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ksha 2017. 5. 24. 16:31

2. 불교 전래의 설(說)

 

(1) 명제(明帝)의 구법설을 언급한 자료

   ①모자이혹론(牟子理惑論)

   ②사십이장경서(四十二章經序)

   ③노자화호경(老子化胡經)

   ④고승전(高僧傳) 등

 

(2) 불교의 중국 초기 전래의 설(說)

 

감몽구법설

(感夢求法說)

후한(後漢)의 명제(明帝)가 꿈속에서 금인(金人)을 보았는데 그 금인(金人)이 부처님이라는 것을 알고 사절을 서역으로 보내서 불법(佛法)을 얻어오도록 함

사십이장경

(四十二章經)

백마에다 경전과 불상을 싣고 가섭마등(迦葉摩騰)과 축법란(竺法蘭) 등이 옴.

백마사(白馬寺)

가섭마등(迦葉摩騰)과 축법란(竺法蘭) 등이 머무를 절을 국도의 낙양문 밖에 세우고 그들을 거기에 주석

 

모자이혹론(牟子理惑論)

모자(牟子)가 유불도(儒佛道) 3교의 이동(異同)과 우열(優劣)을 논한 것으로, 3교 관계의 문헌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노자화호경(老子化胡經)

서진(西晋)말의 도사(導師) 왕부(王浮)가 지은 책으로 노자가 이적(夷狄)에 들어가서 부도[浮屠=불타(佛陀)=불(佛)]가 되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