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셨으니 행복하여라! sukho Buddhānaṃ uppādo!

▣ 열반은 궁극의 행복이다. (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지속되기를!(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포교사고시 공부방/포교사고시 기출문제

3회 포교사고시 기출문제

moksha 2014. 6. 22. 18:39

 

제3회 포교사 고시

 

<객관식>(40문항)문항당1점

1. 다음 중 싯타르타 태자가 태어나자마자 읊었다는 탄생게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이 생이 윤회의 마지막이 되리라.

② 나는 영원토록 불법승 삼보에 귀의하리라.

③ 나는 삼계의 고통을 모두 편안케 하리라.

④ 하늘 위와 아래에 오직 내가 존귀하다.

 

2. 다음 중 부처님의 깨달음이 개인적인 차원을 벗어나 세계적이고, 역사적인 종교로 발전하는 계기가 된 것은?

①수하항마상     ②녹원전법상     ③쌍림열반상     ④유성출가상

 

3. 다음의 가르침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

비구들이여, 길을 떠나라. 많은 사람들의 이익과 행복을 위하여, 세상을 불쌍히 여기고 人天의 이익과 행복을 위해서 두 사람이 함께 가지 말라. 비구들이여, 처음도 좋고 중간도 좋고 끝도 좋게 법을 설명하라.

①흔히 ‘전도의 선언’이라고 하는 가르침이다.

②‘순교리생(巡敎利生)의 명령’이라고 한다.

③부처님이 열반에 드시기 직전에 제자들에게 한설법이다.

④아라한과를 증득한60명의 제자들에게 설하신 가르침이다.

 

4.왕사성(라자가하)시내에서 부처님의 제자 앗사지(馬勝)가 조용히 걸어가는 산뜻한 모습을 보고 감동하고 그가 말한 연기(緣起)의 법칙을 듣고 부처님의 제자가 되었으며, 목건련과 함께 회의론자 산자야의 제자이기도 했던 이는 누구인가?

①가섭      ②사리불      ③우팔리       ④아난

 

5.원시불교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치 못한 것은?

①근본불교 또는 초기불교라고도 한다.

②약간 저급하고 발달되지 못한 상태의 불교를 가르킨다.

③부처님 성도부터 아쇼카왕 때가지(약150년간 또는 250년간)

④부처님 가르침 속에 그 당시의 생활모습 등이 비교적 잘 나타나있다.

 

6. 다음 중 37조도품(助道品)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사념처(四念處)           ②사정단(四正斷)

③오정심관(五停心觀)       ④칠각지(七覺支)

 

7.다음 설명은 팔정도의 덕목 중 어떤 내용을 설명한 것인가?

바른 생활이다. 옳은 일에 종사하고 몸과 말과 마음의 신구의(身口意)삼업을 천장히 하면서 바로 사는 것을 말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한다면 바른 직업관을 가지고 생명에 임해야 한다.

①정정(正定)   ②정명(正命)   ③정정진(正精進)   ④정견(正見)

 

8.사성제(四聖諦)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①부처님이 성도하시기 전 인도사회에 퍼져 있던 외도들의 사상이다.

②외도의 사상을 불교의 입장에서 받아들인 대승불교의 중요한사상이다.

③녹야원에서 다섯 비구에게 설한 최초의 법문이다.

④사성제에서 ‘사(四)’는 생로병사 네 가지를 말한다.

 

9. 오온(五蘊)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거리가 것은?

①색온에는 현색(顯色),형색(形色),표색(表色)이 있다.

②오온 중 행온(行蘊)은 표상작용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③수온(受蘊)은 느낌으로서 고(苦),락(樂),사(捨)가 있다.

④식온(識蘊)은 식별로서 인식과 판단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10. 설일체유부의 실재론적 경향에 반발하여 순수하게 부처님이 설한 경만을 따를 것을 주장하였으며, 현재에만 실체가 있고, 과거와 미래에는 실체가 없다(現在有體過未無體)고 주장한 부파는?

①대중부       ②독자부       ③화지부       ④경량부

 

11. 불교의 업설(業說)에 관한 설명 중 가장 바른 것은?

①권선징악을 위한 통속적인 교화방편설이다.

②일종의 숙명론으로서 체념과 달관을 강조한다.

③선의지(善意志)에 바탕한 창조적 노력을 강조한다.

④삼세업보설(三世業報說)은 육도(六道)윤회설과 무관하다.

 

12. 다음 중 부처님을 칭송하는 여래 십호에 들지 않는 것은?

①명행족       ②구담       ③응공       ④정변지

 

13. 한중관계가 발전함에 따라 오늘날 고대사에 있었던 우리 민족의 영광스러운 자취를 찾는 일이 진행되고 있다. 다음 중 신라인들이 당나라에 세웠던 사찰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신라방(新羅坊)            ②신라소(新羅所)

③신라원(新羅院)            ④신라관(新羅館)

 

14. 연등회와 관계가 없는 것은?

① 고려시대에 성행한 대표적인 불교행사로 대개 1~2월 전국적으로 등불을 밝히고 다과를 베풀었다.

② 조선조에도 매년 이어졌다.

③ 훈요10조에서 팔관회와 더불어 강조했다.

④ 전국적으로 등불을 밝히고 부처님께 귀의하여 국가와 왕실의 안녕을 기원했다.

 

15. 고려시대 불교와 유교의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천태종은 심성의 도야를 강조함으로써 장차 성리학을 받아들일 수 있는 터전을 닦았다.

② 고려의 문벌귀족들은 대체로 유교와 불교를 겸수하였다.

③ 고려의 귀족자제들은 대체로 불교, 유교 양계로 진출하였다.

④ 이체현과 이색 등은 불교자체를 배격하기보다는 불교의 폐단을 비판하였다.

 

16. 조선초 유학자들의 불교배척에 대해 체계적인 반론을 제기한 스님은?

①보우          ②무학          ③함허          ④도현

 

17.『화엄경』의 심오한 진리를 7언시 30언구로 응축시켜 놓은 의상스님의 저술은?

① 발심수행장   ② 원종문류     ③ 법계도       ④ 원종문류

 

18. 숭유억불 정책 아래에서도 세조는 국역역경기관을 설치하여 불경을 번역하였다. 이 기관의 이름은?

① 의정부 ② 대장도감 ③비변사 ④ 간경도감

 

19. 일제가 이 땅을 침략하고 있을 때 젊은 승려들이 주동이 되어 ‘卍당’에 대한 설명 중 거리가 것은?

① 당수로 만해 한용운 스님을 추대하고 그의 가르침을 직접 받아 행동에 옮겼다.

② 신학문을 배운 30대의 백성욱, 김법린, 이용조, 도진호 등 젊은 승려가 중심이 되어 유사시에 궐기하기 위해 비밀결사한 卍당은 비밀을 유지하기 위해 일체의 문서화를 금지하였다.

③ 정교분립, 교정확립 불교대중이란 3대강령을 세웠다.

④ ‘卍당’ 당원은 2가지 서약을 부처님 앞에서 해야 했으니, 비밀한사엄수(秘密限死嚴守)와 당의 명령에 절대 복종이었다. 만일 비밀을 누설한 자가 있으면 그는 생명을 바치기로 했던 것이다.

 

20. 다음은 대승불교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것은?

① ‘부처님의 가르침으로 돌아가자’는 사상운동이 하나의 배경이 되었다.

② 소승불교도들이 보살수행자를 지칭하여 대승이라고 하였다.

③ 대승비불설 논쟁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④ 대승은 ‘큰수레’라는 이름에 걸맞게 다양한 수행 방편을 제시하였다.

 

21. 대승불교의 흥기배경과 가장 거리가 것은?

① 부파불교에 대한 비판

② 불전문학 및 찬불승(讚佛乘) 계통의 확립

③ 불탑 신앙

④ 외도들의 영향

 

22. 서력 기원 약 150~250년 경 남인도 사람으로 『중론』을 비롯하여 중관사상을 천명한 많은 저술을 남긴 사람은?

① 용수       ② 마명       ③ 아난       ④ 무착

 

23. 자신이 비록 부처가 된다고 하더라도 괴로운 중생에게 깨달음을 열어줄 수 없으면 결코 깨달음을 얻지 않겠다는 서원을 세운 이로『무량수경』등에 나오는 이는?

① 지장보살         ② 유마거사     ③ 법장비구     ④ 선재동자

 

24. 다음 보살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것은?

① 부파불교에는 보살이라는 개념이 없다.

② 대승보살의 대표적인 수행덕목은 육바라밀이다.

③ 깨달음을 구하면서 중생을 제도하는 대승불교의 이상적인 인간상이다.

④ 보살은 어원적 정의로서는 깨달음을 구하는 유정을 말한다.

 

25. 법을 구하기 위해 온갖 고난을 무릅쓰고 긴 세월동안 인도와 서역을 순례하고 돌아온 승려와 관계 없는 인물은?

① 혜원(慧遠)      ② 법현(法顯)      ③ 의정(義淨)      ④ 현장(玄奘)

 

26. 다음에 열거하는 내용의 공통점에 가장 가까운 것은?

감몽구법설(感夢求法說), 모자(牟子)의 이혹론(理惑論),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 백마사(白馬寺)의 전설

①일천제(一闡提) 성불론 논쟁          ②중국승려의 구법기

③중국 선종의 대두                    ④불교의 중국 초기 전래

 

27.우리나의 가람배치에서 볼 때 해인사의 경우처럼 화엄종 사찰은 비로자나불을 주존으로 모신다. 이때 주존불을 모신 금당에 걸어놓은 현판에는 무엇이 적혀 있는가?

①관음전       ②대적광전       ③약사전        ④만월보전

 

28.경전을 넣은 책장에 축을 달아 회전하도록 만든 나무로 된 책장으로 이것을 돌리기만 하면 경전을 읽지 않아도 공덕을 쌓을 수 있다고 한다. 이것을 무엇인가?

①업경대       ②윤장대         ③변상도        ④장생표

 

29.최초의 불교사원인 죽림정사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죽림정사가 있는 나라의 수도는 사위성이다.

②이 절은 부처님과 인연이 많은 프라세나지트왕이 건립한다.

③부처님이 성도하신지 얼마 안되어 가란타장자가 죽림원을 보시하고 빔비사라왕이 그 곳에 정사를 지었다.

④이 절은 왕사성 시가지 중심에 있는 대나무숲 속에 자리 잡았다.

 

30.다음 중 불교와 기독교의 비교가 잘못된 항목은?

       불교                 기독교

①합리적인 설득          권위적인 선포

②농경문화 배경          유목문화배경

타력구제               자력구제

④몬순지대               사막지대

 

31.다음 중 초와 향을 공양하는 올바른 방법은?

①이미 초나 향이 사루어져 있으면 부처님 전에 올려놓는 것으로 공양을 대신 한다.

②다른 신도가 켜 놓은 촛불을 끄고 자기가 준비한 초에 불을 붙여 올린다.

③촛불과 향불이 피워져 있으면 그 옆에 촛불과 향불을 켠다.

④촛불과 향불이 피워져 있으면 자기가 준비한 것을 도로 가지고 나온다.

 

32.설법 듣기 전 산란한 마음을 진정시키기 위한 순서는?

①입정       ②청법      ③축원      ④사흥서원

 

33.다음 사찰 내의 예절 가운데 가장 거리가 것은?

①법당 내에서는 합장한 자세로 보행하여야 한다.

②부처님 전에 절을 하고 있는 다른 신도의 머리맡을 지나지 않는다.

③법회 시작 전 다른 신도를 위해 좌복을 깔아 놓는다.

④법회는 법문이 중요하므로 법문 사간에만 맞게 도착하면 된다.

 

34. 다음 『법화경』[법사품]의 내용과 가장 관련있는 수행(신행생활)은?

어디서든지 이경을 설하거나 읽거나 외우거나 쓰거나 이 경전이 있는 곳에는 마땅히 칠보로써 탑을 쌓되 지극히 높고 넓고 장엄하게 꾸밀 것이요, 또 다시 사리를 봉안하지 말아라. 왜냐하면 이 가운데는 이미 여래의 전신(全身)이 있는 까닭이니라.

① 포살       ② 울력        ③ 경행        ④ 간경

 

35. 대한불교조계종의 종헌을 제정하고 통합종단이 출범하게 된 해는?

① 1945년      ② 1950년      ③ 1956년      ④ 1962년

 

36. 우리 종단은 해마다 역점사업을 선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올해(1997년)는 무슨 해인가?

① 청소년의 해 ② 청년의 해   ③ 전법의 해   ④ 노인불자의 해

 

37. 다음 중 활동내용이 다른 것은?

① 교법사 - 불교종합학교에서 학생들의 인성계발을 위한 법사활동을 주로 한다.

② 경승단 - 각 경찰서에서 교화와 선도활동을 한다.

③ 군승단 - 군대에서의 정신교육과 교화활동을 한다.

④ 경제정의실천 불교시민연합 - 불교의 정치적 위상강화를 위한 활동을 한다.

 

38. 신도법에 있어 재적사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재적사찰이란 함은 신도가 신행의 근본도량으로 삼는 본․말사만을 말한다.

② 신도는 여러 개의 재적사찰을 가질 수 있다.

③ 신도는 거주이전에 한해서만 재적사찰을 변경할 수 있다.

④ 재적사찰의 변경은 해당 재적사찰 및 입적희망 사찰에 대한 의사표시로 한다.

 

39. 사찰운영위원회의 구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운영위원회는 소임을 맡은 스님과 신도로 구성한다.

② 사찰신도회의 회장, 부회장은 당연직 운영위원이 된다.

③ 주지의 친인척도 운영위원이 될 수 있다.

④ 운영위원회 위원은 주지가 위촉한다.

 

40. 포교법에 제시된 포교사의 사명이 아닌 것은?

① 삼보를 호지한다. ② 정법을 홍보한다.

③ 법명을 부여한다. ④ 보살도를 실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