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따마 붓다의 가르침/다나상가(Dānasaṅgha)담마 이야기
(6) 업과 윤회에 대한 개념 비교와 상견과 단견의 용어 비교
moksha
2017. 8. 21. 20:15
【업과 윤회에 대한 개념 비교】
| 브라만교ㆍ힌두교ㆍ타 종교 | 불교 |
주체 | 영원불멸의 아트만(Atman)ㆍ영혼(靈魂) | 무아(無我) [업력(業力, Kamma energy)에 의한 연기적 흐름] |
개념 | 주체의 옷 갈아입기식 | 같은 것도 아니고 다른 것도 아님 |
원인 | 자기원인ㆍ타자원인 | 스스로의 의도적 행위의 과보 |
과보에 대한 입장 | 결정론(決定論)ㆍ숙명론(宿命論) | 자업자득(自業自得)ㆍ자유의지 |
언어표현 | 재육화(再肉化, Reincarnation) ㆍ대개 환생(還生)이라고 표현한다. | 재생(再生, Rebirth) ㆍ사실 재생이란 용어도 정확한 의미의 표현은 아니다. |
【상견과 단견의 용어 비교】
상견(常見, sassata-diṭṭhi) : 존재에 대한 갈애 | 단견(斷見, ucceheda-diṭṭhi) : 비존재에 대한 갈애 |
영원주의 | 허무주의 |
영속론(상주론) | 단멸론(허무론) |
독단론 | 회의론 |
영혼불멸설 | 단멸설 |
부도덕(탈윤리) | 쾌락주의(타락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