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포교사고시 공부방/포교사고시 기출문제

21회 포교사고시 기출문제 [1교시] - 2016년 2월 20일 시행

moksha 2017. 6. 8. 15:01

21회 일반포교사 자격고시 문제지

 

[제1교시]

1. 연등불 일화에 나오는 게송의 한 부분이다. 괄호 속에 들어갈 말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허공에 던져진 ( ㉠ )가 땅으로 떨어지듯 나는 반드시 부처님이 되리라.

  깊은 잠에서 깨어난 ( ㉡ )가 포효하듯이 나는 반드시 부처님이 되리라.

 

     ㉠ ― ㉡              ㉠ ― ㉡              ㉠ ― ㉡          ㉠ ― ㉡

① 사과 ― 코끼리   ② 흙덩이 ― 코끼리   흙덩이 ― 사자    ④ 사과 ― 사자

 

2. 싯다르타 태자가 처음으로 존재의 고통에 눈을 뜨게 된 계기가 되었던 축제로서 해마다 열렸던 행사의 이름을 고르세요.

농경제           ② 쿰브멜라           ③ 소리제            ④ 디파발리

 

3. 싯다르타 태자가 했던 말이다. 괄호 속에 들어갈 말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나는 ( ㉠ )하는 생사의 세계에서 좋은 과보를 바라고 출가한 것이 아닙니다. 그와 같은 속박을 벗어나 ( ㉡ )을 얻기 위해서 출가했습니다.

     ㉠ ― ㉡            ㉠ ― ㉡              ㉠ ― ㉡             ㉠ ― ㉡

① 순회 ― 발견     ② 윤회 ― 해탈       ③ 윤회 ― 구속      ④ 순회 ― 해탈

 

4. 출가한 뒤 싯다르타의 행보에 대해서 잘못 서술한 항목을 고르세요.

야쇼다라는 남편의 출가 소식을 듣자마자 출가의 길을 떠났다.

② 야쇼다라는 마부 찬나로부터 남편의 출가 소식을 들었다.

③ 싯다르타는 야쇼다라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고 길을 떠났다.

④ 찬나는 태자의 보석 장신구를 야쇼다라에게 전해 주었다.

 

5. 출가하여 고행하던 싯다르타 태자가 고행을 버린 이유를 서술해 놓았다. 거리가 가장 내용을 고르세요.

① 고행은 수단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았다.

② 몸을 괴롭히는 것은 쓸데없다고 간파했다.

고행이 너무 힘들어서 따라갈 수 없었다.

④ 궁극적인 해탈과도 멀어져 간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6. 석가모니께서 정의를 내린 브라만 개념에 합치하는 항목은 어떤 것인가요?

선행을 실천하는 이가 진정한 브라만이다.

② 고행을 하는 이가 진정한 브라만이다.

③ 나체행을 하는 이가 진정한 브라만이다.

④ 제사를 정성껏 올리는 자가 진정한 브라만이다.

 

7. 석가모니불께서 정각을 얻은 후 선정에 몰입해 있던 초기에 지나가는 대상(隊商) 형제가 공양을 바친 일화는 잘 알려져 있다. 그들의 이름으로 쌍을 이룬 항목을 고르세요.

① 무찰린다 ― 발리카

탓푸사 ― 발리카

③ 탓푸사 ― 아난다

④ 아난다 ― 탓푸사

 

8. 석가모니불은 스스로 자각한 진리의 내용을 사람들에게 말할 필요를 느끼지 않았다. 그때, 그 생각을 바꾸어 준 역할은 누가 담당하였나요?

① 수미 ② 수지 ③ 범천 ④ 범부

 

9. 석가모니 부처님은 정각을 얻고 나서 이렇게 생각하였다. 괄호 속에 들어갈 말이 바르게 연결된 항목을 고르세요.

 어렵게 도달한 이 진리는 깊고, 어렵고, 섬세하고, 고상하고, 단순한 사려를 넘어서는 것이다.

 세상 사람들은 이 진리를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들은 ( ㉠ )에 사로잡혀 지내기 때문에,

 이 깊고 미묘한 ( ㉡ )의 이치를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 ― ㉡          ㉠ ― ㉡          ㉠ ― ㉡          ㉠ ― ㉡

① 소란 ― 연꽃   ② 소동 ― 연화   ③ 욕망 ― 안목   ④ 집착 ― 인연

 

10. 부처님께서는 함께 고행했던 다섯 명의 거처를 알고자 천안으로 살펴본 뒤에 그 장소를 알아내었다. 그곳은 어딘가요?

녹야원         ② 수다원         ③ 룸비니원       ④ 녹자모원

 

11. 석가모니 부처님의 전도 선언으로 알려져 있는 명구이다. 관련된 설명 가운데 거리가 것을 고르세요.

   처음도 좋고 중간도 좋고 끝도 좋은, 도리에 맞고 언설이 잘 정돈된 진리를 설하라.

—율장 대품중에서

① 중생의 애민을 위해 설법하라.

하늘의 신들만을 위해서 설법하라.

③ 중생의 안락을 위해 설법하라.

④ 인간의 이익을 위해 설법하라.

 

12. 부처님께서는 설법 중에 “온 세상이 불타고 있다.”라고 가르쳤다. 그 의미에 부합하는 항목은 어떤 것인가요?

탐, 진, 치, 삼독(三毒)의 불에서 벗어나는 것이 해탈이라는 뜻이다.

② 불이 타고 있는 것과 같은 세상의 붉은 색을 말한다.

③ 세상 사람들이 모두 욕심 없이 산다는 뜻이다.

④ 불로 태워 없앨 수 있다면 불을 지르라는 의미이다.

 

13. 빔비사라 왕은 다음과 같은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나서 자기 소원 5가지를 모두 이루었다고 말했다. 이 설법을 가리켜서 무엇이라고 이르는가?

이것은 괴로움입니다.

이것은 괴로움의 발생입니다.

이것은 괴로움의 소멸입니다.

이것은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입니다.

① 고통의 설법② 고통의 소멸법③ 3제(諦) 설법④ 4제(諦) 설법

 

14. 석가모니 부처님의 초기 설법 단계에서 특히, 재가자들에게 가장 강조했던 셋을 쌍으로

모았다. 그것에 합치하는 항목을 고르세요.

① 보시(布施), 인욕(忍辱), 정진(精進)

② 보시, 인욕, 생천(生天)

③ 인욕, 지계(持戒), 정진

보시, 지계, 생천

 

15. 석가모니불의 제자들 가운데서 지계 제일로 꼽히는 수행자의 이름을 고르세요.

① 아난다      ② 우팔리       ③ 수파리       ④ 카쉬야파

 

16. 아버지 숫도다나왕의 장례를 마친 뒤 부처님께서 양어머니인 마하빠자빠띠를 교화하신 일과 거리가 것은?

마하빠자빠띠가 직접 지은 황금빛 가사의 공양을 거절하시다가 세 번 거듭 청한 연후에야 받아주셨다.

② 마하빠자빠띠는 세 번이나 출가하겠다는 요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스스로 머리를 깎은 후 부처님께 찾아왔다.

③ 부처님을 찾아와 출가를 허락해달라는 마하빠자빠띠의 간청을 아난다가 부처님께 눈물로 세 번이나 거듭 전하였다.

④ 부처님은 비구니가 비구를 공경하는 여덟가지 법을 받아들이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마하빠자빠띠의 출가를 허락하셨다.

 

17. 로히니 강을 사이에 두고 사꺄족과 꼴리야 족의 물싸움이 벌어졌을 때 부처님께서 행하신 교화 행적과 관련된 일들을 잘못 기술한 것은?

① 대치하던 두 종족은 부처님의 가르침에 의해 화해하고 불법을 널리 믿게 되었다.

사까족과 꼴리야족은 먼 조상 때부터 오래도록 전쟁을 치르면서 원한이 깊은 관계였다.

③ 처음엔 논에서 농부들끼리 물싸움으로 시작되었지만 나중에는 군대를 동원하여 전쟁을 하려는 분위기로 치달았다.

④ 이 일로 두 종족은 각각 이백오십 명으로 하여금 부처님의 시중을 들게 했는데, 오백명 모두가 부처님의 제자가 되었다.

 

18. 불교교단의 안거가 끝나는 날에 수행자들이 모두 한 자리에 모여 대중들이 순서대로 모두 평등하게 돌아가면서 자신의 잘못을 고백하고 드러내 참회하는 의식을 자자(自恣)라고 하는데, 이 자자에서 고백과 참회의 대상이 되는 세 가지 일 즉, 3사[三事]는 무엇인가?

견(見), 문(聞), 의(疑)

② 문(聞), 사(思), 수(修)

③ 신(身), 구(口), 의(意)

④ 언(言), 행(行), 심(心)

 

19. 깨달음을 이루신후 7년, 사왓티에 머무시던 부처님은 누구에게도 알리지 않은 채 조용히 가사와 발우를 들고 33천으로 올라가 그 해 우기를 제석천과 마야부인, 그리고 천녀들에게 설법하며 지내셨다. 부처님께서 이 같은 행적을 보이신 이유에 대해 바르게 말한 것은?

① 찾아오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휴식을 취하시기 위하여

② 일찍 돌아가신 어머니가 33천에 태어나셨는지 직접 확인하시기 위하여

명성과 이익을 탐하고 종족과 계급 간에 무리를 짓는 제자들을 경책하기 위하여

④ 비약적으로 성장한 불교 공동체를 시기한 이교도들의 견제와 공격을 누그러뜨리기 위하여

 

20. 갑과 을의 대화 내용에 대한 옳지 않은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갑 : 이번에 출가한 분은 나이가 15살이라고 하던데?

을 : 그래? 나이가 젊구먼. 그러나 깨달음은 나이순이 아니니 우리 함께 그의 수행을 잘 도와주세.

갑 : 그렇지. 그러세.

① 나이가 어려 여러 가지 수행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배려한 것이다.

② 만 20세 미만의 출가 수행자중 남자는 사미, 여자는 사미니라고 한다.

사미나 사미니는 스님이 아니므로 오계를 다 지킬 필요는 없다.

④ 미성년자의 출가는 허락 되지만 정식 비구로 인정되지 않는다.

 

21. 다음 중 부처님의 십대제자인 가섭존자를 설명한 것끼리 바르게 연결된 것은?

ㄱ. 영산회상에서 염화미소로써 마음 법을 전수받았다.

ㄴ. 수행력이 탁월하여 두타제일(頭陀第一)로 알려 졌다.

ㄷ. 비구니 교단을 발전시키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ㄹ. 재가자들을 상대로 부처님 말씀을 해설하는데 뛰어났다.

ㅁ. 부처님 입멸 후 경장(經藏)과 율장(律藏)의 결집을 선도하였다.

ㄱ, ㄴ, ㅁ      ② ㄱ, ㄷ, ㄹ     ③ ㄴ, ㄷ, ㄹ      ④ ㄴ, ㄷ, ㅁ

 

22. 부처님의 출가 동기로 전해지고 있는 사문유관(四門遊觀)의 내용 중 태자가 왕궁의 북문을 벗어날 무렵 만난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

① 병든 자         ② 늙은 자        ③ 죽은 자         ④ 수행자

 

23. 부처님의 초기 제자들은 일일이 규제하지 않아도 마땅히 지켜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할 것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부처님께서는 출가 생활의 기본 방침으로 4의지(依止)를 알려주셨다. 이와 관련이 없는 것은?

① 걸식하는 생활에 의지하라.

② 분소의를 입는 생활에 의지하라.

③ 동물의 대소변을 이용해 만든 진기약(陳棄藥)을 사용하는 생활에 의지하라.

비가 지속되는 우기에는 한 곳에 정착하여 일체 외출하지 않는 생활에 의지하라.

 

24. 부처님께서 메기야 장로에게 설하신 가르침 가운데, 진리의 길을 가고 그 열매를 따도록 도와줄 다섯 가지 법은 무엇인가?

① 신(信), 정진(精進), 염(念), 정(定), 혜(慧)

선지식(善知識), 지계(持戒), 다문(多聞), 정진(精進), 지혜(智慧)

③ 보시(布施), 지계(持戒), 인욕(忍辱), 선정(禪定), 지혜(智慧)

④ 자비희사(慈悲喜捨), 지혜(智慧)

 

25. 부처님이 지상에 출현하시기 전에 머물렀던 곳으로, 이곳의 내원궁은 장래 부처가 될 보살의 주거지이며 욕계의 6천 가운데 제4천이다. 이곳은 어디인가?

도솔천(兜率天)      ② 사천왕천(四天王天)      ③ 도리천(忉利天)      ④ 야마천(夜摩天)

 

26. 싯닷타 태자의 출가 동기를 가장 바르지 않게 설명한 것은?

천상에 태어날 복덕을 짓기 위해서

② 왕궁의 화려한 생활에 환멸을 느껴서

③ 생로병사의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④ 당시의 풍습에 따라 수행을 경험하기 위해

 

27. 부처님의 10대 제자 중 천안제일(天眼第一)로 불렸던 비구로서, 부처님의 사촌 동생이었던 수행자의 이름은 누구인가?

① 샤리푸트라        ② 데바닷타        ③ 아누룻다        ④ 슛도다나

 

28. 다음은 부처님께서 슈로나 비구에게 준 가르침이다. 괄호 속에 들어갈 말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수행은 마치 악기를 연주하듯 해야 한다. 현을 너무 조이거나 너무 느슨해도 좋은 소리가 나지 않듯이 진리의 길도 그와 같다. 너무 조급히 서두르지 말고 너무 나태하지 않고 항상 ( ㉠ )의 길을 걸으면 언젠가 이 속세의 ( ㉡ )에서 벗어나게 될 것이다.

     ㉠ − ㉡             ㉠ − ㉡             ㉠ − ㉡             ㉠ − ㉡

중도 − 미혹      ② 염불 − 중생      ③ 염불 − 미망      ④ 중도 − 진흙

 

29. 다음은 부처님의 전법선언이다. 이와 관련하여 ( )에 알맞은 말은 무엇인가?

“비구들이여, 나는 ( )의 굴레에서 해방되었다. 그대들 역시 ( )의 굴레에서 해방되었다. 이제 법을 전하러 길을 떠나라. 많은 사람의 이익을 위해, 많은 사람들의 행복을 위해, 세상을 불쌍히 여겨 길을 떠나라. 마을에서 마을로, 두 사람이 같은 길을 가지 말고 혼자서 가라.”

 

① 하늘과 땅        ② 남자와 여자        ③ 스승과 제자        ④ 신과 인간

 

30. 고행을 그만두시고 난 후 부처님의 깨달음의 전후 순서에 대해 바르게 열거한 것은?

① 사선정 – 사무색계정 – 신족통 - 누진통

② 무소유처정 – 사선정 – 타심통 - 누진통

사선정 – 숙명통 – 천안통 - 누진통

④ 천안통 – 천이통 – 타심통 – 누진통

 

31. 다음 중 부처님의 전법활동의 순서가 바르게 된 것은?

㉠ 깟사빠 삼형제의 제도 함 ㉡ 빠세나디왕을 귀의시킴

㉢ 난다를 출가시킴 ㉣ 야사를 귀의시킴

 

① ㉠-㉣-㉢-㉡        ② ㉠-㉣-㉡-㉢       ③ ㉣-㉠-㉢-㉡        ④ ㉣-㉠-㉡-㉢

 

32. 부처님이 성도 후 고향을 다시 방문하셨을 때 처음으로 향하여 하룻밤을 머무신 장소는 어디인가?

성 밖 니그로다숲                        ② 숫도다나왕의 궁전

③ 태자시절 머물던 궁전                    ④ 마야왕비가 머물던 궁전

 

33. 탐, 진, 치, 삼독(三毒)에 대한 부처님의 교설과 가장 거리가 것을 고르세요.

① 탐욕은 보시로 없애야 한다.

삼독은 저절로 사라지는 번뇌일 따름이다.

③ 분노는 인욕하면서 억제해야 한다.

④ 무지는 선행을 실천함으로써 없애 나간다.

 

34. 카쉬야파 삼형제가 부처님의 교단에 귀의하게 된 일화이다. 가장 관련이 없는 항목은 어떤 것인가요?

① 우루빌라 카쉬야파는 제자 500명을 데리고 귀의했다.

② 우루빌라 카쉬야파가 맏형이다.

③ 1,250명에 달하는 초기 교단 구성원 중 1,000명이 삼형제의 제자들이었다.

부처님께서는 신통력을 전혀 쓰지 않고 교화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35.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정해 둔 출가와 교단 입문의 원칙에 합치하는 항목은 어떤 것인가요?

① 삭발(削髮), 고행(苦行), 3귀의

② 염의(染衣), 가사(袈裟), 5귀의

삭발, 가사, 3귀의

④ 삭발, 염의, 5귀의

 

36. 부처님의 고행 시절, 함께 수행했던 다섯 비구를 찾아가는 길에 만난 첫 인물은 아지비카 수행자로 알려져 있다. 그의 이름을 고르세요.

① 우팔리          ② 아난다          ③ 카쉬야파           ④ 우파카

 

37. 성도(成道)의 과정에서 얻게 되는 갖가지 능력 가운데서 번뇌를 말끔히 없애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나요?

① 축지통(縮地通)  ② 천안통(天眼通)  ③ 누진통(漏盡通)     ④ 타심통(他心通)

 

38. 출가한 싯다르타 태자의 수행법에 대한 설명이다. 바른 것을 고르세요.

① 처음부터 고행하기는 매우 어려웠다.

② 고행하는 수행자들이 한심하다고 생각했다.

③ 고행는 수행자들의 목적을 듣고서 비난했다.

온갖 고행 수행법을 따라 해 보았다.

 

39. 싯다르타 태자가 사문유관(四門遊觀)을 통해서 경험하고 터득한 사실과 거리가 것은?

① 살아가는 것이 고통이라는 사실.

② 늙어가는 것이 괴롭다는 사실.

병들지 말아야겠다는 사실.

④ 존재의 고통이 죽는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

 

40. 싯다르타 태자가 출가의 길을 떠났을 때, 몇 살이었나요?

29세        ② 19세       ③ 49세        ④ 39세

 

41. 아버지는 이 정사를 지어 바쳤지만 아들은 아버지를 폐위시키고 왕이 되었으며 데와닷따의 반역에 동조하여 부처님을 해치려 시도하는 데 협력했다. 데와닷따의 반역이 일어난 곳이기도 한 마가다국에 있었던 이 정사의 이름을 쓰시오. [죽림정사]

 

42. 까삘라왓투에서의 사흘째를 맞이하신 부처님께서는 숫도다나왕으로부터 왕위를 물려 받는 대관식과 결혼식을 앞둔 태자를 출가시키셨다. 양육모인 마하빠자빠띠가 나은 부처님의 이복동생으로 부처님이 출가하신 후 태자의 자리를 지키다가 부처님의 고향 방문길에 출가한 이 사람은 누구인지 쓰시오. 

   [난다]

 

43. 아래 [보기]가 설명하는 불교의 인물은?

[보기]

그는 왕에 못지않게 호화로운 생활을 하고 있었다. 그는 젊고 어여쁜 아내와 많은 시녀들에게 둘러 싸여 애욕의 생활에 빠져 있었다. 하루는 흥겨운 잔치를 끝내고 잠에서 깨어난 그는 그때까지 지쳐서 자고 있던 여자들의 흐트러진 모습을 보았다. 그토록 아름답던 시녀들의 추하게 자는 꼴에 구역질이 치미는 것을 느꼈다. 그는 견딜 수 없어 밖으로 뛰쳐나와 괴롭다고 외치면서 돌아다닐 때 부처님께서 그를 불러 법을 설하였다.

그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자 크게 기뻐하며 마음은 점차 안정이 되었다. 그리고 지나치게 자기자신에게 집착한 것이 다시없이 어리석은 일임을 알았다. 부처님은 그에게 인생의 외로움을 이야기하고 그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길을 가르쳐 주셨던 것이다. 그는 그 자리에서 출가하여 비구가 되었다. 얼마 후 그의 아버지도 아들 뒤를 따라 삼귀의(三歸依)와 오계(五戒)를 받고 제자가 됨으로써 교단사상 최초의 남자 재가신도(우바새)가 되었다. 그의 어머니도 마찬가지로 부처님의 제자가 되어 최초의 여자 재가(우바이)가 되었다. [야사]

 

44. 부처님의 제자가 되어 25년 동안 시자(侍者)로서 보필하였고 여성의 출가를 세 번이나 간청하여 허락을 받아내었으며 부처님이 입적한 후에 경전을 암송했던 이는 누구인가?

[아난다] [아난] [아난다 존자] [아난 존자]

 

45. 부처님의 신체에 갖추어져 있다고 하는 뛰어난 상호(相好)는 우연히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다겁생에 걸쳐 쌓은 선근과 보살행의 결과이다. 이 상호를 갖춘 이는 세속에 있으면 위대한 전륜성왕이 되고 출가하면 부처님이 된다고 한다. 부처님의 상(相)과 호(好)는 각각 몇 개인가?

[상(相): 32개 / 호(好): 8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