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포교사고시 공부방/포교사고시 기출문제

19회 포교사고시 기출문제 - 2014년 2월 16일 시행

moksha 2014. 9. 14. 20:14

제19회 포교사 자격고시

 

[제1교시]

1. 사찰을 참배할 때 예절로 잘못된 것은?

① 일주문이나 천왕문, 해탈문을 지날 때에는 법당을 향해 반배를 한다.

② 법당에 오르기 전 탑이 있는 경우에는 반배로 3배의 예를 올린다.

탑을 돌며 기도할 때는 왼쪽 어깨가 탑을 향하도록 하고 돈다.

④ 역대 조사 스님의 부도(浮屠)를 지날 때에는 반배를 한다.

 

2. 각 전각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① 미래의 부처님을 모신 전각을 자씨전(慈氏殿)이라고 한다.

② 팔상도를 봉안한 곳을 팔상전이라 하며, 법주사의 팔상전이 유명하다.

③ 아라한과를 성취한 성자들인 나한을 모신 곳을 응진전(應眞殿)이라고도 한다.

중생의 병고를 치유해 주는 부처님을 모신 법당을 영산전이라고 한다.

 

3. 팔부중(八部衆)의 하나로, 수미산 남쪽의 금강굴에 살면서 제석천(帝釋天)의 아악을 맡아본다는 신(神)으로 향(香)만 먹고 공중으로 날아다닌다고 하는 이 신의 이름은?

① 가루라(迦樓羅)                건달바(乾闥婆)

③ 아수라 (阿修羅)               ④ 긴나라(緊那羅)

 

4.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가 발견된 탑은?

① 불국사 석가탑                 ② 불국사 다보탑  

③ 감은사지탑                    ④ 분황사모전석탑

 

5. 불탑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탑은 산스크리트어로 스뚜빠(stūpa) 또는 빨리어로 뚜빠(thūpa)라고 한다.

② 불탑의 기원은 부처님 입멸 당시의 경전 기록에서 찾을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목탑, 중국에서는 석탑, 일본에서는 전탑이 발달했다.

④ 여덟 나라의 국왕들이 부처님의 사리를 8등분해 자신들의 나라로 가지고 가서 탑을 세웠다.

 

6. 석가모니의 부촉을 받아, 그가 입멸한 뒤 미래불인 미륵불(彌勒佛)이 출현하기까지의 무불(無佛)시대에 중생을 교화·구제한다는 보살로 지옥에서 고통 받고 있는 모든 중생을 제도하기 전에는 결코 성불하지 않겠다고 서원을 세운 보살은?

① 보현보살                   지장보살  

③ 문수보살                   ④ 관세음보살

 

7. 관세음보살상에 대한 설명과 관련 없는 것은?

① 자비를 상징하는 보살이다.

명부전에 봉안된다.

③ 손에는 연꽃이나 정병(淨甁)을 들고 있다.

④ 11면 또는 천수천안(千手千眼)의 모습도 있다.

 

8. 보살상은 대체로 머리에 보관(寶冠)을 쓰고 있는데, 관세음보살의 정수리와 지장보살이 들고 있는 육환장(六環杖)의 정수리 부분에 모셔진 부처님상은?

① 석가모니불의 화현           비로자나불의 화현

③ 미륵불의 화현               아미타불의 화현

 

9. 사찰 전각의 벽에 그려 넣는 그림으로 수행자가 정진을 통해 본성을 깨달아가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를 찾는 일에 비유해서 그린 선화(禪畵)는?

① 심우도                      ② 감로도

③ 변상도                      ④ 탱화

 

10. 다음은 우리나라 사찰에서의 스님의 소임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① 회주(會主) : 법회를 주관하는 법사, 또는 하나의 회(會, 一家)를 이끌어 가는 큰 어른스님을 말한다.

② 조실(祖室) : 선(禪)종에서 정신적 지도자로 모셔진 스님을 말한다.

③ 주지(住持) : 사찰의 일을 주관하는 스님을 말하는 선종의 용어이다.

④ 방장(方丈) : 모든 교구본사 사찰의 큰 어른스님을 말한다.

 

11. 다음 중, 주불로 모신 부처님과 법당의 이름을 짝 지은 것으로 틀린 것은?

① 석가모니불 - 대웅전             ② 비로자나불 - 대적광전

③ 미륵불 - 원통전                 ④ 아미타불 - 무량수전

 

12.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것은?

① 석가모니불의 성도를 상징하는 수인이다.

녹야원에서의 첫 설법을 상징하는 수인이다.

③ 경주 석굴암의 부처님은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다.

④ 선정인에서 왼손은 그대로 두고, 오른손으로 땅을 가리키는 모습이다.

 

13. 불전사물(佛殿四物)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조석 예불 때 치는 법고, 운판, 목어, 범종의 네 가지 법구를 말한다.

② 법고(法鼓)는 법을 전하는 북이라는 뜻으로 짐승세계의 중생들을 깨우치는 목적이 있다.

운판(雲板)은 청동이나 철로 만든 넓은 판으로, 물에 사는 모든 중생들을 제도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④ 범종(梵鐘)은 조석 예불과 사찰의 큰 행사 때 사용하며, 범종을 치는 근본 뜻은 천상과 지옥을 중생을 제도하기 위함이다.

 

14. 일반적으로 법당은 상단, 중단, 하단의 삼단 구조로 되어 있는데, 각 단에 모셔진 분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상단 - 감로탱화, 중단 - 제석천과 팔부신장, 하단 - 부처님과 보살상

② 상단 - 제석천과 팔부신장, 중단 - 부처님과 보살상, 하단 - 감로탱화

③ 상단 - 부처님과 보살상, 중단 - 감로탱화, 하단 - 제석천과 팔부신장

상단 - 부처님과 보살상, 중단 - 제석천과 팔부신장, 하단 - 감로탱화

 

15. 부처님이 지상에 출현하시기 전에 머물렀던 곳으로, 이곳의 내원궁은 장래 부처가 될 보살의 주거지이며 욕계의 6천 가운데 제4천이다. 이곳은 어디인가?

도솔천(兜率天)                ② 사천왕천(四天王天)

③ 도리천(忉利天)                ④ 야마천(夜摩天)

 

16. 싯닷타 태자의 출가 동기를 가장 바르지 않게 설명한 것은?

① 천상에 태어날 복덕을 짓기 위해서

② 왕궁의 화려한 생활에 환멸을 느껴서

생로병사의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④ 당시의 풍습에 따라 수행을 경험하기 위해서

 

 

17. 다음은 불교의 진리, 즉 법(法)에 대하여 설한 『잡아함경』말씀이다. (   )안에 각각 들어갈 말이 차례로 바르게 연결된 것은?

“법은 세존에 의해 잘 설해졌나이다. 이 법은 ( )에서 밝혀진 것이며, 머지않아 ( )이(가) 있는 것이며, 와서 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며, ( )로(으로) 잘 인도하는 것이며, 또 지혜 있는 이가 저마다 스스로 알 수 있는 것입니다.

① 깨달음, 행복, 열반               ② 현실, 깨달음, 무상

③ 무상, 업보, 해탈                 ④ 현실, 과보, 열반

 

18. 다음 중 삼독심(三毒心)과 삼학(三學)의 관계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탐욕은 청빈하고 맑고 깨끗한 생활인 계(戒)로 다스린다.

② 화는 급히 올라오는 마음을 잠재우는 지혜(智慧)로 다스린다.

③ 어리석음은 자신은 텅 빈 무아로 보는 선정(禪定)으로 다스린다.

④ 탐욕, 화, 어리석음을 흔히 깨달음을 방해하는 삼학이라고 한다.

 

19. 부처님의 초기 제자들은 일일이 규제하지 않아도 마땅히 지켜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할 것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부처님께서는 출가 생활의 기본 방침으로 4의지(依止)를 알려주셨다. 이와 관련이 없는 것은?

정사(精舍)에서 만든 음식에 의지하라.

② 분소의(糞掃衣)를 입는 생활에 의지하라.

③ 진기약(陳棄藥)을 사용하는 생활에 의지하라.

④ 나무 아래에서 좌선하는 생활에 의지하라.

 

20. 다음 중, 비구(比丘, Bhikṣu)에 대한 올바른 설명은?

20세 이상이어야 한다.

② 348계의 구족계를 받으며, 걸사(乞士)라고도 한다.

걸식생활은 불교에서 처음 생겨난 생활풍습이다.

④ 오계와 팔계를 받아 지닌 남자 재가불자를 말한다.

 

21. 재가불자가 수지해야 하는 계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 삼귀의와 오계 ㉡ 사미10계 ㉢ 보살계 ㉣ 십선계 ㉤ 비구250계 ㉥ 식차마나계

① ㉠ ㉡ ㉤               ② ㉡ ㉤ ㉥

㉠ ㉢ ㉣               ④ ㉢ ㉣ ㉥

 

22. 다음은 부처님께 예불을 올릴 때 봉송하는 예불문이다. ( )에 들어 갈 말이 틀린 것은?

지심귀명례 삼계도사 사생자부 시아본사 ( ㉠ )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불타야중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달마야중

지심귀명례 대지문수 사리보살 대행보현보살 대비관세음보살 대원본존( ㉡ )마하살

지심귀명례 영산당시 수불부촉 ( ㉢ ) 십육성 오백성 독수성 내지 천이백제대아라한 무량자비성중

지심귀명례 서건동진 급아해동 역대전득 제대조사 천하종사 일체미진수 제대선지식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 ㉣ )

유원 무진삼보 대자대비 수아정례 명훈가피력 원공법계제중생 자타일시성불도

① ㉠ 석가모니불                  ② ㉡ 미륵보살

③ ㉢ 십대제자                    ④ ㉣ 승가야중

 

23. 다음 중, 관불의식(灌佛儀式)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중국에서 부처님의 탄생일에 독창적으로 만든 의식이다.

② 부처님에 대한 공경을 표시하고 심신을 청정하게 하는 의식이다.

③ 인도의 국왕 즉위 시 바닷물을 정수리에 뿌려 축하한 의식에서 비롯되었다.

④ 후에 일정한 지위에 오르는 수도자의 정수리에 향수를 끼얹는 의식으로 변형되었다.

 

24. 다음의 보기는 새벽 예불 시간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순서를 바르게 나열된 것은?

도량석, 축원, 칠정례, 반야심경, 종성

① 도량석 - 축원 - 칠정례 - 반야심경 - 종성

② 종성 - 축원 - 칠정례 - 반야심경 - 도량석

도량석 - 종성 - 칠정례 - 축원 - 반야심경

④ 종성 - 칠정례 - 반야심경 - 축원 - 도량석

 

25. 부처님께 예불을 드릴 때 봉송하는『반야심경』의 핵심 내용은 무엇인가?

① 보시 바라밀                ② 지계 바라밀

③ 인욕 바라밀                ④ 지혜 바라밀

 

26. 다음은 천수경에 나오는 진언이다. 바르게 연결된 것은?

참회진언 : 옴 살바 못자 모지 사다야 사바하

② 개법장진언 : 옴 자례 주례 준제 사바하 부림

③ 정법계진언 :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④ 호신진언 : 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도로도로 지미 사바하

 

27. 다음은 전통적으로 사찰에서 불자들이 지켜야 할 10재일이다.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8일 - 미타(彌陀)재일       ② 15일 - 약사(藥師)재일

24일 - 관음(觀音)재일      ④ 30일 - 지장(地藏)재일

 

28. 살아 있는 사람이 자신의 사후를 위해 미리 수행과 공덕을 닦아두는 재의식은?

① 7․7재                      ② 영산재

③ 수륙재                     ④ 예수재

 

29. 부처님이나 보살님의 명호와 모습을 끊임없이 마음에 집중함으로써 번뇌와 망상을 없애 깨달음을 이루고 불국정토에 왕생하는 불교의 수행방법은 무엇인가?

① 참선(參禪)                  ② 염불(念佛)

③ 간경(看經)                  ④ 주력(呪力)

 

30. 불교의 계율에 관한 경전을 인도로부터 직접 전해와 번역하여 백제 율종의 기원을 이룩한 분은?

① 겸익        ② 의상         ③ 혜초           ④ 승랑

 

31. 다음 중, 원효대사와 관계없는 것은?

①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의 도리를 깨닫고 유학길을 포기하였다.

② 노래하고 춤을 추며 부처님 법을 일반서민들에게 전하였다.

『금강삼매경』과 「법성게」등을 지었다.

④ 화쟁사상(和諍思想)을 정립했다.

 

32. 다음 중, 신라하대에 선종의 유입과 관련이 깊은 조형물은?

① 승탑(부도)               ② 당간지주

③ 석등                     ④ 불탑

 

33. 고려 시대 보조국사 지눌스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정혜결사(定慧結社)를 결성하여 새로운 수행풍토를 진작했다.

수심결, 직지심경요절 등을 지었으며 삼문 수업을 내걸었다.

③ 선과 교의 조화를 도모하고자 했다.

④ 대한불교조계종의 중천조이다.

 

34. 조선시대 때 시행된 승려의 도성출입금지가 해제된 시기는 언제인가?

① 서기 1890년            ② 서기 1895년

③ 서기 1900년            ④ 서기 1905년

 

35. 근대에 들어 사대문 안에 각황사 포교당을 짓는 등 전국사찰의 대표스님들이 건설한 최초의 종단은 어느 것인가?

① 임제종                 ② 사사관리서

③ 조계종                 원종

 

36. 3 ․ 1 독립선언에 참여하여 서명한 불교계 대표를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손병희, 최린           ② 한용운, 백용성

③ 박한영, 오성월         ④ 백성욱, 김법린

 

37. 조계종의 포교법에서 밝힌 포교의 원칙과 방침이 아닌 것은?

① 수행정진(修行精進)     ② 사교입선(捨敎入禪)

③ 정토구현(淨土具顯)     ④ 수계청정(受戒淸淨)

 

38. 다음 중, 대한불교조계종의 소의경전은 무엇인가?

① 금강경, 전등법어       ② 화엄경, 전등법어

③ 금강경, 육조단경       ④ 법화경, 전등법어

 

39. 대한불교조계종에는 몇 개의 교구본사가 있는가?

① 24개                   25개

③ 28개                   ④ 30개

 

40. 신도법에서 대한불교조계종의 신도등록 시기는 언제인가?

① 사찰에 축원 카드를 작성한 후

② 사찰의 정기법회에 참석한 후

③ 성지순례를 다녀온 후

④ 삼귀의와 오계 수계를 받은 후

 

41. 스승에 대한 존경의 표시로 수계식이나 포살(布薩), 자자(自恣)할 때 무릎을 바닥에 대고 다리를 세운 채 합장하는 자세를 가리키는 말은?(4점)

( 호궤합장 혹은 장궤합장 )

 

42. 부처님에 대한 지극한 마음을 더욱 더 간절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예배의 마지막 끝에 머리를 조아려 무수히 예경하고픈 간절한 심정의 아쉬움을 표하는 예법을 무엇이라 하는가?(4점)

( 고두례, 유원반배 )

 

43. 중국 당나라 때 총림을 개설하면서 선문의 규칙을 제정한 데서 유래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선원에서 결제 때나 큰일을 치를 때에 소임과 그 소임을 맡은 스님의 법명을 적을 방(榜)을 큰 방에 붙이는데,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4점) ( 용상방 )

 

44. 뭍(땅)과 물에 공양을 베풀어 일체 중생을 위로하고 구제하기위해 불법을 강설하고 승보께 공양을 올리는 불교의식으로 최근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것은?(4점) ( 수륙재 )

 

45. 조사스님이 쓴 어록으로 경전의 반열에 이른 경전이며, 조사선 창립선언서로서의 역할을 한 것은 무엇인지 쓰시오.(4점) ( 육조단경 )

 

 

[제2교시]

1. 대한불교조계종 신도품계의 순서를 바르게 열거한 것은?

① 발심-부동-선혜-행도

② 발심-행도-부동-선혜

③ 행도-발심-선혜-부동

④ 부동-행도-발심-선혜

 

2. 재가불자가 수지해야 하는 오계(五戒) 중 첫 번째 덕목은 무엇인가?

① 살생하지 말라.

② 주지 않은 남의 물건을 훔치지 말라.

③ 사음하지 말라.

④ 거짓말을 하지 말라.

 

3. 다음은 『법구경』「제5 우암품(愚闇品)」에 나오는 내용이다. 그 의미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것은?

“잠 못드는 사람에게 밤은 길고 피곤한 나그네에게 길이 멀 듯이, 진리를 모르는 어리석은 사람에겐 생사의 밤길은 길고도 멀어라.”

①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는 바른 진리를 탐구해야 한다.

② 행복에 이르는 길은 내 안에 있음을 알아야 한다.

③ 진리를 깨닫고 행하면서 사는 삶은 자유롭고 행복하다.

존재하는 모든 것과 행위는 과거 전생의 업(業)이기에 어쩔 수 없다.

 

4. 다음 중, 부처님의 최초 재가 신도는 누구인가?

① 교진여                         ② 야사의 부모

③ 빔비사라왕                     ④ 유마거사

 

5. 부처님의 10대 제자 중 천안제일(天眼第一)로 불렸던 비구로서, 부처님의 사촌 동생이었던 수행자의 이름은 누구인가?

① 샤리푸트라                      ② 데바닷타

③ 아누룻다                        ④ 슛도다나

 

6. 기타(祇陀) 태자가 소유하고 있던 숲을 구입하여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을 지어서 부처님께 헌납한 것으로 유명한 사람은 누구인가?

① 아난다(Ānanda)                   ② 수닷타(Sudatta)

③ 수부티(Subhūti)                  ④ 앗사지(Assaji) 

7. 다음은 부처님께서 슈로나 비구에게 준 가르침이다. 괄호 속에 들어갈 말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수행은 마치 악기를 연주하듯 해야 한다. 현을 너무 조이거나 너무 느슨해도 좋은 소리가 나지 않듯이 진리의 길도 그와 같다. 너무 조급히 서두르지 말고 너무 나태하지 않고 항상 ( ㉠ )의 길을 걸으면 언젠가 이 속세의 ( ㉡ )에서 벗어나게 될 것이다.

 

     ㉠ − ㉡                          ㉠ − ㉡

① 중도 − 미혹                    ② 염불 − 중생

③ 염불 − 미망                    ④ 중도 − 진흙

 

8. 결혼하여 외도에 빠져 있던 시댁을 교화시킨 것으로 유명하고, 시아버지가 며느리에게 “네가 내 어머니”라고 하여, 녹자모(鹿子母)라는 별칭을 가졌던 여인의 이름은?

① 비사카                          ② 아난다

③ 난다                            ④ 우파난다

9. 부처님께서 세상을 떠난 뒤에 결집이 이루어졌고, 그때 경장과 율장을 암송해 내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두 비구의 이름은 누구인가?

① 마하카쉬야파 − 도나              ② 아난다 − 우팔리

③ 도나 − 아난다                    ④ 우팔리 − 마하카쉬야파

10. 다음 중, 여래(如來)라는 부처님의 호칭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것은?

① 부처님의 법은 시방삼세에 변함없이 있음을 말한다.

② 부처님의 생애는 열반에 든 것으로 끝난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③ 부처님의 법은 다른 여러 부처님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상징하고 있다.

④ 석가모니 부처님만이 가장 위대한 존재라는 의미이다.

 

11. 부처님이 활동하셨던 당시의 인도 사회는 사상적으로나 종교적으로 극심한 혼란 속에 휩싸여 있었다. 다음 중 불교가 발생할 당시 부처님이 비판한 인도의 사회사상과 거리가 것은?

① 신의론(神意論)              ② 숙명론(宿命論)

③ 연기론(緣起論)              ④ 우연론(偶然論)

 

12. 부처님은 내세나 영혼의 유무와 같은 형이상학적인 질문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질문에 대한 답을 대신하셨다, 다음 중 이러한 부처님의 침묵을 일컫는 말은?

① 무기(無記)                   ② 무처(無處)

③ 무아(無我)                   ④ 무념(無念)

 

13. 다음은 초기경전에서 언급한 일체법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5온(五蘊)은 물질현상인 색(色)과 정신현상인 수상행식(受想行識)을 말한다.

② 12처란 6가지 감각기관과 6가지 감각대상을 합친 것을 말한다.

③ 18계란 일체의 존재를 인식기관과 인식대상, 그리고 인식작용으로 분류한 것을 말한다.

④ 5온, 12처, 18계를 설하신 목적은 물질과 정신이 영구불변함을 확인시켜주기 위함이다.

 

14. 다음 중, 불교의 교리를 설명한 것으로 거리가 것은?

① 부처님의 가르침인 법은 불교에만 한정되지 않는 보편적인 진리이다.

② 모든 것은 독자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상호 관계 속에서 존재한다.

③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중도의 가르침이다.

④ 엄격한 고행을 통해서만 우주의 존재자인 브라만과 아트만이 합일할 수 있다.

 

15. 다음 중, 불교에서 보는 존재의 실상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① 절대적 존재로 고정 불변한다.

연기의 존재로 무상, 무아이다.

③ 일체는 고이며, 해결할 수 없다.

④ 일체는 시간, 공간을 초월하는 절대자의 것이다.

 

16. 연기(緣起)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인연법과 다를 바 없다.

② 인과법과 같다.

③ 세상 모든 것의 상호 관계 작용을 강조한다.

세계의 현상적 관계에만 적용된다.

 

17. 사성제의 설명으로서 바르게 연결된 것은?

제1 고제(苦諦) ; 미혹의 세계는 모든 것이 고통이라고 하는 진리.

제2 집제(集諦) ; 뭐든지 모으고 쌓아 두는 습관을 버려야 한다는 진리.

제3 멸제(滅諦) ; 뭐든지 없애 버리려는 습관을 버려야 한다는 진리.

④ 제4 도제(道諦) ; 도 닦는 고통을 바르게 알아야 한다는 진리.

 

18. 초기 불교 교단에서 최고의 깨달음을 얻었다고 여겨지는 성자의 지위를 가리키는 말은?

① 사다함                    ② 아나함

③ 수라한                    ④ 아라한

 

19. 부파 불교 시대의 특징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① 출가주의를 엄격하게 고수하였다.

② 스승을 따라서 소속된 부파가 결정되기 마련이었다.

떠돌아다니며 포교에 열중하던 시기였다.

④ 부파에 따라 승복의 색깔을 달리하기도 하였다.

 

20. 불멸 후 100년경, 아난다의 제자였던 야사비구의 주도로 바이샬리에서 이루어졌으며, 주로 계율에 대한 해석상의 차이를 문제 삼았던 결집은?

① 1차 결집                  ② 2차 결집

③ 3차 결집                  ④ 4차 결집

 

21. 소승과 대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대승 불교 쪽에서는 소승 불교 쪽을 폄하했다.

② 대승 불교에서는 힌두교의 신앙 형태를 다양하게 수용했다.

소승 불교 쪽에서는 대승 불교 쪽을 존경했다.

④ 대승에서는 소승 불교와 다른 독자적인 경전을 편찬했다.

 

22. 이 사람은 1989년 세계참여불교연대를 설립해서 ‘불교의 가르침으로 세상 바꾸기’를 시도한 사람이다. ‘신자유주의 반대’와 ‘지속가능한 개발’, 그리고 ‘평화운동’ 등 사회참여를 통한 불교 포교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이 사람은 누구인가?

① 미얀마의 아웅산 수지      ② 태국의 슐락 시바락사

③ 베트남 출신의 틱낫한      ④ 티베트의 달라이 라마

 

23. 치우치고 그릇된 미망(迷妄)을 떠나 지혜를 터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주장했던 대승 사상은?

① 유식(唯識) 사상           ② 보시(布施) 사상

③ 중관(中觀) 사상           ④ 중화(中華) 사상

 

24. 다음 중, 현상계가 그대로 진리라는 법계연기(法界緣起)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사법계                     ② 이법계

③ 사사무애법계               ④ 일법계

 

25. 불성(佛性, buddhatva)에 대한 설명으로서 잘 들어맞는 말은?

① 소승불교의 기본 개념으로서 부파시대 때 가장 중요시되었다.

중생에게 본래부터 갖추어진 부처될 성품을 가리킨다.

③ 부파불교에서 가장 중요시하던 개념이 불성이다.

④ 깨달아야만 갖게 되는 특성이 불성이다.

 

26. 중생이 사는 이 세상이 바로 온갖 아름다운 꽃으로 가득한 법계라는 뜻을 담은 단어는 무엇인가?

① 수다라해(修多羅海)       ② 보현중(普賢衆)

③ 화엄장(華嚴藏)           ④ 보장엄(寶莊嚴)

 

27. 문수보살이 사자를 타고 다닌다면, 보현보살은 무엇을 타고 다니는가?

① 기린                     ② 코뿔소

③ 사자                     ④ 코끼리

 

28. 대승 보살이 보시를 할 때 반드시 갖추고 점검해야 할 바라밀은 무엇인가요?

① 정진바라밀                ② 선정바라밀

③ 인욕바라밀                ④ 반야바라밀

 

29. 종파의 성립 당시부터 지금까지도 변함없이 가장 많은 사람들이 믿고 따르는 정토신앙을 담고 있는 경전은?

① 법화경(蓮華經)             ② 열반경(涅槃經)

③ 가치나경(迦絺那經)         ④ 무량수경(無量壽經)

 

30. 다음 중, 중국 선종의 발달사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① 달마, 혜가, 승찬, 도신, 홍인을 거쳐 발전하였다.

② 홍인 이후 신수와 혜능에 의해 북종과 남종으로 나누어졌다.

③ 북종은 돈오선, 남종은 점수선을 각각 선양하였다.

④ 남종 계통인 마조의 홍주종에 이르러 조사선의 생활종교로 발전하였다.

 

31. 중국 송나라 시대 『서장(書狀)』을 지어 간화선을 체계화한 선사는 누구인가?

① 대혜종고                  ② 무문혜개

③ 임제의현                  고봉원묘

32. 참선수행은 알음알이를 쉬는 것이라고 하는데, 다음 중 알음알이라 할 수 없는 것은?

① 이것은 옳고 저것은 그르다.

② 이것은 맞고 저것은 틀리다.

③ 이것은 이익 되고 저것은 손해다.

④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다.

 

33. 다음 중, 참선 이전의 관법수행으로 탐욕이나 애욕이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인생의 무상함을 깨우치게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되는 수행법이라 할 수 있는 것은?

① 부정관                   ② 자비관

③ 인연관                   ④ 수식관

 

34. 위빠사나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① 본래 인도나 상좌부불교의 수행법이었지만 지금은 많은 나라에 퍼져있다.

어원적 의미로 ‘꿰뚫어 봄’,‘통찰’을 뜻하며 한문으로는 관법(觀法)이라 번역한다.

한자로는 지(止)로 번역되며 마음을 어느 한 곳에 집중하는 수행법이다.

모든 것이 무아(無我)이고 무상(無常)임을 꿰뚫어 보고 알아차리는 수행법이다.

 

35. 다음 중, 화두 드는 방법으로 바른 것은?

① 말이나 생각으로 헤아려 보면서 화두를 든다.

② 반드시 호흡에 맞추어 화두를 들어야 한다.

③ 화두를 대상으로 논리적으로 관해 나가야 한다.

화두와 나 사이에 빈틈이 없어야 한다.

 

36. 한국에 불교의 수행법인 선(禪)이 본격적으로 전래된 시기는?

① 신라 초기                  ② 신라 말

③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      ④ 고려 말

 

37. 원효스님이 널리 알린 『화엄경』의 ‘일체무애인 일도출생사(一切無碍人 一道出生死)’란 구절에서 따왔다고 하는 이 노래의 제목은?

① 회심곡     ② 왕생가      ③ 무애가      ④ 백발가

 

38. 사찰의 삼성각에 진영을 모셔 둔 곳이 있을 정도로 이름난, 고려 말 선풍을 떨친 대선사인 한국불교계의 삼화상(三和尙)이 아닌 분은 누구인가?

① 지공       ② 나옹       ③ 무학         ④ 보우

 

39. 미국에서 현실적 불교를 일구고 있다는 평가를 받은 젠 피스메이커 오더((Zen Peacemaker Order, ZPO)의 정신과 목표라고 할 수 없는 것은?

참선이나 명상 등 개인적 수행만 중시한다.

② ‘있는 그대로의 현실, 그 자체’를 화두로 삼고 수행한다.

③ 지역사회에 기여할 다양한 사회봉사 방안을 마련한다.

④ 사회단체 참여, 복지, 생명평화운동 등에 관심을 기울인다.

 

40. 다음 중,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불자의 바람직한 태도라고 할 수 없는 것은?

① 나부터 바뀌면 세계가 바뀐다는 적극적인 생명관을 갖는다.

② 인간의 행복을 위해 자연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정책을 추진한다.

③ 모든 것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연기적 세계관을 갖는다.

④ 인간 생활의 기본적인 요소인 의식주 생활에서부터 근검절약을 생활화 한다.

 

41. 현 대한불교조계종의 종정과 총무원장 스님의 법명을 쓰시오.(4점)

종정 : ( ㉠ )스님, 총무원장 : ( ㉡ )스님 ( ㉠진제, ㉡자승 )

 

42. 대승보살이 중생을 대할 때 품어야 하는 마음 씀씀이인 사무량심에 해당하는 덕목을 쓰시오.(4점)

자(慈 ), 비(悲), 희(喜), 사(捨)

 

43. 부처님께서 사람들의 능력과 처지 등을 간파한 다음에 그 수준에 맞추어서 각기 설법해 주었던 방식을 일컫는 말은 무엇인가요? 사자성어(四字成語)로 쓰시오.(4점)

대기설법(對機說法)

 

44. 다음은 부처님의 최초 법문인 ‘초전법륜’의 내용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을 2자로 쓰시오.

(4점)

“수행자여, 이 세상 사람들은 두 가지 극단으로 치우치는 길이 있느니라. 그 하나는 육체의 요구대로 자신을 내맡기는 쾌락의 길이고, 또 하나는 육체를 너무 지나치게 괴롭히는 고행의 길이다. 수행자는 이 두 극단을 버리고 ( )를 배워야 한다.

( 중도 )

 

45.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등 북방 불교권에서 선종의 공안이나 화두를 통해서 수행자로 하여금 큰 의심을 일으키고 스스로 그 의심을 해결하여 깨달음을 얻게 하는 불교의 수행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4점) ( 간화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