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8회 포교사 자격고시
[제1교시]
1. 이곳은 부처님이 지상에 출현하시기 전에 머물렀던 곳으로, 이곳의 내원궁은 장래 부처가 될 보살의 주거지이며 욕계의 6천 가운데 제4천이다. 이곳은 어디인가?
① 도솔천 ② 도리천 ③ 야마천 ④ 타화자재천
2. 다음은 수행자 수메다가 디빵까라(Dīpaṃkara, 燃燈) 부처님께 수기를 받는 장면이다. ( )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수메다는 감격하여 성스러운 부처님의 두 발에 머리를 조아렸다. 땅이 질척거렸다. 수메다는 곧바로 사슴가죽 옷을 벗어 덮었지만 진흙을 다 가리기에는 부족하였다. 묶었던 머리를 풀어헤쳐 남은 부분을 마저 덮고서 말씀드렸다. “부처님, 이곳을 밟고 지나가소서.” “사람의 머리카락을 어찌 밟겠는가.” “오직 부처님만이 그러실 수 있습니다.” 디빵까라 부처님께서 환한 미소를 보이면서 말씀하셨다. “백겁의 세월이 흐른 뒤, 그대는 사바세계에서 여래(如來)·무소착(無所着)·지진(至眞)·등정각(等正覺)이 되어 ( )라 불릴 것이다.” |
① 시끼 ② 멧떼야 ③ 사까무니 ④ 꼬나가마나
3. 다음 보기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탄생에 관한 기록이다. 올바른 내용끼리 묶은 것은?
[ 보 기 ]
ㄱ. 마야부인은 여섯 개의 상아를 가진 흰 코끼리가 옆구리로 들어오는 꿈을 꾸었다. ㄴ. 숫도다나왕은 마야부인의 출산을 돕기 위해 룸비니 동산에 아름다운 궁전을 지었다. ㄷ. 마야부인은 룸비니 동산에서 아소까 나무(無憂樹) 가지를 잡고 왕자를 순산하였다. ㄹ. 싯닷타 태자는 마야부인의 오른쪽 허벅다리를 통해 탄생했다. ㅁ. 싯닷타 태자는 탄생하자마자 사방으로 일곱 걸음을 걸으면서 탄생게를 외쳤다. |
① ㄱ, ㄴ, ㄷ ② ㄴ, ㄷ, ㄹ
③ ㄴ, ㄹ, ㅁ ④ ㄱ, ㄷ, ㅁ
4. 싯닷타 태자가 탄생하자 아시따 선인이 눈물을 흘리며 슬퍼하였다. 그 이유는?
① 태자가 단명할 것 같아서
② 본인이 진리의 법을 듣지 못할까봐서
③ 태자가 불행한 운명을 타고나서
④ 사까족에 재앙이 올 것 같아서
5. 부처님의 출가 동기로 전해지고 있는 사문유관(四門遊觀)의 내용 중 태자가 왕궁의 북문을 벗어날 무렵 만난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
① 병든 자 ② 늙은 자 ③ 죽은 자 ④ 수행자
6. 출가를 만류하는 부왕에게 싯닷타 태자가 출가하지 않는 조건으로 제시한 4가지 소원은 무엇인가?
① 구하는 것은 무엇이든 얻는 것, 싫은 사람과 만나지 않는 것, 사랑하는 이와 영원히 함께 사는 것, 영생을 얻는 것
② 사랑하는 이와 영원히 이별하지 않는 것, 영원한 젊음, 영원한 건강, 영원한 삶,
③ 영원한 권력, 영원한 부귀, 영원한 명예, 영원한 쾌락
④ 전 세계를 통치하는 것, 충성스런 신하, 아름다운 궁전, 종족간의 화합
7. 다음의 사상가의 입장에 대한 사문 고따마의 생각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 박가와 : “육체는 속박입니다. 온갖 고통덩어리인 육체를 학대하고 괴롭혀 스스로 정화하면 그 보상으로 다음 생에는 안락한 생활을 누리게 되지요.” ◦ 알라라깔라마 : “나는 열여섯에 출가하여 104년 동안 수행에 매진했습니다. 그 기나긴 세월에 옛 선인들의 가르침에서 내가 터득한 최고의 경지는 무소유처정(無所有處定)입니다.” |
[ 보 기 ] ㉠ ‘박가와여, 당신은 하늘나라의 즐거움을 쟁취하려고 희생과 고통을 감수하지만 그 또한 윤회의 관점에서 본다면 고통의 연속일 뿐입니다.’ ㉡ ‘박가와여, 당신의 말이 맞습니다. 육체는 욕망의 근원이니 욕망을 없애려면 목숨을 버리는 것이 최고의 방법이군요.’ ㉢ ‘알라라깔라마여, 당신은 근심과 불안이 없는 경지에 오르셨군요. 무소유의 정신이야말로 마음의 평화를 얻는 최고의 덕목이라 할 수 있겠군요.’ ㉣ ‘알라라깔라마여, 무소유처의 선정에 이르러도 모든 고통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군요. 이 가르침으로는 진리의 세계에 이를 수 없습니다.’ |
① ㉠ ㉢ ② ㉠ ㉣
③ ㉡ ㉢ ④ ㉡ ㉣
8. 다음 중 부처님의 수행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태자는 선정주의자(禪定主義者)인 웃다까라마뿟따가 제시하는 비상비비상처정(非想非非想處定)을 최고의 경지로 인정하고 이 경지를 달성하는 것을 수행의 목표로 삼았다.
② 태자는 처음부터 철저한 고행주의자였으며, 설산에서 행한 6년간의 극심한 고행의 결과로 마침내 성도를 이루었다.
③ 싯닷타 태자는 오직 선정수행에만 몰입했으며 처음부터 고행주의 전통에 대해서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④ 태자는 극심한 금식을 비롯해 오랫동안 고행에 몰입했으나 그것이 성도(成道)의 길이 아님을 깨닫고 고행을 포기했다.
9. 고행을 그만두시고 난 후 부처님의 깨달음의 전후 순서에 대해 바르게 열거한 것은?
① 사선정 – 사무색계정 – 신족통 - 누진통
② 무소유처정 – 사선정 – 타심통 - 누진통
③ 사선정 – 숙명통 – 천안통 - 누진통
④ 천안통 – 천이통 – 타심통 – 누진통
10.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얻을 순간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① 태자는 보리수 아래에서 선정이 깊어지면서 단계적으로 깨달음을 이루었다.
② 기원전 589년 12월 8일 태자는 보리수 밑에서 35세의 나이로 무상정등각을 이루었다.
③ 태자가 깨달음을 얻자 보리수 아래로 수많은 천인들이 찾아와 꽃을 뿌리며 축복했다.
④ 보리수 아래에서 완전한 깨달음을 이룬 순간을 설산수도상(雪山修道相)이라고 한다.
11. 부처님이 수행하실 때 등장하는 인물과 그들의 역할을 바르게 연결 지은 것은?
A항 |
B항 |
A. 마라 B. 수자따(善生) C. 솟티야(吉祥) |
ㄱ. 고행을 포기한 싯닷타 태자에게 우유죽 공양을 올렸다. ㄴ. 태자가 깔고 앉을 수 있는 보드라운 꾸사풀 8다발을 선물했다. ㄷ. 온갖 위협과 유혹으로 태자의 수행을 방해하였다. |
① A - ㄱ, B - ㄴ, C - ㄷ ② A - ㄷ, B - ㄱ, C - ㄴ
③ A - ㄷ, B - ㄴ, C - ㄱ ④ A - ㄴ, B - ㄷ, C - ㄱ
12. 성도 후 부처님은 “이 진리는 깊고, 보기 어렵고, 깨닫기 어렵고, 섬세하고, 고상하고 단순한 사려를 넘어서는 것이다. 오직 지혜로운 이라야 알 수 있는 것이다. 과연 받아들일 사람이 있을까?”라고 생각하며 중생들에게 진리를 설파할 것을 주저하셨다. 이 때 법을 설하기를 간청한 이는 누구인가?
① 범천 ② 제석천 ③ 도솔천왕 ④ 자재천
13. 부처님 당시의 교단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출가자들은 안거기간에 유행하지 않고 공동생활을 했다.
② 교단 운영은 중앙집권적인 형태였다.
③ 최초의 우바새, 우바이는 야사의 부모였다.
④ 처음에는 여성의 출가를 허락하지 않았다.
14. 다음 글을 읽고, 열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성도 후 네 번째 칠 일, 마라가 다시 나타나 부처님께 속삭였다. “세존이시여, 길고 긴 세월 고행하다 부처님이 되셨으니 이제 편히 열반에 드소서. 지금이 바로 그때입니다.” 부처님이 마라에게 말씀하셨다. “마라여, 그대는 열반의 뜻을 잘못 알고 있습니다.” |
① 모든 고통을 여의고 편안하게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 열반이다.
② 중생을 교화하지 않더라도 깨달음의 평화를 누리는 것이 열반이다.
③ 열반은 번뇌의 불꽃이 사라진 상태이므로 마라의 말에 따라야 한다.
④ 일체중생이 당신의 법 가운데 이익을 얻지 못하면 올바른 열반이 아니다.
15. 부처님께서 처음으로 불법의 진리를 전파하는 초전법륜(初轉法輪)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부처님께서 처음 법을 설한 곳은 와라나시의 사슴동산(鹿野園)이었다.
② 부처님은 가장 먼저 법을 전할 대상으로 생각했던 사람은 5비구들이 아니라 자신의 스승이었던 알라라깔라마와 웃다까라마뿟따였다.
③ 와라나시로 가는 도중에 우연히 만난 아지위까 교도 우빠까는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그 자리에서 깨달음을 얻고 부처님의 제자가 되었다.
④ 와라나시의 사슴동산에서 수행하던 5비구들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듣고 깨달음을 얻은 최초의 수행자들이다.
16. 초전법륜 이후 부처님의 가르침의 순서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① 팔정도 → 사성제 → 오온의 무상, 고, 무아
② 오온의 무상, 고, 무아 → 팔정도 → 사성제
③ 사성제 → 팔정도 → 오온의 무상, 고, 무아
④ 사선정 → 오온의 무상, 고, 무아 → 사성제
17. 다음 내용은 부처님께서 야사와 그 친구들이 출가 한 후 비구들의 숫자가 61명이 되었을 때 제자들을 향해 하신 말씀이다. 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비구들이여, 나는 신과 인간의 굴레에서 해방되었다. 그대들 역시 신과 인간의 굴레에서 해방되었다. 이제 법을 전하러 길을 떠나라. 많은 사람들의 이익을 위해, 많은 사람들의 행복을 위해, 세상을 불쌍히 여겨 길을 떠나라. 마을에서 마을로, 두 사람이 같은 길을 가지 말고 혼자서 가라.” |
① 야사선언 ② 전도선언 ③ 포교선언 ④ 해방선언
18. 사리뿟다와 마하목갈라에 대한 부처님의 관심과 애정은 남달랐다. 다음은 이를 시기한 일부 비구들의 가상 대화이다. 갑, 을의 주장에 대한 사리뿟다와 마하목갈라의 태도로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갑 : “우리보다 나중에 출가한 사리뿟다와 마하목갈라에게 계경(戒經)을 암송하는 일을 맡기신 부처님의 처사는 교단의 위계질서를 흐리는 것이다.” 을 : “맞습니다. 그들은 우리 보다 후배들이니 당연히 부처님께서 내리신 소임을 적당한 핑계를 대서라도 사양했어야 합니다.” |
[ 보 기 ] ㉠ 마하목갈라는 늘 자신들의 안위 보다는 대중의 이익과 안락을 우선시하였다. ㉡ 마하목갈라는 신통력이 강하여 자신을 시기하는 비구가 있으면 항상 그의 꿈에 나타나 경고하였다. ㉢ 사리뿟다는 자신에게 진리의 길을 안내한 앗사지에 대한 존경심으로 항상 예배하고 그가 머무는 곳을 향해 머리를 두고 누웠다. ㉣ 사리뿟다와 마하목갈라는 출가의 선후 보다는 깨달음의 선후를 중요시했기 때문에 바라문출신의 비구들에게만 존경의 예를 갖추었다. |
① ㉠ ㉢ ② ㉠ ㉣ ③ ㉡ ㉢ ④ ㉡ ㉣
19. 부처님께서 계율을 제정하게 된 동기와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제자들이 늘어나면서 물과 우유처럼 화합하라는 가르침에도 불구하고 종족과 출신을 따지며 갈등하는 일이 생겨났다.
② 교단 안에서 위계와 질서의 기준은 출신성분이나 나이에 상관없이 오직 구족계를 받은 순서대로 하도록 했다.
③ 승가의 위계와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비구는 250개 조항, 비구니는 348개 조항으로 된 구족계(具足戒)를 대중공사를 통해 일시에 제정하여 선포하였다.
④ 구족계를 받으려는 자는 먼저 자신의 스승이 될 화상(和尙)을 미리 선택하여 수학하고, 그 화상의 보증 아래 비구가 될 자격을 얻을 수 있었다.
20. 부처님의 초기 제자들은 일일이 규제하지 않아도 마땅히 지켜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할 것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부처님께서는 출가 생활의 기본 방침으로 4의지(依止)를 알려주셨다. 이와 관련이 없는 것은?
① 걸식하는 생활에 의지하라.
② 분소의를 입는 생활에 의지하라.
③ 동물의 대소변을 이용해 만든 진기약(陳棄藥)을 사용하는 생활에 의지하라.
④ 비가 지속되는 우기에는 한 곳에 정착하여 일체 외출하지 않는 생활에 의지하라.
21. 다음은 웨살리의 총사령관 시하(Sīha)장군과 부처님의 대화이다. 다음에서 추론할 수 있는 포교사의 불교 포교의 태도로 가장 적절한 것은?
시하 장군은 무위법(無爲法)에 대해 부처님과 논의한 뒤 니간타와 웨살리 왕족의 비난을 감수하고 과감히 불교로 개종한다. 시하 장군에게 부처님은 말씀하시었다. “시하 장군이여, 다시 한 번 잘 생각해 보십시오. 당신처럼 명망 있는 사람들은 신중하게 행동해야 합니다.” “오늘부터 저는 부처님과 부처님의 제자들에게만 공양을 올리겠습니다.” “그 말씀을 거두십시오. 당신의 집은 오랫동안 니간타들의 우물이었습니다. 그들에게도 평등하게 공양해야합니다.” |
① 이웃종교를 믿는 사람들에게는 개종을 강요하지 말고 무종교인들을 집중적으로 포교해야한다.
② 불교의 특정 종파 이외에는 모두 가짜 불교라는 관점으로 포교하여 개종을 적극적으로 권해야 한다.
③ 불교로 개종하려는 사람에 대해 이기심이나 교만을 갖고 불교를 포교하려 하지 말고 그들이 진정한 불자의 삶을 살 수 있도록 세심한 배려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④ 효과적인 포교를 위해서는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 같은 유명한 사람들에게 세속적인 이익을 보장해주는 방식으로 포교해서 각종 언론 매체를 통해 홍보해야 한다.
22. 부처님 당시 인도에는 혈통에 따라 신분을 나누는 카스트 제도가 있었다. 부처님은 어느 신분에 속하는가?
① 바라문 ② 찰제리 ③ 바이샤 ④ 수드라
23. 다음 ( )속에 들어갈 알맞은 도시는 어디인가?
수행자들을 환대했던 마가다국의 젊은 국왕 빔비사라왕 덕분에 ( )는(은) 사문의 도시가 되었고 사문 고따마도 이곳에서 비상비비상처정(非想非非想定)에 이른 웃다까라마뿟따를 만나게 되고 곧 그의 경지를 뛰어 넘게 된다. |
24. 고향을 방문한 부처님을 따라 출가한 왕자가 아닌 인물은?
① 데와닷따 ② 아누룻다 ③ 아난다 ④ 우빨리
25.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얻으신 뒤 고향 까삘라왓투를 처음 방문했을 때 있었던 일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깨달음을 성취한 부처님은 부왕(父王) 숫도다나 왕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가족들을 제도하기 위해 일부러 고향으로 가셨다.
② 부처님은 부왕의 체면과 왕자였던 자신의 신분을 고려하여 고향에서는 걸식(乞食)을 하지 않고 왕성에서 부왕이 베푸는 공양을 받으셨다.
③ 부처님은 고향으로 가셨지만 출가한 사문으로서 사사로운 감정에 휘둘리지 않기 위해 아내 야소다라는 물론 모든 가족들은 일체 만나지 않았다.
④ 부처님이 까삘라왓투를 방문하셨을 당시에 동생 난다와 아들 라훌라를 비롯해 석가족의 많은 왕자와 청년들이 출가하였다.
26. 비구니 승가의 탄생과 관련이 없는 일은?
① 석가족 젊은 남성들의 출가 ② 숫도다나 왕의 죽음
③ 야소다라의 간청 ④ 아난다의 청원
27. 부처님께서 나꿀라 부모에게 주신 가르침 가운데 부부가 함께 닦는다면 다음 생에도 다시 부부의 인연을 맺을 수 있다는 덕목이 아닌 것은?
① 두 사람이 같이 출가하라.
② 훌륭한 이들에게 같이 보시하라.
③ 두 사람이 함께 같은 믿음을 가져라.
④ 지혜 역시 같아지도록 함께 노력하라.
[해설] 부처님께서 자애롭게 말씀하셨다.
"아내와 남편 두 사람이 한평생 웃으며 함께 가고, 다음 생에도 언제나 손을 잡고 함께 가기를 원하신다면 두 분이 같은 믿음을 가지셔야 합니다. 훌륭한 덕목들을 같이 지키고, 훌륭한 이들에게 같이 보시하고, 지혜 역시 같아지도록 함께 노력해야 합니다.
28. 부처님께서 메기야 장로에게 설하신 가르침 가운데, 진리의 길을 가고 그 열매를 따도록 도와줄 다섯 가지 법은 무엇인가?
① 신(信), 정진(精進), 염(念), 정(定), 혜(慧)
② 선지식(善知識), 지계(持戒), 다문(多聞), 정진(精進), 지혜(智慧)
③ 보시(布施), 지계(持戒), 인욕(忍辱), 선정(禪定), 지혜(智慧)
④ 자비희사(慈悲喜捨), 지혜(智慧)
29. (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우둔한 쭐라빤타카에게 부처님은 격려하시고 ‘더러운 때를 없애라’는 가르침을 주셨다. 이에 쭐라빤타카는 열심히 수행하여 남모르게 부처님의 가르침을 성취하였다. (나) 실수로 똥통을 부처님께 쏟은 니디를 부처님은 손수 씻겨주고 가르침을 주시어 훌륭한 비구로 교화시켰다. |
① 부처님은 타고난 종족이나 신분, 가진 재산이나 지식과 능력으로 사람을 차별하지 않았다.
② 부처님은 근기가 낮은 중생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잘 수용할 수 없기 때문에 그들을 시체를 태우는 막대기들이라고 불렀다.
③ 부처님은 사리뿟따를 모든 비구의 어머니라 칭찬하시고 그의 지도를 거부하는 비구들을 도둑패거리라 하시고 승단에서 쫓아냈다.
④ 부처님은 아난다를 시자로 삼으시며 최소한 왕족 출신 이상의 제자들만 십대제자로 인정하시고 부처님의 향실에 드나들 것을 허락하셨다.
30. 부처님과 출가한 스님들이 집집마다 걸식하는 삶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
① 국가의 위협을 피하려고
② 빚을 갚을 능력이 없어서
③ 출가자는 존경을 받기 때문에
④ 윤회의 고통에서 벗어날 길을 찾기 위하여
31. 다음 예시문에서 설명하고 있는 인물은 누구인가?
◦ 빔비사라왕의 아들 아자따삿뚜 태자는 매일 오백 대의 수레로 음식을 실어 날라 그에게 공양을 올렸다. ◦ 그는 공양 받은 물품을 비구들에게 공평하게 나누지 않고 자신을 따르는 비구에게만 분배하여 그를 따르는 비구들이 갈수록 늘어갔다. ◦ 아자따삿뚜의 지원을 받아 궁수를 동원하여 부처님을 살해하고 자신이 교단을 통솔하려고 했다. ◦ 산위에서 큰 바위를 굴려내려 부처님의 발을 다치게 하고, 코끼리에게 술을 먹여 부처님을 해치려고 했다. |
① 마하깟사빠 ② 알굴리말라 ③ 데와닷따 ④ 뻬세나디
32. 다음 중 부처님 십대제자와 그 특징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① 수보리 - 논의제일 ② 라훌라 - 밀행제일
③ 마하가섭 - 두타제일 ④ 목건련 - 신통제일
33. 부처님의 반열반 이후 교단의 앞날을 걱정하는 아난다에게 이르신 부처님의 말씀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너 자신을 등불로 삼고 너 자신에게 의지하라.“
② “법을 등불로 삼고, 법에 의지하라. 법을 떠나 다른 것에 매달리지 말라.”
③ “여래만 아는 법을 손에 꼭 움켜잡고 너희들에게 가르치지 않은 그런 것은 없다.”
④ “비구들이여, 눈이 불타고 있다. 눈에 보이는 빛깔과 형상이 불타고 있다. 눈의 분별이 불타고 있다. 눈과 그 대상의 접촉이 불타고 있다.”
34. 성도 후 44년, 부처님이 깃자꾸따에 머물고 계셨을 때, 아자따삿뚜왕의 대신 왓사까라(Vassakāra, 禹舍)가 찾아왔다. 왓사까라는 강가 북쪽의 강력한 경쟁자인 왓지족을 토벌하려는 아자따삿뚜왕의 뜻을 전하고 부처님께 의견을 여쭈었으나 부처님은 즉답을 피하고 아난다에게 왓지족이 이것을 실행하고 있는가에 대해 물으셨다. 이것은 무엇인가?
① 칠불묘법(七佛妙法) ② 칠비묘법(七非妙法)
③ 연기법(緣起法) ④ 칠불퇴법(七不退法)
35. 부처님이 입멸하기 전에, 어떤 늙은 바라문이 세상의 스승을 자처하는 많은 사상가들을 찾아다니며 깨달음을 얻었는지 얻지 못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돌아다니다가 부처님의 가르침을 듣고 귀의하여 구족계를 받아 마지막 제자가 되었다. 그는 누구인가?
① 수밧다 ② 쭌다 ③ 수닷따 ④ 수자따
36. 부처님께서 마지막 완전한 열반에 드시기 전에 하신 말씀이다.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내가 떠난 뒤에는 ( ㉠ )와(과) ( ㉡ )이(가) 너희의 스승이다. |
① ㉠ 법 ㉡ 율
② ㉠ 선정 ㉡ 지혜
③ ㉠ 해탈 ㉡ 열반
④ ㉠ 사성제 ㉡ 육바라밀
37. 부처님이 쿠시나가라(kuśinagara)에서 입멸하자 입관(入棺)하였는데, 가섭이 다른 지방에서 세존의 입멸 소식을 듣고 그곳에 이르러 슬피 우니 세존이 두 발을 관(棺) 밖으로 내어 보이셨다. 이 이야기를 선가(禪家)에서는 부처님이 마하깟사빠에게 마음을 전했다는 삼처전심(三處傳心)의 하나로 들고 있다. 다음 중 어느 것인가?
① 다자탑전분반좌 ② 영산회상거염화
③ 사라쌍수곽시쌍부 ④ 이심전심
38. 부처님의 생애 중 주요 테마와 관련된 나무가 있다. 다음 중 잘못 연결된 것은?
① 탄생 - 무우수(無憂樹) ② 성도 - 보리수(菩堤樹)
③ 항마 - 염부수(閻浮樹) ④ 열반 - 사라수(沙羅樹)
39. 부처님이 성도한 후 45년간의 여정은 자비와 사랑으로 제자와 중생들에게 설법하여 그들을 깨달음의 길로 인도한 세월이었다. 다음 중 부처님이 전법륜하는 가운데 가르쳤던 내용이 아닌 것은?
① 사성제 ② 세속오계
③ 삼법인 ④ 팔정도
40. 다음은 급격한 변화의 시대인 현대에 합당한 포교 전략들이다. 적절하지 못한 것은?
① 불교 포교를 위해서 감성을 중시해야 한다.
② 아낌없이 나누어 주는 동체대비의 정신이 필수적이다.
③ 소극적이고 단순한 관념 위주의 포교가 적절하다.
④ 복지 사회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
주관식 각[4점]
41. 부처님의 신체에 갖추어져 있다고 하는 뛰어난 상호(相好)는 우연히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다겁생에 걸쳐 쌓은 선근과 보살행의 결과이다. 이 상호를 갖춘 이는 세속에 있으면 위대한 전륜성왕이 되고 출가하면 부처님이 된다고 한다. 부처님의 상(相)과 호(好)는 각각 몇 개인가?[4점]
(상(相) : 32개, 호(好) : 80개)
42. 이 사람은 싯닷타 태자가 출가하여 마가다국 라자가하에 나타났다는 소문을 듣고 태자를 찾아가 자신이 다스리는 마가다국의 왕이 되어줄 것을 간청했다. 태자가 이 제안을 거절하자 깨달음을 이루게 되면 가장 먼저 라자가하를 찾아와 자신을 제도해 줄 것을 요청했다. 여기서 이 사람은 누구인가?[4점] (빔비사라왕)
43. 다음은 부처님의 성도에 대한 설명이다. ( )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4점]
어둠이 사라지고 세 번째 빛이 밝았다. 모든 번민과 고통은 사라졌다. 청정한 삶은 완성되었다. 깨달음을 완성한 보살에게는 더 이상 번뇌는 남아 있지 않았다. 보살은 다시는 고뇌의 생존으로 뛰어들지 않게 되었음을 스스로 알고 스스로 보게 되었다. 보살은 모든 더러움이 말끔히 사라진 (* )을 얻었다. (*육신통 중 하나이다.) |
( 누진통 )
44. 부처님의 제자가 되어 25년 동안 시자(侍者)로서 보필하였고 여성의 출가를 세 번이나 간청하여 허락을 받아내었으며 부처님이 입적한 후에 경전을 암송했던 이는 누구인가?[4점] 아난다(아난)
45. 현 대한불교조계종의 종정예하, 원로의장, 총무원장, 포교원장 스님의 법명을 차례대로 쓰시오.
[4점] (㉠종정예하 : 진제) (㉡원로의장 : 밀운) (㉢총무원장 : 자승) (㉣포교원장 : 지원)
제18회 포교사 자격고시 문제지
[제2교시]
1.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 수행의 종교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행을 하면 신통력을 얻어서 초능력자와 같이 살아갈 수 있다.
② 과거와 미래를 통찰하되 현재에 깨어있으면서 사는 것이 수행이다.
③ 몸과 마음의 잘못된 습관을 바꾸고 견해를 바로 세우는 것이 수행이다.
④ 수행의 결과도 중요하지만 수행하는 과정 속에서의 깨달음이 더 중요하다.
2. 불자의 대표적인 인사법인 합장(合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불보살님께 공경과 믿음의 마음을 표현하는 인사법이다.
② 부처와 중생, 너와 내가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뜻을 담고 있다.
③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 모든 불교국가의 공통적인 인사법이다.
④ 절에서 부처님이나 스님께 하는 인사법으로 일반인에게는 하지 않는다.
3. 전통사찰의 하루는 새벽 3시, 혹은 4시에 시작된다. 다음 중 새벽에 사찰의 대중을 깨우고 도량을 청정하게 하는 불교의 의식은 무엇인가?
① 쇳송 ② 도량석 ③ 마지 ④ 예불
4. 다음 보기 중 불전사물(佛殿四物)에 해당하는 것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 보 기 ] ㉠ 염주 ㉡ 목탁 ㉢ 목어 ㉣ 죽비 ㉤ 범종 ㉥ 금강저 ㉦ 법고 ㉧ 운판 |
① ㉠, ㉡, ㉣, ㉦ ② ㉢, ㉥, ㉦, ㉧
③ ㉡, ㉣, ㉤, ㉦ ④ ㉢, ㉤, ㉦, ㉧
5. 사찰의 여러 전각에 모셔진 불보살님과 건물의 이름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석가모니부처님 - 대적광전 ② 미륵부처님 - 미타전
③ 관세음보살님 - 원통전 ④ 지장보살님 - 용화전
6. 불교에서 대장경을 3가지로 분류하여 삼장(三藏)이라고 하는데, 이 중에서 부처님께서 설하신 불교교법의 내용을 후대의 제자들이 의미와 체계를 해설한 내용을 모아 놓은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경장(經藏) ② 율장(律藏) ③ 논장(論藏) ④ 복장(福藏)
7. 불교에서 다음과 같은 역할을 담당하는 존재는?
◦ 불법(佛法)인 바른 법을 보호하는 수호신이다. ◦ 사람들에게 착한 일을 권장하고 악한 이는 징계한다. ◦ 발밑에 악마를 짓밟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된다. ◦ 사찰로 들어가는 입구에 4분의 신상을 모셔놓는다. |
① 마왕 ② 아수라 ③ 염라대왕 ④ 사천왕
8. 극락전(極樂殿)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연화장세계의 교주인 비로자나부처님을 모신 전각이다.
② 본존불의 이름을 따라 미타전(彌陀殿)이라고도 한다.
③ 극락세계의 아미타부처님을 모신 법당이다.
④ 극락전을 무량수전이라고도 한다.
9. 불탑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탑은 산스크리트어로 스뚜빠(stūpa) 또는 빨리어로 뚜빠(thūpa)라고 한다.
② 불탑의 기원은 부처님 입멸 당시의 경전 기록에서 찾을 수 있다.
③ 불멸 후 여덟 나라의 국왕들이 8등분해 자신들의 나라에 탑을 세웠다.
④ 우리나라에서는 목탑, 중국에서는 석탑, 일본에서는 전탑이 발달했다.
10. 법당 안은 보통 상단, 중단, 하단의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 중 법당 안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불보살을 모신 단은 상단 또는 불단이라고 한다.
② 호법신장을 모신 단은 중단 또는 신중단이라고 한다.
③ 상단에는 아미타내영도와 감로탱화를 후불탱화로 봉안한다.
④ 하단은 영가(靈駕)의 위패를 모신 단으로 영단이라고도 한다.
11. 탱화(幀畵)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탱화는 사찰 전각의 벽에 직접 그려 넣는 그림을 말한다.
② 상단 탱화는 전각의 상단, 즉 불보살상의 뒷면에 거는 탱화이다.
③ 중단 탱화는 신중단에 모시는 탱화로서 주로 신중이나 호법신 등을 그린다.
④ 하단 탱화는 영단이나 명부전 등에 모시는 탱화다.
12. 당간과 당간지주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예전에 사찰에서 기도나 법회 때 내건 기(旗)를 당(幢)이라고 했다.
② 당을 걸어두는 기둥이 당간(幢竿)이다.
③ 당간을 지탱하기 위해 세우는 지주가 당간지주이고, 대개 사찰 입구에 세운다.
④ 당간은 주로 돌로 만들어졌으며 당간지주는 금동 · 철 등 금속재를 사용했다.
13. 사찰의 의미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사찰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닦는 수행처이자 전법(傳法) 도량이다.
② 부처님 당시의 사찰은 대부분 인가(人家)와 멀리 떨어진 장소에 세워졌다.
③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우며 어리석은 마음을 깨우고 참된 삶의 길을 배우는 곳이다.
④ 부처님께 예경과 헌공을 올리며 중생의 고난과 아픔을 씻고 행복을 성취하는 곳이다.
14. 불자들은 불교의 기념일을 잘 지키고 경건한 마음으로 축하해야 한다. 다음 중 우리나라의 불교 기념일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출가재일 - 음력 2월 8일
② 성도재일 - 음력 4월 8일
③ 우란분절 - 음력 12월 15일
④ 열반재일 - 음력 7월 15일
15. 다음은 종단본 표준 한글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의 일부이다. ( ) 안에 들어갈 말로 올바른 것은?
관자재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행할 때 ( ) 온갖 고통에서 건지느니라. 사리자여 색이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이 색과 다르지 않으며 색이 곧 공이요 공이 곧 색이니라. |
③ 오온이 공한 것을 비추어보고 ④ 오온이 공상임을 비추어보고
16. 다음은 법회의식이나 기도 도중에 행해지는 정근(精勤)의식이다. ( )에 알맞은 불보살의 명칭은?
나무 보문시현 원력홍심 대자대비 구고구난 ( ) … 南無 普門示現 願力弘深 大慈大悲 救苦救難 |
① 석가모니불 ② 아미타불 ③ 관세음보살 ④ 지장보살
17. 다음은 반야심경의 의미와 그 활용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반야심경은 불교의 모든 법회나 의식에서 기본적으로 독송된다.
② 반야심경은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을 줄여서 부르는 명칭이다.
③ 문답을 통해서 큰 지혜로써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가르쳐주고 있다.
④ 조석예불을 모실 때 반야심경은 중단에 하지 않고 상단을 향해서 한다.
18. 우리나라의 불교 전래와 수용 과정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삼국 모두 처음부터 왕실에서 적극적인 수용 자세를 취하였다.
② 신라는 법흥왕 14년에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공식적으로 공인되었다.
③ 고구려와 백제는 중국의 전진과 동진으로부터 각각 불교를 받아들였다.
④ 중국을 통해 전래되었지만 나름대로의 독창성과 주체성을 지니고 있다.
19. 신라시대 원효의 사상과 업적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고려시대 보조국사 지눌과 조선시대 서산스님의 사상에 영향을 주었다.② 당시 대중과 서민보다는 왕실 중심의 귀족 불교 전파에 크게 공헌하였다.③ 분열과 대립을 지양하고 조화와 통일을 지향하는 화쟁(和諍)사상을 주장하였다.
④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고 객관적 논리에 근거한 종합과 회통을 추구하였다.
20. 다음 보기의 내용이 설명하고 있는 한국불교의 특징적 사상은?
[ 보 기 ] 이것은 불교가 우리나라에 들어와 정착되면서, 자신들이 살고 있는 현재의 국토가 오랜 과거부터 불교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으며, 현재도 불교의 호법신들에 의해 보호를 받고 있다는 사상이다. 특히 불교의 수용과 국가체제의 정비를 동시에 이루었던 신라에서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
① 호국사상(護國思想) ② 정토사상(淨土思想)
③ 미륵사상(彌勒思想) ④ 불연국토사상(佛緣國土思想)
21. 불교의 처음 모습과 부처님의 생생한 말씀을 간직하고 있는 시기의 불교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초기불교 ② 부파불교 ③ 대승불교 ④ 선불교
22. 다음 중 부파 불교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금욕주의 ② 승원 중심주의
③ 재가주의 ④ 출가주의
23. 인도에서 대승 불교 흥기의 주체가 되었던 집단으로서, 불탑을 관리했던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은?
① 소승중 ② 보살중 ③ 연각중 ④ 부파중
24. 똑같은 물일지라도 아귀와 물고기, 사람, 천신 등이 다 제각각으로 볼 수 있다는 일수사견(一水四見)의 교훈은 다음에 열거하는 사상들 중에서 무엇과 관련이 있는가?
① 유식 사상 ② 부파 사상 ③ 중관 사상 ④ 밀교 사상
25. 『금강경』과 같은 대승경전에서 ‘모든 법의 공한 모양[諸法空相]’이라고 말할 때의 법(法)이 지닌 용례에 해당하는 것은?
① 부처님께서 제자에게 가르치신 가르침을 말한다.
② 부처님의 말씀이 담겨 있는 불교 경전을 말한다.
③ 존재하는 모든 것, 즉 모든 사물을 말한다.
④ 인간 사회를 지배하는 법률의 법을 말한다.
26. 불교에서는 존재의 실상, 법의 참모습을 나타내는 것을 삼법인이라고 한다. 다음 중 삼법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제행무상 ② 인생무상 ③ 제법무아 ④ 일체개고
27. 아함부 경전에 의하면 “연기를 보는 자는 법을 보고, 법을 보는 자는 연기를 본다. 그리고 연기를 보는 자는 부처님을 본다.”는 구절이 있다. 다음 중 연기의 이치를 설명한 것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연기란 ‘말미암아 일어난다’는 말로 생성과 소멸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② 연기법은 인생의 실상이 아닌 사실 세계의 현상관계만을 설명하고 있다.
③ 모든 사물은 원인과 조건에 따라 서로 의지하면서 생성되고 사라진다.
④ 모든 사물은 독자적으로 홀로 존재하지 않고 상호 관계 속에서 존재한다.
28. 다음 중 불교의 사상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고정불변인 아트만(ātman)의 끊임없는 윤회를 인정하는 상주론(常主論)을 주장하였다.
② 윤회를 부정하고 한 번의 생으로 모든 것이 끝난다는 단멸론(斷滅論)을 주장하였다.
③ 깨달음에 이르기 위해 고행주의와 쾌락주의의 수행법을 주장하였다.
④ 양 극단으로 치우치지 않는 중도(中道)의 실천을 주장하였다.
29. ‘지옥에서 고통 받는 모든 중생이 구원받기 전에는 부처가 되지 않겠다’고 서원한 보살은?
① 미륵보살 ② 문수보살
③ 지장보살 ④ 보현보살
30. 유식사상에서는 마음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는데, 아집(我執)을 일으키는 자아의식으로 모든 것을 ‘나’를 중심으로 판단하는 것은?
① 전오식(前五識) ② 의식(意識)
③ 말라식(末那識) ④ 아뢰야식(阿賴耶識)
31. 천태사상의 일념삼천설(一念三千說)은 우주의 삼천법이 모두 일념에 갖추어져 있다는 뜻이다. 다음 중 삼천(三千) 법계의 구성요소인 십계(十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수행의 정도에 따라 중생들이 지켜야 할 열 가지의 마음가짐을 나타낸 것이다.
② 하나의 마음인 일심(一心)의 상태를 열 가지의 존재양상으로 나타낸 것이다.
③ 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하늘의 신인 육도윤회의 중생을 포함하고 있다.
④ 깨달음의 세계로 성문(聲聞)·연각(緣覺)·보살(菩薩)·불계(佛界)를 상정하고 있다.
32. 다음 중 밀교(密敎)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입과 손과 마음으로 하는 세 가지 수행, 즉 삼밀(三密)수행을 강조한다.
② 대일여래와 합일하여 현재의 몸 그대로 성불하는 ‘즉신성불(卽身成佛’을 강조한다.
③ 미신과 주술을 본질적 요소로 삼는 비불교적ㆍ힌두적 종교 및 세계종교가 변형ㆍ혼합된 것이다.
④ 공개적으로 설해진 가르침이 아니라 비밀리에 전한 가르침이다.
33. 다음 내용이 설명하고 있는 불교의 수행법은?
◦ 입출식념(入出息念)이라고도 한다. ◦ 들어가고 나가는 숨을 관찰한다. ◦ 마음이 산란한 사람들에게 효과가 있다. ◦ 자신의 마음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
① 부정관(不淨觀) ② 수식관(數息觀)
③ 자비관(慈悲觀) ④ 인연관(因緣觀)
34. 불교의 수행은 몸과 마음을 다스리고, 마음의 평화와 행복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음 중, 불교의 수행법의 의미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① 절은 몸을 굽혀 상대에 대해 존경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예법으로, 몸을 통해 아상(我相)을 버리고 무아(無我)를 체험하는 수행법이며, 참회를 통해 건강한 몸과 마음을 만들 수 있는 수행법이다. ② 염불(念佛)은 부처님을 마음속으로 간절히 생각하며 떠올리는 것으로 산란한 마음을 안정시켜 평안하게 해주며, 어떤 환경에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고 맑고 밝아지게 해주는 수행법이다.
③ 간경(看經)은 염불이 부처님의 명호를 생각하고 그 의미에 집중하면서 외는 것처럼 진언(眞言)을 소리 내어 외워서 그 힘으로 재앙을 제거하고 마음을 밝혀 부처님처럼 청정하고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한 수행법이다.
④ 자원봉사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과 자원을 창조적으로 활용하여 도움이 필요한 곳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집착과 탐욕을 버리게 하는 자기 수행이며, 나와 상대방 모두가 부처님이 되기 위한 보살의 수행법이다.
35. 한국 불교의 발전을 위해서 불교도가 실천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적극적으로 보살 정신을 실천해야 한다.
② 방생을 위해서 많은 동물들을 수입해야 한다.
③ 맹목적인 기복 신앙은 절제해야 한다.
④ 범사회적인 자비 실천 운동을 전개해야 한다.
36. 대한불교조계종의 사법부 역할을 하는 기구는?
① 교육원 ② 호계원 ③ 총무원 ④ 소청심사위원회
37. 한국불교 근현대사에서 교단 명칭의 변화 과정이 바르게 정리된 것은?① 원종 - 조선불교선교양종– 조선불교조계종 – 대한불교조계종② 대한불교조계종 – 조계종 – 조선불교 – 대한불교조계종③ 조계종 – 조선불교 – 조선불교조계종 – 대한불교조계종④ 조선불교조계종 – 조선불교 – 조계종 – 대한불교조계종
38. 대한불교조계종의 종헌에 규정한 종지(宗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자각각타(自覺覺他) ② 각행원만(覺行圓滿) ③ 직지인심(直指人心) ④ 정혜쌍수(定慧雙修)
39. 대한불교조계종의 직영사찰이 아닌 곳은?
① 조계사 ② 낙산사 ③ 선본사 ④ 보문사
40. 2012년 문화재청으로부터 국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불교계의 대표적인 축제의 정확한 명칭은 무엇인가?
① 연등축제 ② 팔관회 ③ 연등회 ④ 초파일
주관식 각[4점]
41. 불교에서 역사상 가장 훌륭한 왕으로 인도의 아소카왕과 신라의 진흥왕을 꼽는데, 세상을 자비와 평화의 사상으로 통치하여 통합된 이상 국가를 건설한다고 믿어온 이상적 군주를 일컫는 말은 무엇인가?[4점] ( 전륜성왕 )
42. 석가모니 부처님을 본존불로 모신 법당이며 ‘세상을 밝히는 영웅을 모신 전각’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법화경』에서 석가모니 부처님을 위대한 영웅이라 일컫는데서 유래한 이 법당의 명칭을 쓰시오.[4점] 대웅전(대웅보전)
43. 『반야경』이 보살의 구체적인 실천방법으로서 육바라밀의 실천을 강조하였다면, 『화엄경』「십지품」에서는 부처님처럼 정각에 도달하기 위하여 십바라밀을 닦아가는 보살의 수행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육바라밀 이외에 네 가지의 바라밀을 쓰시오.[4점]
( 방편, 원, 력, 지바라밀 )
44. 불법에는 진제(眞諦)와 속제(俗諦)라는 두 차원이 있다는 이제설(二諦說)을 주장했던 사람으로서, 인도 중관 학파의 개조는 누구인가?[4점] 용수(나가르주나)
45. 2013년은 이 분의 열반 1300년이 되는 해이다. 이 분의 돈오(頓悟)사상은 우리나라 뿐만아니라 중국, 한국, 일본, 베트남 등 동아시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우리 대한불교조계종의 종명과도 직결되는 ㉠ 이 분은 누구이며, ㉡ 출가해서 깨달음을 얻기까지의 과정과 조사선의 핵심 사상을 잘 드러내고 있는 이분의 선어록은 무엇인가?
㉠ 혜능(조계혜능, 육조 혜능) ㉡ 육조단경(법보단경)
'포교사고시 공부방 > 포교사고시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회 포교사고시 기출문제 [1교시] - 2015년 2월 28일 시행 (0) | 2016.12.05 |
---|---|
19회 포교사고시 기출문제 - 2014년 2월 16일 시행 (0) | 2014.09.14 |
17회 포교사고시 기출문제 (0) | 2014.09.03 |
16회 포교사고시 기출문제 (0) | 2014.09.03 |
15회 포교사고시 기출문제 (0) | 2014.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