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5장 한국불교사
Ⅲ. 조선의 불교 1. 조선 초 배불론((排佛論) 등장의 배경
moksha
2016. 9. 26. 17:01
Ⅲ. 조선의 불교
배불숭유(排佛崇儒)정책의 영향 아래 산중일색의 산승불교
1. 조선 초 배불론((排佛論) 등장의 배경
(1) 고려말 불교의 일반적 성격
①왕실후원의 불교:국가재정의 소모
②불교신앙의 저속화:기복․의례를 중시하는 경향
③사원경제의 세속화
④승단의 문란
(2) 성리학(性理學)의 등장
①신흥사대부 계층의 형성
②중심적 인물:정도전, 정몽주 등
(3) 조선초기의 배불론
가장 대표적인 것 ⇒ 정도전의 불씨잡변
☞불씨잡변(佛氏雜辨)
정도전(鄭道傳)이 유학(儒學)의 입장에서 불교의 윤리적 문제와 사회적 폐단을 지적하며 불교의 혁파를
강력히 요구하였다.