는 것입니다.

 

① 깨달음, 행복, 열반

② 현실, 깨달음, 무상

③ 무상, 업보, 해탈

현실, 과보, 열반

 

41. 다음 보기의 내용이 설명하고 있는 한국불교의 특징적 사상은?

[ 보 기 ]

이것은 불교가 우리나라에 들어와 정착되면서, 자신들이 살고 있는 현재의 국토가 오랜 과거부터 불교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으며, 현재도 불교의 호법신들에 의해 보호를 받고 있다는 사상이다. 특히 불교의 수용과 국가체제의 정비를 동시에 이루었던 신라에서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42. 보시(布施)를 행할 때는 보시를 베푸는 자, 받는 자, 보시하는 내용이 되는 물건의 세 가지 가 본질적으로 공(空)한 것이어서 거기에는 아무것도 집착이 없어야 한다. 이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불국토] [불국토(佛國土) 사상(思想)] [불연국토(佛緣國土) 사상]

 

43. 보살이 수행을 하면 당연히 이익과 공덕이 따르지만, 보살은 중생구제의 원을 세우고 자신이 얻은 공덕을 중생들에게 돌려준다. 이처럼 중생에게 공덕을 되돌리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지 쓰시오. (2글자) [회향] [회향(廻向)]

 

44. 아래는 우리말 반야심경입니다. 괄호 속에 알맞은 말을 채워 넣으세요.

[우리말 반야심경]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관자재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행할 때

오온이 공한 것을 비추어 보고 ( ㉠ )

사리자여! 색이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이 색과 다르지 않으며,

색이 곧 공이요 공이 곧 색이니, 수 상 행 식도 그러하니라

사리자여! ( ㉡ )

더럽지도 깨끗하지도 않으며, 늘지도 줄지도 않느니라.

그러므로 공 가운데는 색이 없고 수 상 행 식도 없으며,

안 이 비 설 신 의도 없고,

색 성 향 미 촉 법도 없으며,

눈의 경계도 의식의 경계까지도 없고,

무명도 무명이 다함까지도 없으며,

늙고 죽음도 늙고 죽음이 다함까지도 없고,

고 집 멸 도도 없으며, 지혜도 얻음도 없느니라.

얻을 것이 없는 까닭에 ( ㉢ )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으므로 두려움이 없어서,

뒤바뀐 헛된 생각을 멀리 떠나 완전한 열반에 들어가며,

삼세의 모든 ( ㉣ ) 최상의 깨달음을 얻느니라.

반야바라밀다는 가장 신비하고 밝은 주문이며 위없는 주문이며

무엇과도 견줄 수 없는 주문이니,

온갖 괴로움을 없애고 진실하여 허망하지 않음을 알지니라.

이제 반야바라밀다주를 말하리라.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3번)

( ㉠ 온갖 고통에서 건너느니라. )

( ㉡ 모든 법은 공하여 나지도 멸하지도 않으며 )

( ㉢ 보살은 반야바라밀다를 의지하므로 )

( ㉣ 부처님도 반야바라밀다를 의지하므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