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팔상성도(八相聖圖) = 팔상도(八相圖)
도솔래의상 (蔸率來儀相) | 도솔천 내원궁에서 흰 코끼리를 타고 마야궁으로 내려옴 |
비람강생상 (毘藍降生相) | 마야부인이 룸비니 동산에서 무우수가지를 붙들고 오른쪽 겨드랑이로 낳음 |
사문유관상 (四門遊觀相) | 생노병사의 괴로움을 관찰하고 출가를 결심 |
유성출가상 (踰城出家相) | 생노병사의 괴로움을 벗어나기 위하여 온갖 부귀영화를 버리고 성을 넘어 출가함 |
설산수도상 (雪山修道相) | 6년동안 온갖 고행을 하며 수도함 |
수하항마상 (樹下降魔相) | 핍팔라 나무(보리수)아래에서 마구니, 즉 모든 번뇌를 항복 받고 정각(正覺)을 이룸 |
녹원전법상 (鹿園轉法相) | 성도 후 처음으로 교진여 등 다섯비구에게 법을 설함. 이를 초전법륜(初轉法輪)이라 함. |
쌍림열반상 (雙林涅槃相) | 세수 80세에 사라쌍수 아래에서 열반에 드심. |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 > 제2장 부처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부처님 당시의 인도 상황과 사회적 배경 (0) | 2016.11.25 |
---|---|
(11) 불교의 4대성지와 5대재일(명절) (0) | 2016.11.25 |
(9) 불기(佛紀) (0) | 2016.11.25 |
(8) 사지(四智)와 육신통(六神通) (0) | 2016.11.25 |
(7) 부처님의 십대제자 (0) | 2016.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